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형공간자료를 이용한 지하수 인공함양 적지 선정 방안
A Method of Site Selection for the Artificial Recharge of Groundwater Using Geospatial Dat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33 no.5, 2015년, pp.427 - 436  

이재원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서민호 (Dept. of Civil Engineering, Donga University) ,  한찬 (GeoGreen21 Co., Ltd. Research Center)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기에 1일 50ton 규모의 지하수 양수를 목적으로 하는 소규모 인공함양(Artificial Recharge) 지하저수지 설치를 위한 적지선정 기법을 모색한다. 먼저 수리모델 실험결과 다양한 인자에 부응하는 적지 후보지 형상을 정의하고, 주입과 양수모델링 실험을 수행하여 적합한 양수효율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는 최적 후보지 선정을 위하여 각종 지형공간정보를 처리하여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DB를 구축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5m 격자의 DEM(Digital Elevation Model)으로부터 유역분할 영상을 생성하여 적지의 최소단위로 정의하며 경사도를 이용하여 일정기간의 대수층 저류 기간을 확보하기 위한 적정 수두구배를 결정한다. 최종적으로 유역 분할 영상과 경사도, 정사영상 및 DEM 자료 등을 종합 이용하여 최적 형상에 준하는 영역을 인공함양의 최종 후보지로 선정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select an optimal site for the development of small-scaled artificial ground water recharge system with the purpose of 50ton/day pumping in dry season. First of all, the topography shape satisfying the numerous factors of a hydraulic model experiment is defined and an appropri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현재 전 세계적으로도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세밀한 지형자료를 구축하여 자동화기법으로 적지를 선정하는 기술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상지역을 비교적 소규모 지역인 경남 고성군으로 제한하여 적지선정 기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인 고성군은 Fig.
  • 따라서 세 지역 중 급수 현황이 가장 낮은 지역을 인공함양의 우선지역으로 선별하기 위해 고성군 상수도 보급 현황과 인구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1인당 급수 현황을 조사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수리 수문 인자와 GIS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 인공함양에 유리한 지역을 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우선 인공함양 수리모형을 토대로 지형학적으로 인공함양에 유리한 형상을 정의하였다.

가설 설정

  • 상류와 하류의 지하수면 차이가 크면, 지하저수지에 저장되어야할 지하수가 상대적으로 빠른 유동속도로 인해 하류방향으로 흘러 지하저수지에 저장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지하수 저수지는 상·하류간의 지하수면 차가 작을수록 유리하므로 지하수면과 유사하게 분포하는 지면경사 또한 작을수록 지하저수지 적지가 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지하수면의 경사는 지형경사보다 작으므로, 고성지역의 지형경사와 지질도에 기재된 충적층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지형경사 2° 이상인 경우는 구릉지나 산지에 해당되어 지하저수지 적지에 대한 지형경사 조건은 2° 이하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urnett, D. (2011), Use of remote sensing for groundwater mapping in Haiti, Earthzine, New Jersey, http://earthzine.org/2011/11/22/use-of-remote-sensing-for-groundwater-mapping-in-haiti (last date accessed: 15 September 2015). 

  2. Bu, S., Song, S., Lee, G., Kim, J., and Kim, H. (2005), A Study on Prevent Seawater Intrusion and Artificial Groundwater Recharge, Research Report,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Agriculture and Rural Infrastructure Corporation, Ansan, South Korea, pp. 39-42. (in Korean) 

  3. Chaudhary, B. and Kumar, M. (1996),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in ground water investigations in Sohna Block, Gurgaon District, Haryna (India), Intern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Vol. XXXI, Part B6, pp. 19-22. 

  4. Dillon, P. (2005), Futur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Hydrogeology Journal, Vol. 13, pp. 313-316. 

  5. Djokic, D. (2012), Hydrologic and hydraulic modeling with ArcGIS, ESRI, San Diego, California, http://proceedings.esri.com/library/userconf/proc14/tech-workshops/tw_195.pdf (last date accessed: 15 September 2015). 

  6. Jeong, H., Kim, Y., Kim, N., Ahn, Y., Lee, J., Lee, M., Cha, J., Ju, J., Kim, C., Kim, N., Kim, H., Jeong, H., Kim, J., and Kang, W. (2013), Groundwater Basic Investigation in Go-seong Province, Government publications No. 11-1613000-000141-01,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Dae-jun, South Korea, pp. 3-64. 

  7. Kim, Y. and Kim, Y. (2009), Groundnwater artificial recharge technique corresponding to climate change, Magazine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5, pp. 58-65. (in Korean) 

  8. Kim, Y. and Kim, Y. (2010), A review on the state of the art in the management of aquifer recharg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Vol. 46, No. 5, pp. 521-5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Y., Kim, Y., Ko, G., and Moon, D. (2008), Jeju-friendly Aquifer Recharge Technology, Presentation Materials at the 7th Jeju Groundwater Symposium,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 April, Jeju, Korea. 

  10. Lee, S., Kim, Y., and Won, J. (2006), Groundwater resources potential mapping and its verification using GIS and remote sensing in Pohang city, The Journal of GIS Association of Korea, Vol. 14, No .1, pp. 115-12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Lee, J., Seo, M., and Han, C. (2015), The method of site selection for small-scaled groundwater development using topography factor, Proceedings of 2015 KSGPC Annual Conference, KSGPC, 23-24 April, Masan, South Korea, pp. 277-280. 

  12. Park, N. (2012), Aquifer Storage and Water Quality Enhancement, Research Report, Dong-A University, Busan, South Korea, pp. 17-28. 

  13. Seo, J., Kim, Y., and Kim, J. (2011), Site prioritization for artificial recharge in Korea using GIS mapping,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ol. 16, No. 6, pp. 66-7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Taheri, A. (2008), Site selection for artificial recharging of groundwater by application of geoelectrical method-a case study, Bulletin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Malaysia, Vol. 54, pp. 63-6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