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전용 바이오중유의 품질 및 성능 평가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and Quality for Power Bio-Fuel Oil 원문보기

한국유화학회지 = Journal of oil & applied science, v.32 no.3, 2015년, pp.588 - 598  

하종한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장은정 (한국석유관리원 석유기술연구소) ,  권용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신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 의무화 제도(RFS)와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화제도(RPS)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신재생에너지 연료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부각되고 있으며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한 때이다. 이의 일환으로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과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중유의 성능평가기준(안) 마련을 위해 중유와 바이오중유의 연료품질 특성 및 산업용 보일러에서 연소 후 배출되는 먼지, 배출가스의 양을 비교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바이오 중유를 사용할 경우 먼지와 황산화물 등 유해배출가스가 현저히 저감 되는 것이 밝혀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government is actively promoting the RFS(Renewable Fuel Standards) and RPS(Renewable Portfolio Standard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renewable energy fuel is being highlighted more than ever. Now is the time required active research in Korea. Since power bio-fuel oil demonstration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정부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2030년 배출전망치(BAU, Business as usual) 대비 37%로 발표하였다. 12월 출범 예정인 新기후체제를 앞두고 국제적인 책임과 에너지 신산업 혁신의 기회로 적극 활용한다는 취지에서 목표를 정한 것이다. 2014년에는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보급목표를 2035년까지 11%로 설정하였고,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신재생에너지 연료 혼합 의무화 제도 (RFS) 추진을 위해 바이오디젤의 혼합의무비율 로드맵을 발표하고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가스를 추후 검토하기로 하였다.
  •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에는 바이오디젤연료유, 바이오에탄올연료유 등이 석유대체연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품질기준과 성능평가기준이 고시되어 있다[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향후, 바이오중유의 보급 활용에 대비하여 성능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중유와 바이오중유의 연료품질 특성 비교평가 및 산업용 보일러에서의 연소 후 배출되는 먼지 및 각종 배출가스의 양을 비교 연구하였다.
  • 발전용 바이오중유 시범보급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본 연구를 통해 일반 중유와 바이오중유의 연료품질 특성 및 산업용 보일러에서의 연소 후 배출되는 먼지, 배출가스의 양을 비교 평가 연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이오중유란 무엇인가? 바이오중유란 동·식물성 유지나 알코올 등을 유지와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에스테르를 혼합·제조하여 생산한 제품이다. 원료로는 주로 팜 열매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공정 부산물과 동물성유지 및 바이오디젤 공정 부산물(pitch) 등이 활용된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란 무엇인가? 한편, 2012년부터 시행된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는 발전 사업자가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제도이다. 따라서 발전사에서는 의무공급량 이행을 위해 다양한 에너지원을 활용하고 있으며 그의 일환으로 바이오중유를 검토하고 있다.
바이오중유의 원료로는 어떤 것이 활용되는가? 바이오중유란 동·식물성 유지나 알코올 등을 유지와 반응시켜 만든 지방산에스테르를 혼합·제조하여 생산한 제품이다. 원료로는 주로 팜 열매로부터 기름을 추출하고 남은 공정 부산물과 동물성유지 및 바이오디젤 공정 부산물(pitch) 등이 활용된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주요 원료 물질은팜 오일 계통의 팜 원유(CPO), 정제 탈취 팜유 (RBDPO), 팜 지방산(PFAD), 팜 스테아린, 팜산유(PAO) 등과 동물성유지인 우지, 돈지, 그리고 바이오디젤(BD), 바이오디젤 피치(BD pitch) 등이 사용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Notification on the pilot dissemination projects of bio-fuel oil, Notification No. 2014-1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2. J. H. Ha, "Demonstration project of bio-fuel oil in power plant - Current Status and problem", K Petro Magazine, 112, 80-83(2014). 

  3. E. J. Jang, J. Y. Park, K. I. Min, E. S. Yim, J. H. Ha, B. H. Lee,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er Bio-Fuel Oil for Alternative Fuel oil,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1, 564-569 (2014). 

  4. E. J. Jang, M. E. Lee, J. Y. Park, K. I. Min, E. S Yim, J. H. Ha, B. H. Lee,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edstocks for Power Bio-Fuel Oil,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2, 137 (2015). 

  5. Key statistics of the energy industry, Ministry of Trade, Industry & Energy, 99 (2014). 

  6. S. Baek, H. Kim, H. Park, Y. J. Kim, T. Kim and S. H. Ko, The Four Power Plants Field Demonstration Research on Combustion Characteristic of the Bio Oil for Fuel Switching, J. Korean Soc. Combust. 20(1) 17-22 (2015). 

  7. S. Baek, H. Park, Y. J. Kim, T. H. Kim, T. Kim, S. H. Ko, The Demonstration Test Result of 100% Bio Heavy Oil Combustion at the 75 MWe Oil Fired Power Plant, J. Korean Soc. Combust. 19(2) 29, 35 (2014). 

  8. ACEA, AUTO ALLIANCE, CMG, JAMA, World Wide Fuel Charter(2013). 

  9. K. Lee, J. Lee, B. Son, K. Oh, Control Technique of Nitrogen Oxides from Combustion Fuel Gases, Dongwha Technology (2011). 

  10. W. G. Lim, J. W Doe, I. H. Hwang, J. H. Ha, S. S. Lee, CO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Bunker C Fuel Oil by Sulfur Contents, J.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1, 377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