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정답률 예측 및 주요 요인 분석
Prediction of Correct Answer Rate and Identification of Significant Factors for CSAT English Test Based on Data Mining Techniques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4 no.11, 2015년, pp.509 - 520  

박희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산업정보시스템전공) ,  장경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산업정보시스템전공) ,  이윤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  김우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  강필성 (고려대학교 산업경영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고등학교 3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 도구로서 대한민국 대학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이다. 응시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나 지금까지는 수능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매 입시연도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시행된 모의고사 및 실제 시험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영어영역 문제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난이도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판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각 문항의 특성을 판별할 수 있는 여러 지표와 함께 지문, 문제, 답안 등에 나타난 단어들의 특징을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선형회귀분석의사결정나무 기법을 이용하여 각 문항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예측 모델을 실제 문제에 적용한 결과 난이도의 상/하 구분에 대한 예측 정확도는 90%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정답률 대비 오차 비율은 약 16% 이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점 및 문제 유형이 문제의 난이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지문이 특정 주제에 관련된 경우에도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영어영역 각 문제들에 대한 기대 정답률의 범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종합하여 영어영역 전체 문제에 대한 정답률 예측을 통해 적절한 난이도의 문제를 출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is a primary test to evaluate the study achievement of high-school students and used by most universities for admission decision in South Korea. Because its level of difficulty is a significant issue to both students and universities, the government makes a hug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십 년간 누적된 수능 데이터를 수집하여 영어영역 난이도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고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문항별 영어영역 정답률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판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연차적으로 시행되는 수능 모의평가 2회와 수능시험 1회에 해당하는 대량의 실제 수능 문제 전체를 추출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 분석을 실시하여 문항들의 기저에 존재하는 패턴을 찾아내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 수능 영어영역 출제 문제들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정량적인 속성들에 더하여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텍스트를 분석하는 데 주로 활용되는 토픽 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문제 및 지문의 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예측 모델의 입력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이렇게 도출된 입력 변수를 바탕으로 각 문제의 정답률을 예측하기 위해 통계 및 데이터마이닝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중선형회귀분석 및 의사결정나무 기법을 활용하여 정답률 자체를 직접 예측하는 회귀모형과 문제의 난이도(상/하)를 예측하는 분류모형을 구축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능 영어영역 지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하여 텍스트마이닝의 대표적인 분석 기법인 토픽 모델링을 통해 문항별 주제 분포를 추정하여 이를 정답률 예측 모델의 입력 변수로 사용하고자 한다. 토픽모델링은 문서의 주제를 알기 위해 원본 텍스트 내의 단어를 분석하는 통계적인 방법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능 영어영역의 문항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하여 기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네 가지의 가설을 수립하고 이를 검증하기 위한 잠재적 독립 변수를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수능 영어영역의 정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영어문제의 지문만으로 정답률을 예측하기 위해 2004년부터 2014년 수능 및 모의고사 문제와 교과서 단어를 수집하고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58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과 CART에 의한 정답률 예측 및 난이도 분류 모델을 구축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 우리나라 대학 입시에서 수능이 차지하는 위상과 함께 매년 제기되는 수능 난이도 조절 실패 문제점을 타개하고자 연구자들은 언어학적 측면, 교육적 측면 등 다양한 관점에서 난이도를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5]의 연구에서는 50명의 출제 전문가를 대상으로 외국어 영역의 문항 유형별 타당성 평가를 수행하여 수준별 영어시험 및 검사지 구성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 1: 지문의 문장 구조 및 사용된 단어의 난이도와 정답률은 음의 상관관계를 가질 것이다.
  • 가설 2: 문제 유형에 따라 정답률이 달라질 것이다.
  • 가설 3: 지문의 내용(context) 난이도(주제)에 따라 정답률이 달라질 것이다.
  • 가설 4: 문항 자체의 속성(배점, 문항 위치, EBS 연계 여부 등)에 따라 정답률이 달라질 것이다.
  • 1에서 나타난 바와같이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내재적인 절차를 가정하고 주어진 문서 집합(corpus)이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 분포의 모수들을 추정하는 방법론이다. 따라서 LDA는 하나의 문서를 여러 토픽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로 간주하고, 각 토픽은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또한 각 토픽은 모든 단어들의 집합체이며 개별 토픽에서 각 단어들 역시 디리클레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 따라서 LDA는 하나의 문서를 여러 토픽으로 이루어진 집합체로 간주하고, 각 토픽은 디리클레 분포(Dirichlet Distribution)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또한 각 토픽은 모든 단어들의 집합체이며 개별 토픽에서 각 단어들 역시 디리클레 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다. 디리클레 분포는 K차원의 실수벡터 중 벡터의 요소가 양수이며 모든 요소를 더한 값이 1인 경우에 대해 확률값이 정의되는 연속확률 분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단어 빈출 평균”, “단어 난이도 80% 비율” 등을 사용하였다. 또한 중등 및 고등 교과서에 사용된 단어, 사용되지 않은 단어에 비해 난이도가 낮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난이도 점수를 부여하여 세개의 변수를 생성하였다. 또한 어려운 단어일지라도 EBS 연계된 지문은 난이도가 감소되므로 그 영향을 고려한 “단어 난이도 80%+EBS 연계” 변수를 정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수학능력시험은 무엇인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고등학교 3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 도구로서 대한민국 대학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이다. 응시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나 지금까지는 수능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매 입시연도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해왔다.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많은 입력 변수는 어떤 위험이 있는가? 다중선형회귀분석에서 많은 입력 변수는 노이즈 데이터에 민감하게 반응하거나 불필요한 정보를 포함하여 회귀분석의 예측 성능을 저하시킬 위험이 있다. 따라서 후보 입력 변수 중에서 종속변수를 예측하는 데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만을 선택하기 위해 교사적 변수 선택(supervised variable selection) 기법인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후방소거법 (backward elimination) 및 단계적 선택법(stepwise selection) 등을 적용하여 최적의 변수 집합을 판별한 뒤 이를 이용하여 회귀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고등학교 3년간의 학업 성취도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평가 도구로서 대한민국 대학 입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험이다. 응시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효과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능의 난이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하나 지금까지는 수능 난이도의 편차가 매우 크게 나타나 매 입시연도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야기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한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지금까지 시행된 모의고사 및 실제 시험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영어영역 문제의 난이도를 예측하는 모델을 구축하고 난이도 예측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판별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2015 school year the CSAT questions headquarters, "2015 school year, the CSAT Press," in Proceedings 2015 school year the CSAT questions headquarter, 2014. 

  2.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school year CSAT score results press release," in Proceeding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4. 

  3.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school year CSAT plan," in Proceeding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4. 

  4. T. C. Kang, "CSAT Improvement Study," Ministry of Education, pp.57-77, 2013. 

  5. M. K. Kang and Y. M. Kim, "The internal analysis of the validation on item-types of Foreign (English) Language Domain of the current 2005 CSAT for designing the level-differentiated English tests of the 2014 CSAT,"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Vol.12, No2, pp.1-35, 2013. 

  6. K. S. Lee, "The effects of th number of questions per passage, the length of passage, and the topic familiarity on multiple-choice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English Teaching, Vol.54, No.4, pp.327-351, 1999. 

  7. N. B. Kim, "A corpus-based lexical analysis of the foreign language(English) test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Vol.14, No.4, pp.201-221, 2008. 

  8. K. S. Chang, "A model of predicting item difficulty of the reading test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1, No.1, pp.111-130, 2004. 

  9. Y. M. Sung, "Factor Analysis of English Test Score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Implications,"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3. 

  10. H. W. Lee and S. Y. Lee,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cores of TOEFIC, TOEIC and TEPS, and college academic performance,"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Teaching, Vol.9, No.1, pp.153-171, 2003. 

  11. L. Breiman, J. Friedman, R. Olshen, and C. Ston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1984. 

  12. D. Hand, H. Mannila, and P. Smyth, "Principles of Data Mining," A Bradford Book The MIT Press, 2001. 

  13. F. Sebstiai, "Machine learning in automated text categorization," ACM Computing Surverys, Vol.34, No.1, 2002. 

  14. J. H. Bae, J. E. Son, and M. Song, "Analysis of twitter for 2012 South Korea presidential election by text mining techniques," Journal of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Vol.19, No.3, pp.141-156, 2013. 

  15. H. J. Lee and J. C. Park, "Probabilistic filtering for a biological knowledge discovery system with text mining and automatic inferenc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ol.17, No.2, pp.139-147, 2012. 

  16. D. Blei, "Probabilistic topic models,"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55, No.4, pp.77-84, 2012. 

  17. S. R. Kang, "A Study on the Readability of English Textbooks: Middle School English 1 and 2 Based on the Revised 7th English National Curriculum," Master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