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부화재시 LPG 소형저장탱크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of Small LPG Storage Tanks at External Fir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30 no.4, 2015년, pp.64 - 72  

임지표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마병철 (화학물질안전원) ,  정창복 (전남대학교 응용화학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safety of a small LPG storage tank with a capacity less than 3 ton when it is exposed to an external fire. First, simula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using ASPEN Plus and PHAST to demonstrate that overpressurization in the tank can be relieved by discharg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가정용이나 사업장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3톤 미만의 LPG 소형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 발생시 탱크의 안전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먼저, 1차적으로 탱크에 설치된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과압을 해소할 수 있지만, 방출되는 LPG로 인한 2차적인 화재나 폭발을 가져올 수 있음을 ASPEN Plus와 PHAST 모사를 통해 보였다.
  • 이 연구에서는 LPG 소형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과압에 의해 안전밸브에서 방출되는 LPG의 위험성과 과열로 발생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파열 가능성을 PHAST, AFFTAC 및 ASPEN Plus를 이용한 모사를 통해 확인하고, BLEVE 등에 의한 피해 크기를 예측하고자 한다. 아울러 LPG 소형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LPG 소형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과압에 의해 안전밸브에서 방출되는 LPG의 위험성과 과열로 발생할 수 있는 저장탱크의 파열 가능성을 PHAST, AFFTAC 및 ASPEN Plus를 이용한 모사를 통해 확인하고, BLEVE 등에 의한 피해 크기를 예측하고자 한다. 아울러 LPG 소형저장탱크 주변에서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탱크 내부의 액상와 기상의 온도(TLPG)는 동일하며 시간에 따라서 변하지만 공간적으로는 균일하다.
  • 액상과 접촉하고 있는 탱크 안쪽 벽면의 온도는 액상의 온도와 동일하다.
  • 소화설비 설치 유무와 10 mm 두께의 보온재 설치 유무에 따른 4개 시나리오에 대해 안전밸브의 배출용량을 계산한 결과를 Table 4에 나타내었다. 배출용량의 계산은 지름과 높이가 각각 1.8 m와 2 m인 수직형 탱크를 가정하였으며 액체상태의 LPG와 저장탱크의 접촉면적은 초기 액체의 액위를 1.6 m로 하여 9.0 m2를 적용하였다.
  • 안전밸브가 설치된 LPG 저장탱크 주변에 화재가 발생할 때 탱크 내부의 압력 및 온도가 보이는 동적 거동을 ASPEN Plus를 이용하여 모사하였다. 안전밸브로는 2.1절에서 설정한 오리피스 G를 사용하였고, 80%와 20%로 각각 충전된 두 개의 탱크 주변에서 30분 동안 화재가 일어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 위험성 검토시 LPG 소형저장탱크는 실제 탱크와 유사하게 탄소강으로 제작된 것을 가정하였으며 안지름과 체적 및 두께는 각각 1.8 m와 6.8 m3 및 12.7 mm를 사용하였다. 또한 불꽃과 저장탱크 벽의 복사능(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PG의 주요 성분은 무엇인가? LPG(Liquefied Petroleum Gas)는 도시가스와 더불어 가정에서나 사업장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중요한 물질이지만 누출될 경우 화재나 폭발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가스이다. Table 1에 LPG의 주요 성분인 프로판과 부탄의 물성을 나타내었다.
아파트 단지, 고속도로 휴게소,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폭발 방지장치나 살수장치 등의 설치를 피하기 위하여 LPG를 어디에 저장하여 사용하는가? LPG는 저압에서 쉽게 압축되므로 주로 액화상태로 탱크에 저장한 후 기화시켜 사용한다. 특히 아파트 단지, 고속도로 휴게소,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폭발 방지장치나 살수장치 등의 설치를 피하기 위하여 C3-LPG를 3톤 미만의 소형탱크에 저장하거나 합계 5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를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액화석유가스법)에서 3톤 이상의 저장탱크에는 폭발방지 장치를 설치하거나 물분무장치(살수장치) 또는 소화전을 설치하여 외부화재시 안전을 확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소형저장탱크에는 안전밸브 외에는 특별한 안전조치를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LPG를 C3-LPG를 3톤 미만의 소형탱크에 저장하거나 합계 5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를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허락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아파트 단지, 고속도로 휴게소, 중소규모 사업장 등에서는 폭발 방지장치나 살수장치 등의 설치를 피하기 위하여 C3-LPG를 3톤 미만의 소형탱크에 저장하거나 합계 5톤 미만의 소형저장탱크를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는 액화석유가스의 안전관리 및 사업법(액화석유가스법)에서 3톤 이상의 저장탱크에는 폭발방지 장치를 설치하거나 물분무장치(살수장치) 또는 소화전을 설치하여 외부화재시 안전을 확보하도록 의무화하고 있으나 소형저장탱크에는 안전밸브 외에는 특별한 안전조치를 규정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 -H. Lee, S. -H. Um and R. -H. Kim, "Reform Method for Installation Criterion of Pressure Safety Valve Discharge Pipe for LP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Gas, Vol. 16, No. 4, pp. 59-64. 2012. 

  2. L. -S. Lee and Y. -S. Lee, "A Study on the Proability of BLEVE of Above-ground LPG Storage Tanks Exposed to External Fir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Gas, Vol. 7, No. 1, pp. 19-23. 2003. 

  3. J. -G. Yoon, "The Study for Cause of Boo-choon LPG Station Accid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Industry of Safety, Vol. 16, No. 3, pp. 31-34. 2001. 

  4. KOSHA Guide D-18, "Technical Guideline for Design and Installation of Safety Valve", KOSHA, pp. 7-10, 2012. 

  5. API STD 521, "Pressure-relieving and Depressuring Systems", API, pp. 36-223. 2014. 

  6. KOSHA Guide D-26, "Technical Guideline for Pocess Safety Valve", KOSHA, pp. 1-32. 2012. 

  7. Gabriele Landucci, Menso Molag & Valerio Cozzani, "Modeling the Performance of Coated LPG Tanks Engulfed in Fires",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 Vol. 172, pp. 447-456. 2009. 

  8. C. -W. Son, "The Way to Shorten Response Time for Fire Damage Reduction", DAEGU's Administrative Hard Study, Vol. 22, pp. 979-994. 2010. 

  9. Edward Zamejc, "API Standard 521 New Alternative Method to Evaluate Fire Relief for Pressure Relief Device Sizing and Depressuring System Design",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7, pp. 21-31. 2014. 

  10. A.M. Birk, D. Poirier and C. Davison "On the Response of 500 Gal Propane Tanks to a 25% Engulfing Fir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19, pp. 527-541, 2006. 

  11. F. Heymes, L. Aprin, A.M. Birk, P. Slangen, J.B. Jarry, H. Francois and G. Dusserre, "An Experimental Study of an LPG Tank at Low Filling Level Heated by a Remote Wall Fire",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Vol. 26, pp. 1484-1491. 2013. 

  12. R. R. Scott, "Users Manual for AFFTAC 4.00 Beta 06", The Railway Progress Institute and the Association of American Railroads, pp. 11-159. 2013. 

  13. T. A. Rpberts, I. Buckland, L.C Shirvill, B. J. Lowesmith and P. Salater, "Design and Protection of Pressure Systems to Withstand Severe Fires", Process Safety and Environment Protection, Vol. 82, pp. 89-96, 2004. 

  14. KOSHA Guide P-107, "Guideline for Selection of the Worst Leak Scenario", KOSHA, pp. 1-14. 2012. 

  15. KOSHA Guide P-110, "Technical Guideline for Damage Minimization Measure of Chemical Factory", KOSHA, pp. 1-22. 2012. 

  16. KOSHA Guide P-102, "Technical Guideline for Consequence Analysis", KOSHA, pp. 12-14.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