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희소금속 소재와 신성장동력 산업 원문보기

세라미스트 = Ceramist, v.18 no.3, 2015년, pp.5 - 22  

이미혜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김범성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초록이 없습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희소금속은 무엇인가? 희소금속은 지각 내에 존재량이 적거나 추출이 어려운 금속원소로 정의되고 있으며, 부품·소재의 주요기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물질로 국민 생활과 산업 분야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 금속소재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텅스텐, 인듐, 코발트, 니켈, 타이타늄 등 산업에 중요한 35종(56 원소)을 ‘희소금속 자원’으로 분류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rare metal”, 일본에서는 “희소금속(稀少金屬)” 또는 “레아메탈(レアメタル)”이라 칭하며, 국가 차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희소금속의 기초소재 기술을 국가 산업발전을 위한 기술로 인지해야하는 이유는? 따라서 희소금속의 기초소재 기술은 국가의 산업고도화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선행 핵심기술로 인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희소금속산업의 발전 없이는 국가의 산업 발전 및 기술 고도화 실현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자, 정보·통신 등 첨단산업의 성장이 있다 할지라도 자체적 고순도 희소금속 기초소재개발 능력 결손 시 부품·소재의 대외 의존이 불가피하여, 궁극적으로 최종제품 산업의 대외경쟁력 저하 및 국가 무역수지의 악화, 방위 산업 및 기술의 대외의존 심화 등 구조적 문제가 지속 되어 국가 경쟁력과 경제에 치명적일 수 있다. 자원을 가진 국가는 자원을 무기로 단기간에 선진국 도약을 위해 소재, 부품, 제품 전방산업을 연계한 국가주도 압축 성장전략을 구사할 수 있으며, 한편 기술을 가진 국가는 지속적인 글로벌 리딩을 강화하기 위해서 자원 의존도를 완화하기 위한 순환, 저감, 대체 기술개발에 주력하여 자원과 기술의 전쟁을 이끌 수 있다.
희소금속 산업의 특성은? 희소금속 산업은 기존 금속소재의 고순도화, 합금화, 분말화, 신 가공 기술의 결합으로 새로운 기능성의 금속소재를 창출하는 신소재로서 시장 수요와 공급에 아주 민감하며, 첨단산업의 기반이 되는 다품종 소량생산, 고부가가치의 부품·소재산업으로 기술집약적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희소금속의 기초소재 기술은 국가의 산업고도화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선행 핵심기술로 인지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S. J. Ju and C. B. Dong, "Super Permanent magnetic materials(in Korean)," UlSan University Press, (2002). 

  2. S. Constantinides, "The Demand for Rare Earth Materials in Permanent Magnets," Arnoldmagnetics, (2012). 

  3. TDK Co., Ltd., "Ferrite"(in Korean), pp.2-5, chmunsa, (1999). 

  4. S. Constantinides, "The Demand for Rare Earth Materials in Permanent Magnets," pp.2-15, Arnoldmagnetics, (2012). 

  5. Clagett & Trout, "Permanent Magnets 2010-2020," Benecki, p.13-20, (2011). 

  6. M.H.Walmer, J.F.Liu, and P.C.Dent, "Current Status of Permanent Magnet Industry in the United States," pp.1-6, Proceedings of 20th International Workshop on Rare Earth Permanent Magnetss and their Applications, (2008). 

  7. DOE, "Critical Materials Strategy," pp.84, Department of Energy, US, (2012). 

  8. J. G. Na, "Electrical and Electronic Industry, Past and Present(in Korean)," KISTI, (2010). 

  9. "Materials Technology Report(in Korean)," KIMS, (2010). 

  10. N. H. Kwon, "Display Industry(in Korean)," DGI, 2013. 

  11. S. P. Kim and D. H. Kim, "Lighting Technology and R & D Trends(in Korean)," KISTEP, (2011). 

  12. Y. G. Hwang, S. C. Gil, and J. H. Kim, "Automotive Rare Metal Recycling Technology Trends(in Korean)," KISTI Journal, 23 [2] 14 (2014). 

  13. S. H. Cho, "Rare Earth and the Automotive Industry(in Korean)," Auto Journal 9 [40] (2014). 

  14. J. G. Lee, J. H. Yoo, H. J. Kim, and T. S. Chang, "Rare Earth Resources Problem Solving Motors, Permanent Magnet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s(in Korean)," J. Korean Magn. Soc., 22 [2] 61 (2012). 

  15. K. S. Shin, "http://cafe.naver.com/kotragaps/106(in Korean)," (2010). 

  16. H. S. Jung, H. M. Jung, S. S. Kim, M. K. Ji, and ZhenHua Jin, "Renewable Energy Engineering(in Korean)," Munundang, (2011). 

  17. J. G. Park,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in Korean)," Hongrung Publishing Company, 2010. 

  18. J.M. Tarascon, M. Armand, "Nature 414" p.22,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