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뇨병 환자의 구강질환과 구강건강관리 실태
Oral disease and oral health care in the diabetic patient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5 no.5, 2015년, pp.925 - 932  

최혜숙 (경동대학교 치위생학과) ,  정영란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mellitus and oral disease in the Korea adults by using the representative data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 Methods: Using data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Korea N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당뇨병과 치아우식증 및 치주병의 증가는 국민의 건강 악화 및 의료비 부담이 증가하게 되므로 보건경제학적으로도 상당히 중요한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 우리나라 전체 국민을 모집단으로 한 당뇨병과 구강건강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적인 표본의 대표성을 가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자료를 통해 당뇨병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구강건강관리 실태를 파악하여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병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으로 관리가 중요한데, 어떻게 관리하여야 하는가? 구강병은 예방이 가능한 질병으로 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구강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치면세균막은 올바른 칫솔질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으로 제거가 가능하며, 다양한 구강 위생용품을 용도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하면 치면세균막의 관리와 치간 청결, 치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켜준다 7) . 그러나 본 조사 결과, 당뇨병 유병자의 구강건강관리 실천율, 구강검진 실천율, 칫솔질 실천율, 치실 사용 항목에서 일반인 보다 실천율이 낮게 분석되었으며, 이는 당뇨 환자들의 구강건강행동 실천율이 저조하였다는 연구결과 29) 와 유사하였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어느 정도인가?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당뇨병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해서 당뇨병 유병자 수가 약 3억 5천만명 정도로 추정되며 1) , 우리나라에서도 생활 양식의 변화와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당뇨병 등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의 당뇨병 유병률은 2001년에 8.6%에서 2012년에 9.0%로 증가하였고 2) , 당뇨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2010년 5위를 차지하였다 3) .
당뇨병의 가장 기본적인 관리는 무엇인가? 당뇨병의 가장 기본적인 관리는 혈당을 조절하는 것이며 당뇨병 유병자에서 적극적인 혈당 조절은 당뇨합병증의 발생 및 진행을 낮춘다고 알려져 있다 4,5) . 또한 당뇨병은 평생 자가관리가 필요한 질환으로 단순한 관리가 아니라 혈당 수준에 따라 자신의 생활습관을 조정하고 일상생활 중 일어날수 있는 여러가지 상황에서부터 급⋅만성 합병증에 이르기까지 동반되는 모든 경우에 대해 스스로 상태를 확인하고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4-6) .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WHO. Medical center Fact sheets Diabetes Updated November 2014 [Internet].[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12/e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examination Survey[KNHANES V-3][Internet].[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3.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2010. [Internet].[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menu/boardRetriveMenu-Set.xx?menuIdF3321. 

  4. Diabetes Control Group CTR. The effect of intensive treatment of diabetes on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long-term complications in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N Engl J Med 1995; 329: 977-86. 

  5. Turner RC, Holman RR, Cull CA, Stratton IM, Matthews DR, Frighi V, et al. Intensive blood-glucose control with sulphonylureas or insulin compared with conventional treatment and risk of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UK Prospective Diabetes Study (UKPDS) Group, Lancet 1998; 352(9131): 837-53. 

  6. Wikipedia. Diabetic management[internet].[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en.wikipedia.org/wiki/Diabetes_mellitus management. 

  7. Kim JB.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Seoul: Komoonsa; 2005: 1-3. 

  8. Na HJ, Jung UJ. A Comparative study on oral manifestation and abilities between diabetics and ordinary persons. J Korean Acad Dent Hyg 2010; 12(4): 299-313. 

  9. Petersen PE, Bourgeois D, Ogawa H, Estupinan-Day S, Ndiaye C. The global burden of oral diseases and risks to oral health. Bull World Health Organ. 2005; 83(9): 661-9.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590/S0042-9686200 5000900011/bwho.2005.83.9.661. 

  10. Ship JA. Diabetes and oral health. J Am Dent Assoc 2003;134(1):4S-10S.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4219/jada.archive.2003.0367/jada.2003.134.1.4S. 

  11. Salvi GE, Kandylaki M, Troendle A, Persson GR, Lang NP. Experimental gingivitis in type 1 diabetics: a controlled clinical and microbiological study. J Clinl Periodontol 2005; 32(3): 310-6.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111/j.1600-051X.2005.00682.x/jcp.2005.32.3.310. 

  12. Haffajee A, Arguello E, Ximenez-Fyvie L, Socransky S. Controlling the plaque biofilm. Int Dent J 2003; 53(S3): 191-9.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111/.j.1875-595X.2003.tb00770.x/idj.2003.53.S3.191. 

  13. MaryAnn Cugini R, Warren PR. The oral-b crossaction manual toothbrush: A 5-year literature review. J Can Dent Assoc 2006; 72(4): 323. 

  14. Taylor GW. Bidirectional interrelationships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s: an epidemiologic perspective. Ann Periodontol 2001; 6(1):99-112.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902/annals.2001.6.1.99 

  15. Khader YS, Dauod AS, El-Qaderi SS, Alkafajei A, Batayha WQ. Periodontal status of diabetics compared with nondiabetics: a meta-analysis. J Diabetes Complications 2006; 20(1): 59-68.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016/j.jdiacomp.2005.05.006/jdc.2006.20.1.59. 

  16. Stewart JE, Wager KA, Friedlander AH, Zadeh HH. The effect of periodontal treatment on glycemic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J Clin Peridontol 2001; 28(4); 306-10.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034/j.1600- 051x.2001.028004306.x. 

  17. Taylor GW: The effects of periodontal treatment on diabetes. J Am Dent Assoc 2003; 134: 41-48. Available from: http://dx.doi:10.14219/jada.archive.2003.0371. 

  18. Taylor GW, Borgnakke W. Periodontal disease: associations with diabetes, glycemic control and complications. Oral Dis 2008; 14(3): 191-203.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111/j.1601-0825.2008.01442.x/od.2008.14.3.191. 

  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Survey data [Internet]. [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 

  20. Korean Diabetes Association. Diabetes 4th ed, Seoul: Korea Medical Book Publisher. 2011. 

  21. Sandberg GE, Sundberg HE, Fjellstrom CA, Wikblad KF. Type 2 diabetes and oral health: a comparison between diabetic and non-diabetic subjec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0; 50(1): 27-34. 

  22. On-Ju Ju. Impact of oral health behaviors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periodontal diseases and missing tooth, J Korean Soc Dent Hyg 2011; 11(4): 511-22. 

  23. Mattout C, Bourgeois D, Bouchard P: Type 2 diabetes and periodontal indicators: epidemiology in France 2002-2003. J Periodontal Res 2006; 41(4):253-258.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1111/j.1600-0765.2006.00862.x. 

  24. Tsai C, Hayes C, Taylor GW: Glycemic control of type 2 diabetes and severe periodontal disease in the US adult populatio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2; 30(3): 182-92. Available from: http://dx.doi:10.1034/j.1600-0528.2002.300304.x. 

  25. Association AD. Standards of medical care in diabetes-2010. Diabetes Care 2010; 33(1): S11-S61.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2337/dc10-S011/dc.2010.33.1.11. 

  26. Yoon SJ. An improvement direction and current status of Korean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policy brief 2012; 6(1): 5-13. 

  27. Lee JH. A project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enter for chronic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 michuhol health point system. Local Informatization Magazine 2010; 61: 26-31. 

  28. Hwang EA. An acceptance expanding way of medical consumer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system at clinic level. Policy trends of consumer 2012; 32: 1-26. 

  29. Kang HE, Choi JS.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oral care self-efficacy in the type 2 diabetic patient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6): 1203-11. 

  30. Eldarrat AH. Awareness and attitude of diabetic patients about their increased risk for oral diseases. Oral Health Prev Dent 2011; 9(3): 235-41. Available from: http://dx.doi.org/10.3290/j.ohpd.a22331/ohpd.2011.9.3.235. 

  31. Syrjala AM, Kneckt MC, Knuuttila ML. Dental self-efficacy as a determinant to oral health behaviour. oral hygiene and HbA1c level among diabetic patients. J Clin Periodontol 1999; 26(9): 616-21.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ealth Plan 2020 [Internet].[cited 2014 Dec 12].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jb/sjb030301vw.jsp?PAR_MENU_ID03&MENU_ID0319&CONT_SEQ257824&page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