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포형 강우유출모형 KIMSTORM을 이용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강우의 효용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adar Rainfall by Comparing with Flood Inundation Record Map Using KIMSTORM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8 no.11, 2015년, pp.925 - 936  

안소라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정충길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성준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자료와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인 KIMSTORM(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을 이용하여 유출해석을 수행하고,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용성을 검토하는데 있다. 남강댐유역($2,293km^2$)을 대상으로, 2012년 4개의 강우 이벤트(집중호우, 카눈, 볼라벤, 산바)에 대하여 비슬산 레이더 강우자료를 사용하였다. 분포형 모형은 28개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를 이용하여 보정되었으며, $R^2$(coefficient of determination), ME(model efficiency), VCI(volume conservation index)를 이용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의 보정결과, $R^2$, ME, VCI의 평균이 지점강우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1.09, 레이더 강우를 이용한 경우 각각 0.85, 0.78, 0.96의 결과를 보였다. 태풍 산바에 의한 하천범람 침수실적자료의 두 침수지역(신연지구와 문대/신기지구)과 레이더와 지상강우에 의한 유출분석 결과를 비교하였다. 신연지구와 문대/신기지구 두 침수지역에서 레이더강우가 지상강우보다 더 많은 지역강우를 발생시켜 지표유출량을 더 크게 모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수위관측소가 존재하는 문대/신기지구의 경우, 지점강우보다 레이더 강우가 침수지역내 수위관측소의 실제 첨두유량에 가깝게 모의하였으며, 하천수위도 0.72m 높게 모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dual-polarization radar rainfall by comapring with the flood inundation record map through KIMSTORM(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For Namgang dam ($2,293km^2$) watershed, the Bisl dual-polarization radar data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 강우관측소의 지점 강우와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에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의 전체적인 홍수 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의 유출 재현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남강댐 유역 내 태풍에 의한 하천범람이 발생했던 두 지역의 침수실적자료를 수집하여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에 의한 유출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상 강우관측소의 지점 강우와 비슬산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를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에 적용하여 남강댐 유역의 전체적인 홍수 진행상황을 공간적으로 파악하고,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의 유출 재현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남강댐 유역 내 태풍에 의한 하천범람이 발생했던 두 지역의 침수실적자료를 수집하여 지점 강우와 레이더 강우에 의한 유출분석 결과와의 비교를 통해 효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2,293km²)을 대상으로 이중편파 레이더 강우자료와 격자기반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인 KIMSTORM을 이용하여 홍수추적을 수행하고, 침수실적자료와 비교하여 레이더 강우자료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위에서 언급한 많은 연구사례와 같이 레이더 강우를 유출모형에 적용하여 홍수유출 분석에 활용하고 있으며, 그 활용성이 많이 검증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를 더욱더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실제 침수실적자료와의 비교를 통한 레이더 강우의 효용성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우의 활용성을 확인하고자 수행된 연구로, 침수실적자료를 활용하여 레이더 강우의 공간적 분포, 공간적 규모의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분포형 강우-유출 모형에 레이더 공간 강우를 적용하여 유출해석을 한다면 유역내 이동하는 태풍에 의한 공간적 홍수유출 해석에 있어 보다 정확한 홍수진행상황의 파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분포형 모형을 이용한 유출해석의 장점은 유역 내 어느 지점이든지 유출해석이 가능하고, 홍수진행상황의 공간적인 파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침수실적자료를 활용하여 보정된 남강댐 유역의 유출해석 결과로부터 침수가 발생된 지역의 유출분석을 수행하였다. 침수가 발생한 2012년 9월 16∼17일 동안 유량이 가장 많았던 9월 17일 10시∼19시(10시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앞서 남강댐 유역의 유출해석에 있어 지점 강우와 비교하여 레이더 강우의 우수한 활용성을 확인하였다. 2012년 태풍 산바에 의한 침수실적자료를 활용하여 침수분석에 있어 레이더 강우의 활용성을 분석해보고자 침수기간 동안의 지점 및 레이더 강우를 비교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강댐 유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얼마인가? , 2008). 남강댐 유역의 연평균 기온은 13℃,연평균 강수량은 1,772 mm이며, 여름철에 몬순기후와 남해안의 난류가 어우러져 태풍을 동반하는 다우지역으로 강우발생시 유량의 집중도가 높은 지역이다(Ahn et al.,2013).
남강댐 유역의 연평균 기온은 얼마인가? , 2008). 남강댐 유역의 연평균 기온은 13℃,연평균 강수량은 1,772 mm이며, 여름철에 몬순기후와 남해안의 난류가 어우러져 태풍을 동반하는 다우지역으로 강우발생시 유량의 집중도가 높은 지역이다(Ahn et al.,2013).
재해지도는 어디에 활용되고 있는가? 이와 같은 홍수재해의 예방 및 저감을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침수흔적도, 침수예상도, 재해정보지도, 홍수위험지도 등 다양한 부처에서 재해지도를 작성하고 있다. 이는 재해예방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며, 침수예상분석 및 재해정보지도를 작성하는데 기본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Ahn, S.R., Jang, C.H., Kim, S.H., Han, M.S., Kim, J.H., and Kim, S.J. (2013). "Discussion for the Effectiveness of Radar Data Through Distributed Storm Runoff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5, No. 6, pp. 19-30. 

  2. Choi, K.H., Han, K.Y., Kim, S.H., and Lee, C.H. (2006). "Development of a flood runoff and inundation analysis system associated with 2-D rainfall data generated using radar: III. 2-D flood inundation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4, pp. 347-362. 

  3. Cole, S.J., and Moore, R.J. (2009).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weather radar in gauged and ungauged basins." Advances in Water Resources, Vol. 32, pp. 1107-1120. 

  4. Cole, S.J, and Moore, R.J. (2013). "Hydrological modelling using raingauge-and radar-based estimators of areal rainfall." Journal of Hydrology, Vol. 358, pp. 159-181. 

  5. Finnertya, D.B., Smith, M.B., Seo, D.J., Koren, V., and Moglen, G.E. (1997). "Space-time scale sensitivity of the Sacramento model to radar-gage precipitation inputs." Journal of Hydrology, Vol. 203, pp. 21-38. 

  6. Getirana, A.C.V., Bonnet, M.P., Calmant, S., Roux, E., Filho, O.C.R., and Mansur, W.J. (2009). "Hydrological monitoring of poorly gauged basins based on rainfallrunoff modeling and spatial altimetry." Journal of Hydrology, Vol. 379, pp. 205-219. 

  7. Jeon, B.K., Lee, C.K., and Kim, Y.S. (2012). "Evaluation of rainfall measurement capability of dual polarization rada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215-224. 

  8. Jinkang, D., Shunping, X., Youpeng, X., Chong-yu, X., and Singh, V.P. (2007).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simple physically-based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 for storm runoff simulation in humid forested basins." Journal of Hydrology, Vol. 336, pp. 334-346. 

  9. Jung I.K., Park, J.Y., Park, M.J., Shin, H.J., Jung, H.K., and Kim, S.J. (2010). "Application of a grid-based rainfall-runoff model using SRTM DE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3, No. 4, pp. 157-169. 

  10. Jung, I.K., Lee, M.S., Park, J.Y., and Kim. S.J. (2008). "A Modified Grid-based KI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ModKIMSTORM) (I) - Theory and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8, No. 6B, pp. 697-707. 

  11. Kim, B.S., Bae, Y.H. Park, J.S., and Kim, K.T. (2008). "Flood runoff simulation using radar rainfall and distributed hydrologic model in un-gauged basin; Imji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11, No. 3, pp. 52-67. 

  12. Kim, S.J. (1998). "Grid-Based KlneMatic Wave STOrm Runoff Model (KIMSTORM) (I) - theory and model -."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1, No. 3, pp. 303-308. 

  13. Kim, W.I., Oh, K.D., Ahn, W.S., and Jun, B.H. (2008). "Study on flood prediction system based on radar rainfall data."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11, pp. 1153-1162. 

  14.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I.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 3,pp. 282-290. 

  15. Park, J.H., Kang, B.S., and Lee, G.S. (2008). "Application analysis of GIS based distributed model using radar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Vol. 16, No. 1, pp. 23-3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