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ffects of Somatosensory Training on Upper Limb for Postural Control and Locomotion in Hemiplegic Stroke with Unilateral Neglec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JKPT =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27 no.5, 2015년, pp.332 - 338  

Song, Bo-Kyoung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ural control and locomotion on improvement of two point discrimination (TPD), stereognosis (ST) through somatosensory training (SST) on the upper limb (UL). Methods: The subjects were 20 hemiplegia patients who have problems with 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뇌졸중 후 편측무시를 동반한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상지 체감각 훈련이 인간보행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연구결과, 두 치료군 모두에게 치료 전, 후에서 보행증진에 도움을 주었으나 두 치료군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 본 검사는 노인의 자세조절력과 기능적인 보행능력을 평가하여 낙상의 위험을 예측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최근에는 허약한 노인뿐만 아니라 뇌졸중, 파킨슨병, 관절염 환자에게도 적용하였다.15,16 측정방법은 46 cm 높이의 팔걸이가 있는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 3 m를 왕복하여 걸은 뒤, 원위치로 돌아와 앉는 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간인식의 어려움을 갖는 편측무시를 동반한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상지 체감각 훈련이 자세조절과 보행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는데 특히 보존적 치료군과 체감각 훈련군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편측무시를 동반하는 편마비 환자의 감각증진, 자세조절 및 보행에서 감각치료접근의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공간인식의 어려움을 갖는 편측무시를 동반한 편마비 환자에게 적용한 상지 체감각 훈련이 자세조절과 보행에 어떠한 도움이 되는지 알아보았는데 특히 보존적 치료군과 체감각 훈련군 사이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편측무시를 동반하는 편마비 환자의 감각증진, 자세조절 및 보행에서 감각치료접근의 상관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10 하지만 뇌졸중 후 편측무시를 동반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체감각 훈련을 통한 보행과 자세조절의 변화를 보고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편측무시를 동반한 편마비 환자의 상지 체감각 훈련과 기존치료가 자세조절과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자세조절과 인간보행의 치료접근과 근거를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humway-Cook A, Woollacott MA.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3rded. Baltimore, Lippincott William & Wilkins, 2007:299-309. 

  2. Inman VT. Human Locomotion. Can Med Assoc J. 1966;94(14):1047-54. 

  3. Kim JH.Relationship between gait symmetry and functional balance, walking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stroke. J Kor Phys Ther. 2014; 26(1):1-8. 

  4. Patla AE. Neurobiomechanical base for the control of human locomotion. In: Bronstein A, Brandt T, Woollacott M, eds. Balance posture and gait. Arnold. London, 1996:19-40. 

  5. Karnath HO, Rennig J, Johannsen L et al. The anatomy underlying acute versus chronic spatial neglect: A longitudinal study. Brain. 2011;134(1):903-12. 

  6. Karnath HO, Rorden C. The anatomy of spatial neglect. Neuropsychologia. 2012;50(1):1010-7. 

  7. Kerkhoff G, Schenk T. Rehabilitation of neglect: An update. Neuropsychologia. 2012;50(1):1072-9. 

  8. Ladavas E, Bonifazi S, Catena L et al. Neglect rehabilitation by prism adaptation: Different procedures have different impacts. Neuropsychologia. 2011;49(5):1136-45. 

  9. Tsang MH, Sze KH, Fong KN. Occupational therapy treatment with right half-field eye-patching for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and unilateral neglect: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Disabil Rehabil. 2009;31(1):630-7. 

  10. Borchers S, Hauser TK, Himmelbach M. Bilateral hand representations in human primary proprioceptive areas. Neuropsychologia. 2011;49(1):3383-91. 

  11. Morch CD, Andersen OK, Quevedo AS et al. Exteroceptive aspects of nociception: Insights from graphesthesia and two-point discrimination. Pain. 2010;342(3):187-90. 

  12. Julkunen L, Tenovuo O, Jaaskelainen SK et al. Recovery of somatosensory deficits in acute stroke. Acta Neurol Scand. 2005;111(1):366-72. 

  13. Hwang BY. Effects of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Keimyu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2. 

  14. Benaim C, Perennou DA, Villy J et al. Validation of a standardized assessment of postural control in stroke patients: The Postural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s (PASS). Stroke. 1999;30(1):1862-8. 

  15.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t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1):142-8. 

  16. Morris S. Morris ME, Iansek R. Reliability of measurements obtained with the times up and go test in people with parkinson disease. Phys Ther, 2001;83(2):810-8. 

  17. Song BK. Effect of somatosensory stimulation on upper limb in sensory, hand function, postural control and ADLs within sensorimotor deficits after stroke. J Kor Phys Ther. 2012;24(5):291-9. 

  18. Jung MS, Park JW. The relationship between balance test and fear of falling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J Kor Phys Ther. 2012;24(1):23-8. 

  19. Park SK, Kang YH. Effects of weight distribution and balance with foot orthotics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Phys Ther. 2012;24(3):241-6. 

  20. Utz KS, Keller I, Artinger F et al. Multimodal and multispatial deficits of verticality perception in hemispatial neglect. Neuroscience. 2011;188(1):68-9. 

  21. Ladavas E, Berti A, Ruozzi E et al. Neglect as a deficit determined by an imbalance between multiple spatial representations. Exp Brain Res. 1997;16(3):493-500. 

  22. Petersen SE, Posner MI. The attention system of the human brain: 20 years after. Annu Rev Neurosci. 2012;35(1):73-89. 

  23. Ptak R, Schnider A. The attention network of the human brain: Relating structural damage associated with spatial neglect to functional imaging correlates of spatial attention. Neuropsychologia. 2011;49(11):3063-70. 

  24. Kinsbourne M. Mechanisms of unilateral neglect. In: Jeannerod M, eds. Neurophysiolog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pects of spatial neglect. Amsterdam, North-Holland, 1987:69-86. 

  25. Zoltan B, Siev E. Freishtat B. The adult stroke patient a manual fo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erceptual and cognitive dysfunction reversed 2nd ed. Thorofare, Slack, 1991:51-70. 

  26. Coslett HB. Evidence for a disturbance of the body schema in neglect. Brain Cogn. 1998;37(3):527-44. 

  27. Robert IH, North N. Active and passive activation of left limb: Influence on visual and sensory neglect. Neuropsychologia.1993;31(3):293-300. 

  28. Eskes GA, butler B, Mcdonald A. Limb activation effects in hemispatial neglect.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323-8. 

  29. Kim JH.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n standing-balance in stroke with neglect and sensory deficit.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07. 

  30. Balslev D, Odoj B, Karnath, HO. Role of somatosensory cortex in visuospatial attention. J Neurosci. 2013;33(46):18311-8. 

  31. Dickstein R, Shefi S, Marcovitz E et al.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in selected trunk muscles in poststroke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261-7. 

  32. Peterka RJ. Sensorimotor integration in human postural control. J Neuphy. 2002;88(1):1097-18. 

  33. Baldan AMS, Alouche SR, Araujo IMG et al. Effect of light touch on postural sway in individuals with balance problems: A systematic review. Gait & Posture 40(1), 2014;1-10. 

  34. Kirker SGB, Simpson DS, Jenner JR et al. Stepping before standing: Hip muscle function in stepping and standing balance after strok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68(1):458-64. 

  35. Martinelli AR, Coelho DB, Magalhaes FH et al. Light touch modulates balance recovery following perturbation from fast response to stance restabilization. Exp Brain Res. 2015;233(5):1399-408. 

  36. Chang J, Lee S, Lee M et al. The correlations between gait speed and muscle activation or foot pressure in stroke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2009;21(3):47-52. 

  37. Kim GH, Choe HS, Lee HI et al. The effects of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ing on dynamic standing balance in stroke patients. J Kor Phys Ther. 2014;26(1):15-2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