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세 물분무 노즐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An Investigation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Water Spray Nozzl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9 no.5, 2015년, pp.29 - 33  

유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한용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김창섭 ((주)지에스하이텍) ,  김창 ((주)지에스하이텍) ,  유홍선 (중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노즐의 형상변화에 따라서 방사유량, 살수분포 그리고 액적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심부 직경이 6.0 mm이고 반지름 방향 방사각도가 $142^{\circ}$$148^{\circ}$인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LPN142, LPN148) 형상을 제작하여 UL2167 시험규격에 의해서 살수분포와 분사거리의 관계를 정량화하였다. Hellium-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방사유량 변화에 따라서 웨버 수와 액적 크기 그리고 방사각도에 관한 경험식을 구하였으며, 전달 방정식의 주요인자인 소멸 항과 액적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은 최소허용 유량범위가 결정된 경우 작동압력, 분사거리, 액적 직경을 예측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즐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relations of flow rate, discharging distance and droplet size are measured in accordance with the nozzle shape. The dual type nozzles of LPN142 and LPN148, which have identical core diameter (6.0 mm) and the different radial injection angles (${\theta}_2=142^{\circ}$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LPN142와 LPN148 노즐 각각에 대해서 작동압력 변화에 따른 웨버 수와 액적 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각도가 작을수록 노즐의 중심부에 총 유량이 보다 많이 분사되어 분사거리는 감소하고 액적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험식을 구하였다.
  • 하지만, 노즐에서 분사되는 유동현상은 화재 환경 조건에 따라서 불규칙한 상변화 과정을 겪기 때문에 화재특성을 고려한 소화설비용 노즐의 작동성능에 관한 일반화된 관계식을 제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면서도 중요한 연구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 물분무 노즐의 형상인자 변화에 따라서 복사열을 감쇄하기 위한 방사각도, 분사거리 그리고 웨버 수 (Weber number)에 따라서 액적크기와 소멸항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구획공간에서 노즐의 방사각도 변화에 따른 방사유량, 살수분포 그리고 액적크기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서 중심부 직경이 6.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미세 물분무 노즐은 Figure 1과 같이 중심부와 반지름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이중 구조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전체 실험 과정은 그림에서 보듯이, 노즐의 방사각도에 따라서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여 유량계수를 구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단위면적에 분사되는 살수 분포와 액적크기를 측정하는 순서이며, 이를 소화설비용 노즐의 유동특성으로 정하였다. 액적의 크기를 측정하기 위한 입자 측정기(HELOS)는 렌즈의 크기에 따라서 측정 거리(working distance) 영역이 구분되어 있으며, 31개의 밴드(band) 구간에서 감쇄되는 빛의 회절 강도를 이용하는 원리로 실험장치 규격을 Table 1에 나타내었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미세 물분무 노즐은 Figure 1과 같이 중심부와 반지름 방향으로 물이 분사되는 이중 구조의 형상을 갖고 있다. 전체 실험 과정은 그림에서 보듯이, 노즐의 방사각도에 따라서 유량과 압력을 측정하여 유량계수를 구하고 동일한 조건에서 단위면적에 분사되는 살수 분포와 액적크기를 측정하는 순서이며, 이를 소화설비용 노즐의 유동특성으로 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세 물분무 노즐은 이중 오리피스 구조로써 내경(D1)과 외경(D3)에서 각각 미립화된 액적을 분사하며, 유수로에는 스월(swirl)을 형성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노즐 LPN142와 LPN148은 최외각 각도(θ2)를 제외한 내경(D1)과 외경(D3), 스월(swirl) 등이 동일한 형상을 갖고 있으며, Table 2와 같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중구조의 노즐은 최외각과 중심부의 액적크기가 다른 구조로 (D/2)의 거리 전체에서 분사되는 액적크기를 측정하였다. 액적의 크기는 Hellium- 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과 Frauhoffer의 이론을 적용한 HELOS 장비를 사용하여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와 누적분포(cumulative distribution)를 측정하여 산술-평균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이중구조의 노즐은 최외각과 중심부의 액적크기가 다른 구조로 (D/2)의 거리 전체에서 분사되는 액적크기를 측정하였다. 액적의 크기는 Hellium- 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과 Frauhoffer의 이론을 적용한 HELOS 장비를 사용하여 분포함수(distribution function)와 누적분포(cumulative distribution)를 측정하여 산술-평균에 의한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ellium-Neon 레이져방법의 분석 결과 예측되는 노즐의 특성은 무엇인가? Hellium-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방사유량 변화에 따라서 웨버 수와 액적 크기 그리고 방사각도에 관한 경험식을 구하였으며, 전달 방정식의 주요인자인 소멸 항과 액적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은 최소허용 유량범위가 결정된 경우 작동압력, 분사거리, 액적 직경을 예측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즐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Hellium-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구한 것은 무엇인가? 0 mm이고 반지름 방향 방사각도가 $142^{\circ}$와 $148^{\circ}$인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LPN142, LPN148) 형상을 제작하여 UL2167 시험규격에 의해서 살수분포와 분사거리의 관계를 정량화하였다. Hellium-Neon 레이져에 의한 광학적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방사유량 변화에 따라서 웨버 수와 액적 크기 그리고 방사각도에 관한 경험식을 구하였으며, 전달 방정식의 주요인자인 소멸 항과 액적크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중 구조의 미세 물분무 노즐은 최소허용 유량범위가 결정된 경우 작동압력, 분사거리, 액적 직경을 예측하여 화재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노즐 선정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C. H. Hwang, "Effects of Change in Heat Release Rate on Unsteady Fire Characteristics in a Semi-Closed Compartment",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6, No. 2 (2012). 

  2. S. Y. Mun, C. H. Park, C. H. Hwang and S. H. Park, "Effects of the Geometry and Location of an Vertical Opening on the Fire Characteristics in the Under-Ventilated Compartment Fire", J. Kor. Inst. Fire Sci. Eng., Vol. 27, No. 3, pp. 20-29 (2013). 

  3. G. H. Ko and C. H. Hwang, "Mixture Fraction Analysis on the Combustion Gases of the Full-Scale Compartment Fires", J.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 & Eng., Vol. 24, No. 5 (2010). 

  4. A. Yu. Snegirev, G. M. Makhviladze, V. A. Talalov and A. V. Shamshin, "Turbulent Diffusion Combustion under Conditions of Limited Ventilation: Flame Projection through an Opening", Combustion, Explosion, and Shock Waves, Vol. 39, No. 1, pp. 1-10 (2003). 

  5. M. Makhviladze, A. V. Shamshin, S. E. Yakush and A. P. Zykov, "Experimental and Numerical Study of Transient Compartment Fires", Combust. Expl. & Shock Waves, Vol. 42, No. 6, pp. 723-730 (2006). 

  6. A. Chen, J. Francis, X. Dong and W. Chen,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Rate of Gas Temperature Rise in Enclosure Fires", Fire Safety J., Vol. 46, pp. 397-405 (2011). 

  7. S. C. Kim, "A Numerical Study of the Effect of Sprinkler Spray on the Flow Characteristics Induced by Fir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 26, No. 5, pp. 105-110 (2012). 

  8. UL2167, Standard for Water Mist Nozzle for Fire Protection Service (2002). 

  9. NEMA, "Approval and Inspection Standard of Sprinkler", 2012 - 63, Administrator a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10. NEMA, "Approval and Inspection Standard of Water Mist Nozzle", 2012 - 63, Administrator at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11. C. Clayton, S. Martin and T. Yutaka, "Multiphase Flows with Droplets and Particles", CRC Press (2011). 

  12. R. Viskanta, "Radiative Transfer in Combustion Systems: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New York Begell House (2005). 

  13. C. C. Tseng and R. Viskanta, "Absorptance and Transmittance of Water Spray/Mist Curtains", Fire Safety Journal, Vol. 42, pp. 106-114 (2007). 

  14. H. Z. You, "Investigation of Spray Patterns of Selected Sprinklers with the FMRC Drop Size Measuring System", In: Fire Safety Science -. Proceedings of the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London,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Fire Safety Science, pp. 1165-1176 (1986). 

  15. G. Heskestad, "Proposla for Studying Interaction of Water Sprays with Plume in Sprinkler Optimization Program", FMRC Interoffice Correspondence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