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에서 측정된 수중 주변 소음의 공간 코히런스 분석
Spatial Coherence Analysis of Underwater Ambient Noise Measured at the Yellow Sea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4 no.6, 2015년, pp.432 - 443  

권혁종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해양음향연구실) ,  김정훈 (STX 엔진 주식회사) ,  최지웅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해양음향연구실) ,  강돈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조성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정섬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박경주 (해군사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코히런스 분석은 두 수신신호의 유사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중음향에서는 음파의 시간 및 공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양대학교가 공동으로 수행한 해양음향 실험의 일부로, 3개의 수중청음기로 구성된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주변 소음을 측정하였다. 조사선 발전기가 작동할 때와 정지했을 때, 총 두 가지 경우에 대하여 주변 소음이 측정되었고 각각에 대한 코히런스 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사선 발전기가 작동하는 경우의 코히런스 결과는 조사선 발전기 소음의 전달 손실을 고려하여 계산된 방향 밀도함수를 이용한 코히런스 결과와 비교되며, 조사선 발전기가 정지한 경우인 주변 소음의 코히런스 결과는 해수면 소음원, 해저면 구성성분 및 원거리 선박 소음이 반영된 코히런스 모델 결과와 비교, 분석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herence describing the similarity between physical quantities of two signals is a very useful tool to investigat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ignals propagating in underwater acoustic waveguide. Ambient noise measurements were made by the vertical received array consisting of th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서해의 태안반도 주변의 해역에서 측정된 수중 소음의 공간 코히런스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사질 퇴적층이 우세한 해역의 퇴적층 환경을 잘 반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실험을 통해 공간 코히런스 분석을 통해 실험 해역의 퇴적층 환경을 유추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추후에는 다양한 환경에서의 코히런스 실험을 통해 퇴적층 구성 성분에 따른 주변 소음의 공간 코히런스 특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표층 퇴적물은 자갈에서 펄까지 다양한 퇴적상을 보였으며, 퇴적층 상부에는 사구, 모래파 등의 다양한 크기의 베드폼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목적의 음향실험들 중의 하나로 측정된 주변 소음 측정 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표층 퇴적층 성분에 따른 주변 소음의 코히런스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자갈펄로 구성된 퇴적층의 단일 정점에서 조사선 발전기가 작동하는 경우와 정지한 경우에 대해 측정된 주변 소음으로부터 코히런스를 계산한 후에 모델과의 비교를 통하여 주변 소음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선 발전기가 작동할 때의 코히런스 결과는, 조사선 바닥 전체에서 형성된 균일한 음원과 수직선배열센서와의 수평 거리에 따른 전달 손실을 고려한 방향밀도함수를 사용하여 모의한 코히런스 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발전기 소음의 우세한 주파수 대역인 2 kHz 이하에 해당하는 kd ≤ 20에서 매우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가설 설정

  • 등방성 소음장(isotropic noise field)은 수신기를 중심으로 소음원들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이 때의 방향밀도함수 F(θ)는 아래 식과 같이 표현할 수 있으며,
  • 이러한 코히런스 특성을 이론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조사선 발전기에 의한 소음은 조사선 바닥 전체가 소음원이고 각각의 점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균일한 에너지로 전 방향으로 방사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조사선 주변의 해수면 소음 및 기타 소음은 발전기 소음에 비해 무시 가능하다고 가정하였다. 따라서 이 때의 소음장은 조사선과 수직선배열 센서의 수평거리가 증가함에 따른 전달손실이 고려된 수직방향밀도를 가지게 되므로 수평 거리가 가장 짧을 때 최대값을 가지며, 수평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전달 손실이 증가하는 방향밀도함수[Fig.
  • 비대칭 소음장의 예로는 등음속을 갖는 심해 환경에서 해수면의 운동으로 발생된 소음이 아랫방향으로만 전파되는 환경을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두 수신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음파만 존재하고, 아래에서 위로 전파되는 음파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수직방향밀도 함수는 Eq.
  • 9 ∅)와 유사한 퇴적층(6 ∅)의 환경을 모의하였다. 이 모델은 해수면에서 발생한 소음 환경에서의 코히런스를 모의하며, 등음속 구조의 수층과 균질한 퇴적층 환경을 가정한다. 실험 환경에서 선박 소음의 영향은 Reference [8]에서 제시한 방법과 유사하게 Eq.
  • 이러한 코히런스 특성을 이론적으로 모델링하기 위하여, 조사선 발전기에 의한 소음은 조사선 바닥 전체가 소음원이고 각각의 점음원에서 발생하는 소음은 균일한 에너지로 전 방향으로 방사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조사선 주변의 해수면 소음 및 기타 소음은 발전기 소음에 비해 무시 가능하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대칭성분과 관련해 비대칭 소음장의 예로는 무엇이 있는가? 비대칭 소음장의 예로는 등음속을 갖는 심해 환경에서 해수면의 운동으로 발생된 소음이 아랫방향으로만 전파되는 환경을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두 수신기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위에서 아래로 향하는 음파만 존재하고, 아래에서 위로 전파되는 음파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수직방향밀도 함수는 Eq.
코히런스 분석에서 확인할 수 있는 사항은? 코히런스 분석은 두 수신기에 수신된 신호의 상관관계를 정량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음파 전달에 따른 해양환경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코히런스는 분석 방법에 따라 공간 코히런스(spatial coherence)와 시간 코히런스(temporal coherence)로 나눌 수 있다.
코히런스 분석은 무엇인가? 코히런스 분석은 두 수신신호의 유사성을 분석하는 방법으로, 수중음향에서는 음파의 시간 및 공간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유용한 분석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한양대학교가 공동으로 수행한 해양음향 실험의 일부로, 3개의 수중청음기로 구성된 수직선배열센서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주변 소음을 측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Cho, D. Kang, C. -K. Lee, S. -K. Jung, J. W. Choi, and S. Oh, "Overview of Results from the KIOST-HYU Joint Experiment for studying on Acoustic Propagation in Shallow Geological Environment" (in Korean), J. Acoust. Soc. Kr. 34, 411-422 (2015). 

  2. X. Lurton, An introduction to underwater acoustics 2nd ed. (Springer, Heidelberg, 2002). 

  3. M. J. Buckingham, "Theory of the directionality and spatial coherence of wind-driven ambient noise in a deep ocean with attenuation," J. Acoust. Soc. Am. 134, 950-958 (2013). 

  4. P. H. Dahl, W. J. Plant, and D. R. Dall'Osto, "Vertical coherence and forward scattering from the sea surface and the relation to the directional wave spectrum," J. Acoust. Soc. Am. 134, 1843-1853 (2013). 

  5. L. Muzi, M. Siderius, J. E. Quijano, and S. E. Dosso, "High resolution bottom-loss estimation using the ambient-noise vertical coherence function," J. Acoust. Soc. Am. 137, 481-491 (2014). 

  6. S. Cho and J. W. Choi, "Vertical coherence measurements of ambient noise in shallow water off the east coast of Korea," Jpn. J. Appl. Phys. 50, 07HG01-1-4(2011). 

  7. J. S. Park and H. R. Kim, "Measurement of spatial coherence of active acoustic sensor array signal" (in Korean), J. Acoust. Soc. Kr. 31, 205-213 (2012). 

  8. G. B. Deane, M. J. Buckingham, and C. T. Tindle "Vertical coherence of ambient noise in shallow water overlying a fluid seabed," J. Acoust. Soc. Am. 102, 3413-3424 (1997). 

  9. H. Cox, "Spatial correlation in arbitrary noise fields with application to ambient sea noise," J. Acoust. Soc. Am. 54, 1289-1301 (1973). 

  10. B. F. Cron and C. H. Sherman, "Spatial correlation function for various noise models," J. Acoust. Soc. Am. 34, 1732-1736 (1962). 

  11. W. S. Liggett Jr. and M. J. Jacobson, "Noise covariance and vertical directivity in a deep ocean," J. Acoust. Soc. Am. 39, 280-288 (1966). 

  12. S. W. Yoon, L. A. Crum, A. Prosperetti, and N. Q. Lu, "An investigation of the collective oscillations of a bubble cloud," J. Acoust. Soc. Am. 89, 700-706 (1991). 

  13. A. Prosperetti, "Bubble-related ambient noise in the ocean" J. Acoust. Soc. Am. 84, 1042-1054 (1988). 

  14. W. M. Carey and D. G. Browning, In sea surface sound, edited by B. R. Kerman (Kluwer Academic, Dorderecht, 1988), pp. 361. 

  15. M. L. Banner and D. H. Cato, In sea surface sound, edited by B. R. Kerman (Kluwer Academic, Dorderecht, 1988), p. 429. 

  16. H. Medwin and M. M. Beaky, "Bubble sources of the Knudsen sea noise spectra," J. Acoust. Soc. Am. 86, 1124-1130 (1989). 

  17. M. J. Buckingham, "A theoretical model of ambient noise in a low-loss, shallow water channel," J. Acoust. Soc. Am. 67, 1186-1192 (1980). 

  18. B. F. Cron and C. H. Sherman, "Spatial correlation function for various noise models," J. Acoust. Soc. Am. 38, 885 (1965). 

  19. W. A. Kuperman and F. Ingenito, "Spatial correlation of surface generated noise in a stratified ocean," J. Acoust. Soc. Am. 67, 1988-1996 (1980). 

  20.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http://sms.khoa.go.kr/koofs/kor/introduce/sea_wf.asp?wfcurrent_survey, 2010. 

  21. P. T. Arveson, D. J. Vendittis, "Radiated noise characteristics of a modern cargo ship," J. Acoust, Soc. Am. 107, 118-129, (2000). 

  22. B. K. Choi, B. -C. Kim, C. S. Kim, and B. -N. Kim, "Analysis of dependence on wind speed and ship traffic of underwater ambient noise at shallow sea surrounding the Korean Peninsula" (in Korean), J. Acoust. Soc. Kr. 22, 233-241 (2003). 

  23. B. F. Cron, B. C. Hassell, and F. J. Keltonic, "Comparison of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values of spatial correlation," J. Acoust, Soc. Am. 37, 523-529 (1965). 

  24. M. J. Buckingham and S. A. S. Jones, "A new shallow-ocean technique for determining the critical angle of the seabed from the vertical directionality of the ambient noise in the water column," J. Acoust. Soc. Am. 81, 938-946 (1987). 

  25. G. B. Deane, "Long time-base observations of surf noise," J. Acoust. Soc. Am. 107, 758-770 (2000). 

  26. M. J. Buckingham, "Theory of acoustic attenuation, dispersion, and pulse propagation in unconsolidated granular materials including marine sediments," J. Acoust. Soc. Am. 102, 2579-2596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