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의 훼손지 유형과 개선방안에 대한 기초적 연구
Basic Study on Damaged Area Types and Improvement Idea of the National Park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4 no.11, 2015년, pp.1405 - 1415  

염성진 (넥서스환경디자인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amage, distinguish the types and identify the restoration by that type for 13 Korea national parks out of 21. There are 21 Korea national parks are in Korea covering 6.67% of the country or $6,656km^2$ ($3,902km^2$ on land and $2,7...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다양한 측면에서 국립공원의 훼손지 현황과 유형 분류를 통해 훼손지에 대한 복원 방법 및 방향을 제안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국립공원이라는 대규모 자연을 대상으로 훼손의 유형과 훼손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국립공원에 대한 훼손 현황을 조사하여 훼손지 유형과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국립공원 21개소 중 13개소에 대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실시한 국립공원 훼손지 현황조사를 바탕으로 유형 분류 및 훼손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국립공원의 효율적인 관리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980년 이전의 국립공원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자연공원법에서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이들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자연공원법 제1장 제1조)으로 하고 있다. 이는 1980년 이전 초기의 국립공원의 주요 목적이 ‘도로의 신설이나 집단시설지구에 휴양·위락·숙박시설을 대규모로 개발하여 이용 부지를 수용하고 그에 따른 수익금을 통한 지역경제의 활성화’이였다면,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국립공원에 대한 기본적인 보전 지향적 정부의 정책기조는 우수한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국립공원의 보전과 동시에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기 위한 것(Ministry of Environment, 2008)으로 볼 수 있다.
우리나라 국립공원의 연간 이용객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7년부터 실시된 국립공원 입장료폐지와 더불어 여가 활동 범위의 확대, 등산저변의 확장 등의 사회적 변화와 더불어 국립공원의 연간 이용객은 2008년 약 3,700만 명에서 2013년에는 4,600만 명으로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이는 웰빙(Well-Being)과 로하스(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 LOHAS)로 대표되는 우리사회 일련의 변화와 도시화의 반작용으로 볼 수 있는 그린(Green) 욕구의 증대와 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국민의 여가 행태가 변화하면서 자연을 찾는 사람들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더욱이 산행이 건강을 위한 일상 스포츠로서 인식(Jeong et al., 2012)이 확대된 것도 작용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이렇듯 현대의 국립공원은 보전가치가 높은 자연 자원임과 동시에 국민의 여가 활동 공간으로서 크게 주목받고 있으나 국립공원의 이용 증가로 인한 토양침식, 식생파괴 등의 훼손에 의한 유지 관리에 있어서의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국제자연보존연맹이 정의한 국립공원이란 무엇인가? 국제자연보존연맹(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and Natural Resources, IUCN))은 국립공원을 ‘자연생태계의 보호와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관리되는 보호지역으로 현재 뿐 아니라 미래세대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생태계를 원상태로 보호해야 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자연공원법에서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나 자연 및 문화경관을 대표할 만한 지역’으로 이들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에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자연생태계와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함을 목적(자연공원법 제1장 제1조)으로 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nn, T. W., Kanh, H. J., Kim, M. G., 2004, Study on the injury of Trails of Nak-young Mt in Song-ni Mt National Park, Mt. Songni of Korea National Park Service, 47. 

  2. Green Korea, 2005, Korea Forest '60, Now it's Ecological Restoration, 3-5. 

  3. Jeong, S. J., Oh, K. K., and Oh, J. G., 2001, A Study on Restoration Measures of Vegetation for Devastated Ridge Line Area in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15(1), 69-78. 

  4. Jeong, W. O., Ma, H. S., and Kang, W. S., 2012,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Type of Trail in National Parks, 46(1), 17-27. 

  5. Kim, S. K., 2005, National Park tour suggestions for improvement culture-The use of the climbing culture center in Nature, eco-friendly hiking culture symposium. 

  6. Kim, Y. K., Lee, Y. G., Lim, J. H., Cheon, J. H., Hyeon, J. S., Kwon, T. S., Gwon, J. O., Oh, J. H., Park, C. Y., Yang, H. M., Yoon, H. J., Choi, H. T., Kim, K. H., Kim, C. M., Cho, J. H., Kim, N. C., Yoon, C. W., Kim, S. G., Shin, J. H., Park, J. H., Kim, W. S., Kim, T. H., 2011, Typology of Deteriorated Hiking Trails in Mountain National Parks of Korea, Kor. J.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7(4), 416-431. 

  7. Korea Forest Conservation Association, 2005, Large mountain damage Survey, cause analysis and monitoring plan for sustainable mountain conservation, 69-105. 

  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0, Geographical Range of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Model for It's Deteriorated Ecosystem, 59-60. 

  9.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0, Jirisan national park monitoring report, 89-114. 

  10.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1, Analysis by type of damage scour National Park Trail and Restoration measures, 161. 

  1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8, Best Practices of National Park Service, 136-145. 

  12.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0, Best Practices of National Park Service, 146-156. 

  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1, Best Practices of National Park Service, 152-171. 

  14.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Best Practices of National Park Service. 126-145. 

  15. Kwon, T. H., Oh, K. K., and Kim, B. H., 1998,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Naesorak District of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4), 523-534. 

  16. Kwon, T. H., Oh, K. K., and Lee, J. W.,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5(1), 91-103. 

  17. Kwon, T. H., Oh, K. K., and Lee, J. W., 1993,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2), 168-179. 

  18. Lee, D. G., Seo, M. H., 1987, Effects of Soil Compaction upon the Vegetation Environment around the Trails in Pukhansan National Park,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76(2), 127-137. 

  19. Lee, J. W., Oh, K. K., Kwon, T. H., 1997,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0(2), 191-204. 

  20. Lee, K. J., Oh, K. K., 1994, Crisis of Korea National Park. Citizens of keeping the National Park and Applied Ecology Research Group, 135. 

  21. Lee, S. K., Kim, C. S., Go, J. G., Lim, J. H., Cheon, J. H., Jeong, J. H., Byeon, G. O., Jeong, Y. G., Gang, B. S., Hwang, S. I., Son, S. G., 2006, Stabilization of Halla mountain top,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69. 

  22. Ministry of Environment, 2008, National Park Feasibility Criteria and Nature park system improvements pro-vided, 11-14. 

  23. Nam, S. J., 2005, Ecological Restoraton and Revegetation of the Disturbed Slopes, Ph.D. thesis, Univ. of Dan kook, Cheonan, Korea. 

  24. Oh, K. K., 1991, Studies on restoration of forest-floor vegetation devastated by recreational trampling, Ph. D. thesis, Univ. of Seoul National, Seoul, Korea, 86. 

  25. Oh, K. K., Gwon, T. H., and Jeon, Y. J., 1987, Trail Damage and Vegetational Change of Trail Side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1(1), 46-65. 

  26. Oh, K. K., Heo, S. H., 1990,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1), 55-71. 

  27. Oh, K. K., Heo, S. H., 1992,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 J. Env., Eco., 6(1), 55-71. 

  28. Oh, K. K., Kwon, T. H., Ryu, K. J., Lee, J. W., Choi, S. H., 2004, Forest Road Maintenance Manual, Su-Moon Publisher. 

  29. Oh, K. K., Park, S. G., 2002,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Pijae to Doraegijae in the Baekdudaegan, Korea, Kor. J. Env., Eco., 15(4), 330- 343. 

  30. Oh, K. K., Woo, B. M., Kim, D. H., 1997, Rehabilitation Measures for Disturbed Subalpine Meadows in Chirisan National Park, Republic of Korea, Kor.J. Env., Eco., 11(1), 37-45. 

  31. Park, E. H., Kim, D. I., Joung, W. O., Kwon, H. K., and Joung, P. H., 2010, Trail Characteristics and Deterio -ration Type of Jirisan National Park Chilseon Valle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14(2), 9-15. 

  32. Watanabe, T., Fukasawa, K., 1998, Seven-year Deterioration of a Hiking Trail and Measures to Mitigate Soil Erosion, Mount Kurodake, Daisetsuzan National Park, Hokkaido, Northern Japan, Geographical review of Japan, Ser. A, 71(10), 753-764. 

  33. http://www.knps.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