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염수로 포화된 해안지역 대수층을 활용한 수자원확보 방안
Subsurface Water Storage Using Coastal Aquifers Filled With Saline Water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27 no.5, 2015년, pp.353 - 357  

정은태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남식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인철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  이승휘 ((주)우리엔지니어링)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해수침투로 인하여 부존되어 있는 지하수의 염분농도가 높아 방치되고 있는 해안지역 대수층을 활용한 수자원 확보 방안을 제안하였다. 대수층으로 담수를 주입하여 염수를 치환할 수 있는 주입-양수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염수로 포화되어 있는 충적층에서 인공함양 및 회수 기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수정으로 유입되는 염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정을 염수 침투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염수포획관정의 효과를 수치모델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적절히 설계된 염수포획관정은 담수 양수정을 염수침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new method is proposed for water resources using aquifers in coastal areas. These aquifers are generally filled with saline water due to seawater intrusion and consequently being left unutilized. Surface water can be injected into these aquifers and recovered for water quality enhancement and s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양수정에서의 해수비율을 줄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주입량을 증가시키고 양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주입정과 양수정 간의 거리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대안을 검토하고자 한다. 먼저 양수정의 스크린의 길이와 설치 심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가상의 연직 단면의 해안 대수층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하천 하구의 해안지역에서는 지층의 구성이 지표로부터 표토층, 점토층, 모래층, 자갈층, 풍화암층, 연암층 등의 순서로 빈번하게 나타난다.
  • 그러나 하천 하구에는 상류 지역보다 투수성과 규모가 우수하지만 염수로 포화된 대수층이 발달해 있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의 염수를 담수로 치환할 수 있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하구 대수층에 담수를 인공 주입시키고 인근에서 양수하는 수자원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은 하상을 통하여 하천수가 대수층으로 유입되는 강변여과와 달리 담수가 주입정을 통하여 대수층으로 주입되는 차이가 있으나 자연 수질 개선을 꾀하는 점에서는 확장된 강변여과 방법으로 생각될 수 있다.
  • 따라서 해안 대수층에서 인공함양 및 회수 기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수정으로 유입되는 염수를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정을 염수 침투로부터 방지하는 데 있어 염수포획관정의 효과를 수치모델링 방법으로 분석하고 양수정을 염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추후 연구에서 고려되어야 할 사항으로 3차원 모델링, 염수포획관정의 최적 양수량, 주입정과 양수정의 최적 배치 및 최적 운영방안 등이 있다.
  • , 2007; NRC, 1994; NGWA, 2008; Washington State, 2000). 본 연구에서는 해안지역 대수층에 관정을 통하여 주입된 담수로 조성되는 담수체의 거동과 양수정으로 담수를 회수할 때 염 지하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염수포획관정의 적용성을 수치모델링 연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 양수정에서는 초기에는 대수층 내 존재하던 염수가 생산되나 시간이 경과하면 주입수의 비율이 높아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양수정에서 기존의 염수가 섞이지 않은 주입수 (담수) 만 생산하는 것이다. 양수정에서 얻을 수 있는 최고 주입수 비율은 관정의 위치, 주입량, 양수량 그리고 대수층의 수리지질 특성에 의하여 결정된다.
  • 전술된 결과에서는 양수정으로 염수가 유입되어 소기의 담수생산 목적 달성이 불가능하였다. 여기서는 양수정의 염수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한다. 양수정에서의 해수비율을 줄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는 주입량을 증가시키고 양수량을 감소시키거나 주입정과 양수정 간의 거리를 줄이는 방법이 있다.

가설 설정

  • 는 각 유체의 밀도를 나타내며, Eq. (4)는 해수-담수 경계면에서 압력은 연속임을 의미한다. 지하수 관정에서 총 양수량 Qt가 양수될 때 양수되는 물의 종류는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 가상 연직 단면 대수층의 길이는 1600 m, 점토층은 평균 해수면 아래 10 m~40 m 구간에 분포하며 (두께 30 m), 대수 층은 점토층 하부에 두께가 40 m로 형성되어 있다. 대수층의 하부는 불투수 암반으로 가정하였다. 대수층의 유효공극률은 0.
  • 지하수 관정에서 총 양수량 Qt가 양수될 때 양수되는 물의 종류는 여러 가지 인자에 의하여 결정된다. 여기서는 양수되는 해수와 담수의 비율이 관정의 스크린 구간에서 각 유체의 투수량계수에 의하여 결정된다고 가정하였다. 그러면 각 유체의 양수량은 다음과 같이 산정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변여과 기술이란? , 2014). 강변여과 기술은 강변에 설치한 지하수 양수정에서 지하수를 양수하면 동수경사가 발생하여 하천수가 하상을 통하여 양수정으로 흐르게 하는 유도함양 기술이다. 강변여 과의 목적은 강변의 토양층을 흐르는 동안 일어나는 하천수의 자연 수질 개선이다(Hamm et al.
염수로 포화되어 있는 충적층에서 인공함양 및 회수 기술이 성공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문제는? 대수층으로 담수를 주입하여 염수를 치환할 수 있는 주입-양수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염수로 포화되어 있는 충적층에서 인공함양 및 회수 기술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양수정으로 유입되는 염수를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양수정을 염수 침투로부터 방지하기 위한 염수포획관정의 효과를 수치모델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물 공급의 안정성을 꾀하기 위하여 해수담수화, 강변여과 등의 대체 수자원 개발이 추진하고 있는 이유는?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지표수 댐 위주의 수자원 정책이 펼쳐져 왔다. 그러나 환경보호운동, 산업의 발달로 인한 수질 악화, 기후변화, 각종 재난 등으로 지표수 댐의 개발 및 유지관리가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물 공급의 안정성을 꾀하기 위하여 해수담수화, 강변여과 등의 대체 수자원 개발이 추진되고 있다(Kim.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li, G., Asghar, M.N., Latif, M. and Hussain, Z. (2004). Optimizing operational strategies of scavenger wells in lower indus basin of pakistan.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66(3), 239-249. 

  2. Cheong, J.Y., Hamm, S.Y., Kim, H.S., Son, K.T., Cha, Y.H., Jang, S. and Baek, K.H. (2003). Characteristics of waterlevel fluctuation in riverside alluvium of daesan-myeon, Changwon city.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13(4), 457-474. 

  3. Hamm, S.Y., Cheong, J.Y., Kim, H.S., Hahn, J.S. and Cha, Y.H. (2005). Groundwater flow modeling in a riverbank filtration area, Deasan-myeon, Changwon City.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38.1 67-78. 

  4. Kim, B.W., Choi, D.H., Kim, D.G. and Kim, G.B. (2014). Current states of the global water market and considerations for the groundwater industry in south Korea.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3), 431-440. 

  5. Kim, T.H., Jeong, J.H., Kim, M., OH, S.H. and Lee, J.S. (2014).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geological characteristics and water withdrawals in the laterals of radial collector well.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24(2), 201-215. 

  6. Kim, Y.C. and Kim, Y.J. (2010). A review on the state of the art in th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46(5), 521-533. 

  7. Lowry, C.S. and Anderson, M.P. (2006). An assessment of aquifer storage recovery using ground water flow models. Groundwater, 44(5), 661-667. 

  8. Murray, R., Tredoux, G., Ravenscroft, P. and Botha. F. (2007). Artificial recharge strategy: Department of water affairs and forestry, Rep. of S. Africa, ver. 1.3. 194. 

  9. NRC (1994), Groundwater recharge using waters of impaired water qualit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10. NGWA. (2008). Enhanced groundwater storage, Information Brief, Westerville, Ohio. 

  11. Park, N.S., Huyakorn, P.S., Wu, Y.S. and Barcelo, M.D. (1993). A sharp interface saltwater intrusion code for layered aquifer systems, Proceedings of ASCE International Symposium on Engineering Hydrology, San Francisco, USA, 1159-1164. 

  12. Pyne, R.D.G. (1995). Groundwater recharge and wells: a guide to aquifer storage recovery. CRC press. 

  13. Shi, L., Park, N.S. and Cui, L. (2007). Salinity estimation for a coastal pumping well.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IVIL EXPO, 1372-1375. 

  14. Washington State. (2000). Summary of major ASR projects in washington, Washington State Dept of Ec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