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 및 도입어종의 서식 현황
Fluctuation of Fish Community and Inhabiting Status of Introduced fish in Gangeungnamdae Stream,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9 no.5, 2015년, pp.718 - 728  

변화근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오재경 (서원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릉남대천의 어류군집 변화와 도입된 어종의 서식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9개 지점에서 2013년 9월에서 2014년 5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14과 36종 이었고, 멸종위기종에 속하는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1종이 출현하였다. 한반도 고유종은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을 포함하여 9종으로 고유화빈도가 25.0% 이었다. 우점종은 버들개(Rhynchocypris steindachneri, St. 1), 참갈겨니(Zacco koreanus, St. 2, 4, 5, 6),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 St. 3), 피라미(Zacco platypus, St. 7, 8), 황어(Tribolodon hakonensis, St. 9) 이었다. 한강수계에서 강릉남대천으로 도입된 어종은 새미, 돌고기(Pungtungia herzi), 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ae), 모래무지(Pseudogobio esocinus),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피라미, 참갈겨니, 새코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퉁가리(Liobagrus andersoni), 꺽지(Coreoperca herzi) 11종이었다. 개체군과 분포역이 급격히 확대되는 도입어종은 피라미, 참갈겨니, 돌고기, 긴몰개 등이었으며 정착되어 안정적인 개체군을 형성하였으며 서식지가 급격히 확대되지 않은 어종은 새미, 쉬리, 버들개 등 이었다. 정착하였으나 개체군이 매우 적은 어종은 꺽지와 퉁가리이었다. 1973년에 비해 개체수 구성비가 3%이상 감소된 어종은 버들개, 종개(Orthrias toni), 북방종개(Iksookimia pacifica),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가시고기,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등 이었고 버들개는 56.1%에서 12.9%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ish community and inhabiting status of introduced fish were surveyed at nine stations of Gangeungnamdae stream from September 2013 to May 2014. A total of 36 species of fourteen families were collected from the survey stations and among them, Pungitius sinensis was identified as endangered sp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류로는 화란봉(1,069m)에서 발원하는 왕산천이 왕산면 왕산리에서 합류되며 또한 곤신봉(1,131m)에서 발원하는 보광천이 성산면 오봉리에서 합류되며 왕산천이 합류되는 중류역에 상수원인 강릉저수지가 형성되어 있다. 본 조사는 강릉남대천에 이입된 어종의 서식 현황과 기존 서식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접한 하천 간에는 서로 동일한 어종을 많이 공유하지만 다른 하천에는 없는 어종이 존재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 지역의 생물은 그 곳의 지사적, 생물학적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담수어류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그러한 특징을 더욱 잘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산맥이 잘 발달되어각 하천수계는 서로 고립되어 있다. 빙하가 발달하여 각 수 계가 서로 연결되었을 때 어류들이 각 하천으로 분산하고 다시 빙하가 후퇴하면서 하천 간의 연결이 끊어지게 되었고그 후 서로간의 교류가 없어져 각기 분화하여 다른 종으로 진화해 왔다. 그래서 인접한 하천 간에는 서로 동일한 어종을 많이 공유하게 되지만 다른 하천에는 없는 어종이 존재할 수 있게 된다(Jeon, 1980; Kim, 1997).
1970년 이후 급격한 산업화로 서식 환경을 파괴한 요인은 무엇인가? , 2002; Kim, 2005). 1970년 이후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하천 개수, 골재 채취, 보와 댐 건설 등에 따라 서식 환경이 파괴되었다. 또한 하천의 미소서식지 단순화, 농·축산 및 산업 폐수와 생활하수 등에 의한 수질 악화, 남획과 외래종 방류 등에 따른 생태적 교란에 의해 우리나라의 하천생태계는 급속도로 변모되고 파괴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한 어종들은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생태적 교란을 초래한 원인은 무엇인가? 1970년 이후 급격한 산업화가 진행됨에 따라 하천 개수, 골재 채취, 보와 댐 건설 등에 따라 서식 환경이 파괴되었다. 또한 하천의 미소서식지 단순화, 농·축산 및 산업 폐수와 생활하수 등에 의한 수질 악화, 남획과 외래종 방류 등에 따른 생태적 교란에 의해 우리나라의 하천생태계는 급속도로 변모되고 파괴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적응 하지 못한 어종들은 그 수가 급격히 감소하거나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한 지역의 생물은 그 곳의 지사적, 생물학적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담수어류는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그러한 특징을 더욱 잘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yeon, H.K. (1999) The Effect of Variations to the Fish Community after Riverbed Improvement in the Kangnung Namdae Stream. Korean Bulletin of the KACN Ser. 18: 53-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Byeon, H.K. (2014) Habitat Characteric of Coreoperca herzi and Coreoleuciscus, and Effect on Introduced to Different Water System. Korean Nature Conservation. 165: 13-2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Byeon, H.K. and B.R. Lee (2011) Restoration of Fish habitat and Musim Stream fish. Dwimok press.Cultural history. Cheongju. pp. 8-18. (in Korean) 

  4. Byeon, H.K. J.S. Choi and J.K. Choi (1996) Fish Fauna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Anadromous Type Fish in Yangyangnamdae Stream. Korean J. Limnol. 29(3): 159-1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Byeon, H.K. and S.R. Jeon (1997) Feeding habit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troduced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5(2): 165-1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Byeon, H.K., S.R. Jeon and D.H. Kim (1997)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Lake Soyang. Korean J. Limnol. 30(4): 325-3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hoi, J.K. and H.K. Byeon (2009)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bitis pacifica (Cobitidae) in the Yeongok Stream. J. Limnol. 42(1): 26-31(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Choi, K.C. (1986) Nature of Gangwon (Freshwater Fish). Jeongmunsa. 370pp. (in Korean) 

  9. Choi, K.C. and S.R. Joen (1968) Stusies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in East Side Area of Taebaik Mountain Chain. Korean J. Zool. 11(1): 13-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Choi, K.C., I.S. Kim and E.H. Choi (1973) On the Fish Fauna in the Namdae River, Gang Neung. Korean J. Limnol. 6(3-4): 2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Choi, K.C. S.R. Jeon and I.S. Kim (1982) The Atlas of Korean Fresh-Water Fishes. Korean Institute of Fresh-water Biology. 71pp. (in Korean) 

  12. Choi, K.C., S.R. Jeon, I.S Kim and Y.M. Son (2002) Coloured Illustrations of The Freshwater Fishes of Korea. Hyangmunsa Press Co. Seoul. 220pp. (In Korean) 

  13. Cummins, K.W. (1962) An evalua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14. Jeon, S.R. (1980)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fresh-water fishes from Korea. Doctoral thesis of Chungang Univ. pp. 14-49. (in Korean) 

  15. Jeon, S.R. and Y.J. Kim (1996) First record of the Liobagrus andersoni (Pisces: Amblycipitidae) from Kangneungnamsae-river and Kansongbuk-river. Korean J. Environ. Biol. 14(2): 129-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C.H., K.E. Hong, J.H. Kim and K.H. Kim (2006a) Ichthyofauna in Yeongok Stream, Gangneung, Korean J. Ichthyol. 18(3): 244-2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C.H., W.O. Lee, K.E. Hong, C.H. Lee and J.H. Kim (2006b) Ichthyofauna and Fish Coummunity Structure in Namdae Stream, Yangyang, Korea. Korean J. Ichthyol. 18(2): 112-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I.S. (1997)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n Vol. 37 Freshwater Fishes. Ministry of Education. 592pp. (In Korean) 

  19.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515pp. (in Korean) 

  20. Kim, Y.U., J.G. Myung, K.H. Han and J.R. Koh (1996) The Fish Fauna of Namdae Stream in Kangreung, Korea. Korean J. Fish. Soc. 29(2): 262-26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Ko, M.H., S.J. Moon and I.C. Bang (2013)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Baebong Stream. Korean J. KJEE. 46(2): 192-2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Lee, T.Y and S.Y. Kim (1987) Experimental Studies on the Mechanism of Reproductive Cycle in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Korean J. Fish. Soc. 20(6): 489-5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W.O., C.B. Kang, H.U. Park, M.C. Han, H.K. Byeon, J.G. Myeong, C.H. No, G.P. Hong, H.P. Song, B.S. Chae, K.H. Han, J.R. Go and Y.P. Hong (2003) The Introduced Fishes of Korea. Guryongmunhwasa. 128pp. (in Korean) 

  24.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rd ed). John Wiely & Sons, New York. 

  25. Song, H.B., H.M. Baek and C.W. Lee (2005) Water Environmental Assessment by the Species Biotic Index of Freshwater Fish in the Namdaecheon, Gangneung City. Korean J. Socie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4): 237-2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ong, H.B., M.S. Byeon, D.W. Kang, C.Y. Jang, J.S. Moon and H.K. Park (2012) Population Structure of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in Lakes of the Han River System, Korea. Korean J. Ichthyol. 24(4): 278-2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ang, H.J. and B.S. Chae (1997) Ecological Study on the Bluegill, Lepomis macrochirus Rafinesque, in the Andong-Dam Reservoir. Korean J. Limnol. 30(2): 135-14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