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사임당의 초충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팝아트의 색채표현을 적용하여 -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 design based on Chochungdo by Shin Saimdang - Through the color expression of pop art -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23 no.5, 2015년, pp.807 - 821  

송재민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종명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김지영 (충북대학교 패션디자인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as a high value-added exportable industrial product by developing a cultural product, that can be accepted as having universal beauty by people in the Western cultural area. This is done by, re-analyzing it from a modern perspective after applying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본 모티브형 디자인은 기본 원형 모티브를 원 포인트로 사용하였고, 기본 패턴형은 기본 원형 모티브를 반복시켜 패턴화시켰다. 변형 패턴형은 변형패턴을 적용하면서 화면구성에 있어서도 과감한 면분할을 시도하여 좀 더 과감하고 현대적인 느낌을 주고자 하였다. 팝 아트의 색채 표현 특성을 반영하여 컬러 기획은 초충도 이미지를 통한 다양한 전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스카프, 넥타이, 손수건, 부채의 아이템 별로 적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신사임당의 대표적 채색 초충화 중 하나인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초충 8폭의 그림(Fig. 1)을 대상으로 [Table 1]과 같이 구도와 소재, 색채를 살펴보았다.
  • 팝 아트의 색채 표현 특성을 반영하여 컬러 기획은 초충도 이미지를 통한 다양한 전개의 가능성을 보여주기 위해서 스카프, 넥타이, 손수건, 부채의 아이템 별로 적용하였다. 스카프는 밝고 화려한 pinkish(225 PC) 계열로 여성적인 부드러움을 강조하였고, 넥타이는 명료성과 창조성을 증가시키는 blueish(298 PC)로 지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손수건은 스트레스를 해소시키고, 정신적인 안정감과 평화를 주는 yellow greenish(376 PC)를, 부채는 환희와 희망의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yellowish(116 PC)로 하였다.
  • 이러한 취지로 본 연구에서는 세계시장을 겨냥한 글로벌 문화상품 개발을 위하여 신사임당 초충도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고, 팝아트의 색채특성과 색채표현을 살펴보았고, 독특한 색채와 패턴, 밝고 화려한 색채의 평면적 사용으로 선명한 시각효과를 추구한 앤디 워홀의 ‘플라워스’ 연작에서 기본색상(pinkish, blueish, yellow greenish, yellowish)을 추출하여 적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민족정서와 미의식이 잘 표현되어 있는 신사임당의 초충도에 대중들이 좋아할 만한 색의 선택과 현대 소비문화의 이미지를 긍정적인 시각으로 표현한 팝아트의 거장 앤디 워홀 작품의 색채를 적용하여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서양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보편적인 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 문화상품을 개발하여 고부가가치의 수출용 산업제품으로 발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전통미가 내재된 초충도를 디자인 개발에 활용하는 것은 문화주체성의 정립에 있어 그 의미와 가치가 크며, 세계적인 예술사조인 팝아트를 한국 전통문화와 융합시키는 작업은 글로벌 문화시대에 한국 전통문화가 세계인과 소통하는 계기를 마련할 것이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초충도 화가 중 신사임당 초충도는 어떠한 평가를 받고 있나요? 초충도는 조선시대에 들어서 중국의 영향을 벗어나, 우리만의 독립적인 화풍이 수립되게 되었는데, 대표적인 초충도 화가로는 조선 초기의 신사임당, 조선 중기의 이우, 조선 후기의 정선, 심사정, 김홍도, 조선 말기의 장승업, 남계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신사임당의 초충도는 조선시대 회화사에 있어서 동시대의 중국회화에서도 독립된 화풍으로 전개되지 못했던 초충도를 한국적 특성을 지닌 독립된 회화양식으로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작품이다(Lee, 2012).
초충이란 용어가 미술사에 처음 등장한 시기는 언제인가요? ‘초충(草蟲)’이란 용어가 미술사에 처음 등장한 것은 1006년 북송시대(北宋時代)의 황휴복(黃休復)의 익주명화록(益州名畵錄)에서이다. 그 이전에는 충금(忠禽: 곤충과 새), 승접(蠅蝶: 파리와 나비), 봉선(蜂蟬: 벌과 매미)과 같이 곤충 하나하나를 이름하거나 화조(花鳥)라는 화목(畵目)에 여러 가지 곤충․풀․꽃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Kim, 2012).
초충도란 무엇인가요? 그 이전에는 충금(忠禽: 곤충과 새), 승접(蠅蝶: 파리와 나비), 봉선(蜂蟬: 벌과 매미)과 같이 곤충 하나하나를 이름하거나 화조(花鳥)라는 화목(畵目)에 여러 가지 곤충․풀․꽃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Kim, 2012). 초충도는 일반적으로 우리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작은 야생풀, 꽃, 곤충 등의 자연물을 소재로 한 그림으로 대자연의 섭리와 질서가 함축적으로 집약된 것으로 우리의 자연관과 미의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초충도는 중국 회화와 교섭이 폭넓게 이루어지던 고려시대부터 회화양식으로 성립되면서 활발하게 전개된 것으로 본다(Ahn, 198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J. (1980). 한국회화사 [Korean painting history]. Seoul: Iljisa. 

  2. Ahn, H. J. (1988). 한국회화의 전통 [Tradition of Korean painting]. Seoul: Moonye Publishing. 

  3. Ahn, H. J. (2000). 한국 회화사 연구 [A study on Korean painting history]. Seoul: Sigongsa. 

  4. Choi, S. A., & Kim, M. J. (2008). A study of pop-art fashion, from the 1960's to the pres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8(8), 137-157. 

  5. Convitto (2009, December 8). Shin Saimdang's Chochungdo (草蟲圖) [Internet Jisikin]. Retrieved July 4, 2014, from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120102&docId100550010&qb 

  6. Doh, H. S. (1995). A study on Shin Saimdang's Chochunghwa (草蟲畵). Unpublished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Daegu, Korea. 

  7. Jeong, K. I. (2006). The study about expression of pop art: Colors into foc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8. Jin, H. A., Kim, J. I., & Park, H. S. (2015).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awareness of Pop Art technique applied cultural products. Journal of Digital Design, 15(2), 427-439. 

  9. Jung, S. H., & Jang, M. K. (2011). A study on formative relationship of Pop Art expressed in modern illustration: Focus on color and an image, expression technique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31, 215-224. 

  10. Kim, J. H. (2010). Pop artists' expression technique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Kongju, Korea. 

  11. Kim, K. M. (2009). Pop artists' color expression technique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12. Kim, M. H. (2008). A study on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Pop Art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2(4), 659-668. 

  13. Kim, S. H. (2012). A study of Shinsaimdang's the 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14. Kim, S. J. (2011). Pop art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15. Kim, S. Y. (2015). A study on pop art expression using photo ima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National University, Jeju, Korea. 

  16. Kim, W. R., & Ahn, H. J. (1993). 신판 한국 미술사 [(New edition) Korean Art history].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7. Kim, Y. J. (2009). A study on fashion design applied from paintings of Andy Warhol: Focusing on digital textile printing techniqu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8. Koh, M. S. (2010, January 1). '앤디 워홀의 위대한 세계' 전 꽃이 피어 봄이다 ['The Great World of Andy Warhol' exhibition-flowers bloom is spring]. dongA.com, Retrieved July 4, 2014, from http://news.donga.com/3/all/20100101/25149873/2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0&aid0002104353 

  19. Lee, B. G. (2012). The study of modern exploration of Korean Cochungdo.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Korea. 

  20. Lee, Y. M., & Kim, Y. J. (2007). Fashion design utilizing Saimdang Shin's Cho-Chung-Do.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7(2), 135-152. 

  21. Lippard, L. R., Alloway, L., Marmer, N., & Calas, N. (2011). 팝 아트 : 예술과 상품의 경계에 서다 [Pop Art: Stand on caution of art and merchandise] (S. H. Jeong, Trans.). Seoul: Sigongart. (Original work published 1985) 

  22. Oh, J. K. (2011). A study of popster in the works of textile design using formative imag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23. Oh, K. J. (1997). An aesthetic sense of Korea which was appeared in Chochungdo of Chosun period.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Korea. 

  24. Park, S. E. (2009). A study of Shinsaimdang's the painting of grass and insec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Korea. 

  25. Park, W. Y. (2002). 한국 채색화 기법 [Korean coloredpainting technique]. Seoul: Jaewon. 

  26. Song, H. R.(2011). A study on the fashion design development applying similarity between Korean folk painting and pop ar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duk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27. Vaughan, W. (Ed.). (2011). 화가로 보는 서양미술사: 비잔틴에서 팝아트까지, 치마부에에서 앤디워홀까지 [The encyclopedia of world artists](S. R. Shin, Trans.). Seoul: Bookroad. (Original work published 2007) 

  28. Wi, J. S., & Rha, S. I. (2004). A study on the code of Pop art in modern style of clothing: Since the early of the 200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2(3), 441-454. 

  29. Yim, E. H. (2005). Pop art-inspired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5(1), 13-24. 

  30. Yu, J. E.(2011). A study on aesthetic consciousness of Grass and insect painting by Shin Saimdang. Journal of Korean Classical Chinese Literature, 23, 69-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