$\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스워드 표기 방식이 패스워드 생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nterpretation Effect of Passwords to Password Generation 원문보기

情報保護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v.25 no.5, 2015년, pp.1235 - 1243  

김승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  권태경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웹페이지의 로그인 또는 패스워드 변경 인터페이스에서 제공하는 패스워드 표기 방법이 국내 사용자의 패스워드 구성(composition)에 영향을 주는지 설문을 통해 살펴보고, 보안 향상을 위한 표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현재 혼용되고 있는 외국어 '패스워드' 표기와 이를 우리말로 번역한 '비밀번호' 표기는 의미적인 차이가 있다. 국내 S대학교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비밀번호' 표기를 사용할 때 더 많은 학생들이 숫자 위주의 패스워드를 만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숫자 위주의 패스워드는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가능한 조합의 수가 크게 감소하므로 이는 보안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이 국내 사용자들의 패스워드 보안을 향상시킬 방법을 찾는 연구의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if the password composition of domestic users is affected by the different form of the word 'Password' in the interface of login or password change. In particular, 'Password', foreign notation, and 'Secret Number', notation translated by Korean, have a semanti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대학교 재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진행하였으므로 설문 대상이 비교적 컴퓨터와 친숙한 세대이며 어느 정도 교육을 받았다는 점, 그리고 의도적으로 IT 전공자를 다수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사용자의 일반적인 계정 관리 조사에 참고가 될 수 있는 몇몇 특징을 제공한다.
  • 본 연구는 종이 설문지를 사용한 대면 설문조사로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된다. 대면 설문은 온라인 설문과 달리 설문에서 악성 소프트웨어로 참가자의 ID와 같은 계정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전혀 없고, 참가자 또한 그 사실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므로 패스워드에 관한 민감한 질문에도 비교적 진실한 답변을 할 것으로 기대하여[9] 종이 설문지를 통한 대면 설문을 수행하였다.
  • 즉, 본 연구는 ‘패스워드’ 표기와 ‘비밀번호’ 표기에서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패스워드 구성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볼 것이다.

가설 설정

  • ‘패스워드’ 표기보다 ‘비밀번호’ 표기에서 더 많은 사용자들이 숫자 위주의 패스워드를 만든다는 것이 본 연구의 가설이다.
  • 설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응답자가 학사정보시스템 계정의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상황을 가정하여 새로운 패스워드를 가상으로 설정하게 한다. 그리고 성별을 포함한 인구통계 정보와, 패스워드의 전체 길이, 사용된 문자(a~z, A~Z)의 길이와 의미, 숫자의 길이와 의미 정보를 수집한다.
  • 본 연구의 질문은 “패스워드의 표기 방식에 따라 사용자들이 생성하는 패스워드 구성에 차이가 있는가?
  • 그러나 가설 1과 가설 2에서는 숫자 위주의 패스워드를 판정함에 있어서 특수문자를 고려하지 않았다. 특수문자는 분류하기가 애매하나, 적어도 이것을 숫자로 생각하기는 어렵기 때문에 숫자보다는 문자에 가깝다고 간주하고 다음의 가설을 세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스워드는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패스워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비밀 문자열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경우에 따라 특수문자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영어권 웹사이트에서는 이러한 패스워드를† 일률적으로 ‘Password’로 표기하지만, 국내에서는 ‘패스워드’ 보다는 ‘암호’ 또는 ‘비밀번호’ 표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Fig.
패스워드란 무엇인가? 패스워드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사용되는 비밀 문자열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영문자와 숫자, 그리고 경우에 따라 특수문자를 조합하여 구성된다. 영어권 웹사이트에서는 이러한 패스워드를† 일률적으로 ‘Password’로 표기하지만, 국내에서는 ‘패스워드’ 보다는 ‘암호’ 또는 ‘비밀번호’ 표기가 널리 쓰이고 있다 (Fig.
비밀번호가 PIN 인증 수단에 더 어울리는 표기임에도 불구하고 '패스워드'를 '비밀번호'로 표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내에서 패스워드의 의미로 널리 사용되는 ‘비밀번호’ 표기는 사실 전자식 현관 자물쇠, 통장 비밀번호처럼 숫자만 입력 가능한 인증 수단(PIN)에 더 어울리는 표기이다. 그럼에도 ‘패스워드’를 ‘비밀번호’로 표기하는 이유는 그 역할이 서로 유사하나 후자가 직관적으로 더 이해하기 쉽기 때문인 것으로 짐작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번역 및 표기가 더 많은 사용자들이 ‘비밀번호’의 본래 의미인 PIN에 가까운, 숫자 위주의 패스워드를 만들도록 하는 취약점의 원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J. Bonneau, "The science of guessing: analyzing an anonymized corpus of 70 million passwords," Proceedings of the 33th IEEE Symposium on Security and Privacy, pp. 538-552, May. 2012. 

  2. X.de.C.de Carnavalet, and M. Mannan, "From very weak to very strong: Analyzing password-strength meters," Proceedings of the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Feb. 2014. 

  3. A. Das and J. Bonneau, "The tangled web of password reuse," Proceedings of the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Feb. 2014. 

  4. M. Just and D. Aspinall, "Personal choice and challenge questions: a security and usability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5th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pp. 8, July. 2009. 

  5. Jinkook Joo, "A Contrastive Semantic Analysis of English and Korean News Terminology," The Journal of translation studies, 12(3), pp. 263-279, Sep. 2011. 

  6. Jongki Kim and Dayeon Kang,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formation Systems Security Effectiveness of Password,"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18(4), pp. 1-26, Dec. 2008. 

  7. Wonwoo Lee, Statistics clearly written, Pakyoungsa, pp. 157-172, Sep. 2009. 

  8. R. Shay, S. Komanduri, A.L. Durity, P. Huh, M.L. Mazurek, S.M. Segreti, B. Ur, L. Bauer, N. Christin, and F. Cranor "Can long passwords be secure and usable?,"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ACM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2927-2936, Apr. 2014. 

  9. R. Shay, S. Komanduri, P.G. Kelley, P.G. Leon, M.L. Mazurek, L. Bauer, N. Christin, and L.F. Cranor "Encountering stronger password requirements: user attitudes and behaviors," Proceedings of the Sixth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pp. 2:1-2:20, July. 2010. 

  10. E. Stobert and R. Biddle, "The password life cycle: user behaviour in managing passwords," Proceedings of the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pp. 243-255, July. 2014. 

  11. R. Veras, C. Collins, and J. Thorpe, "On the semantic patterns of passwords and their security impact," Proceedings of Network and Distributed System Security Symposium, Feb. 2014. 

  12. B. Ur, F. Noma, J. Bees, S.M. Seqreti, R. Shay, L. Bauer, N. Christin, and L.F. Cranor, ""I Added '!' at the End to Make It Secure":Observing Password Creation in the Lab," Proceeding of the 11th Annual Symposium on Usable Privacy and Security, pp. 123-140, July.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