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후향적연구의 집단 간 동등성확보를 통한 임상자료분석
Clinical data analysis in retrospective study through equality adjustment between group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6 no.6, 2015년, pp.1317 - 1325  

곽상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  신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의학통계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 집단간을 비교하는 다양한 임상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때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현 시점에서 어떤 특정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포함 우, 무에 띠라 연구대상자를 나누어, 추적 관찰하는 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과 현 시점에서 질환 유, 무에 따라 위험요인을 과거의 연구대상자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확인하는 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이 있다. 접근 방법과 연구 설계는 다르지만 두 가지 연구의 목적은 두 집단 간 명확한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두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특히 임상연구에서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성별과 나이와 같은 기본적 특성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적 변수들의 집단 간 차이와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하지만 후향적 연구에서는 과거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이 진행되는 연구이므로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특성변수들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상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공변량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공변량을 사용하는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 수정회귀모형,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 등이 있다. 본 연구는 후향적 임상연구에서 공변량을 이용한 자료 분석 방법 및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을 소개하고, 실제 위암 환자들의 재발관련 자료에 적용하여, 그 필요성을 확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re are two types of clinical research to figure out risk factor for disease using collected data. One is prospective study to approach the subjects from the present time and the other is retrospective study to find the risk factor using the subject's information in the past. Both approached and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선적으로, 원자료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공변량을 적용한 수정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공변량의 효과를 조정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통한 방법을 적용하여 공변량의 효과를 제어한 상태에서 다른 변수들의 반응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파악해 보았다.
  • 후향적 임상연구에서 공변량을 이용한 자료 분석 방법 소개하고 또한 실제 위암환자 임상 자료에 적용해 보았다. 우선적으로, 원자료를 이용하여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공변량을 적용한 수정모형과의 비교를 통하여 공변량의 효과를 조정한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가설 설정

  • 수정 모형은 회귀모형이나 로지스틱 회귀모형 등과 같이 반응변수에 영향을 주는 설명변수들을 분석할 때 공변량을 함께 설명변수로 설정함으로써 공변량이 다른 변수들의 영향을 조정해주는 분석방법이다. 가령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 설명변수의 수가 p개 인 다음의 다중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가정하여 보자.
  • 먼저 A명의 시험군과 B명의 대조군으로 임상시험이 이루어 졌고 이때 A < B라고 가정해보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후향적 연구의 한계는? 특히 임상연구에서 두 집단을 비교할 때 성별과 나이와 같은 기본적 특성변수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임상적 변수들의 집단 간 차이와 영향을 살펴보아야 한다. 하지만 후향적 연구에서는 과거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이 진행되는 연구이므로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특성변수들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상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공변량을 사용한다.
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이란? 두 집단간을 비교하는 다양한 임상연구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할 때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방법으로는 현 시점에서 어떤 특정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요인포함 우, 무에 띠라 연구대상자를 나누어, 추적 관찰하는 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과 현 시점에서 질환 유, 무에 따라 위험요인을 과거의 연구대상자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확인하는 후향적 임상연구에서의 분석이 있다. 접근 방법과 연구 설계는 다르지만 두 가지 연구의 목적은 두 집단 간 명확한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두집단의 분류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후향적 연구의 한계 극복을 위한 방법은? 하지만 후향적 연구에서는 과거의 관찰기록을 바탕으로 분석이 진행되는 연구이므로 연구대상자를 두 집단으로 무작위 할당하지 못했기 때문에 기본적인 특성변수들이 차이가 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상자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공변량을 사용한다. 대표적으로 공변량을 사용하는 분석방법으로는 공분산분석, 수정회귀모형, propensity score matching 방법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D'agostino. R. B. (1998). Tutorial in biostatistics propensity score methods for bias reduction in the comparison of a treatment to a non-randomized control group. Statistical Medicine, 17, 2265-2281. 

  2. Dehejia, R. H. and Sadek, W. (1999). Causal effects in nonexperimental studies: Reevaluating the evaluation of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 Association, 94, 1053-1062. 

  3. Han G. H., Chung J. and Yoo J. K. (2014). A study on prediction for attendances of Korean probaseball games using covariates.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 1481-1489. 

  4. Kang K. J. and Lee J. H. (2010). Characteristics of Gastric Cancer in Korea - with an Emphasis on the Increase of the Early Gastric Cancer (EGC). Journal of Korean Medical Association, 53, 283-289. 

  5. Park H. C. and Park J. P. (1998). Joint modeling of daeth times and counts considering a marginal frailty model.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9, 311-322. 

  6. Park J. (2015). Performance study of propensity score methods against regression with covariate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6, 217-227. 

  7. Rosenbaum, P. R. and Rubin, D. B. (1983).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Biometrika, 70, 41-5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