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감기 치료 빈용 처방 구성 약물의 효능 연구
Efficacy of 20 Select Herbs Against Common Cold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6 no.3, 2015년, pp.236 - 251  

김동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안현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강순성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이범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정승기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  정희재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histamine activities of 20 herbal medicines to test their efficacy in common cold treatment. Methods: For all experiments, the herbal medicines were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freeze-dried. To determine the an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감기에 많이 나타나는 발열, 콧물, 재채기, 통증, 인후염 등에 대하여 처방이 아닌 각각의 약물에 대한 효능을 실험을 통하여 검증 한다면 한의학의 변증치료에 보다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되어 치료에 더욱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보다 효과적이고 간편한 새로운 처방을 만드는데 기본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 되었다. 이에 임상에서 감기에 사용되는 빈용 처방인 敗毒散류, 蔘蘇飮, 九味羌活湯, 葛根湯, 桂枝湯, 小靑龍湯 등을 중심으로 처방구성 중요 약재 및 감기치료에 사용되는 빈용 되는 개별약재 葛根, 忍冬, 生地黃, 連翹, 黃芩, 桔梗, 蔓參, 麻黃, 細辛, 桂枝, 荊芥, 秦艽, 前胡, 川芎, 生薑, 升麻, 防風, 白芷, 杏仁 半夏 총 20가지를 이용하여 항산화효능, 소염효능, 진통효능, 해열효능, 항히스타민효능 중심으로 실험을 통해 유의한 결과를 얻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가설 설정

  • 이에 감기 증상을 일으키는 염증반응과 히스타민반응을 억제하면 감기의 증상이 완화되고 소염, 진통, 해열 작용은 감기의 대표적인 증상인 발열, 인후통, 사지산통을 완화할 것이라 가정하고 본 약재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Gonzales R, Malone DC, Maselli JH, Sande MA. Excessive antibiotic use for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in the United Sattes. Clin Infect Dis 2001;33(6):757-62. 

  2. Benson V, Maramo MA. Current estimates from the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5. Vital Health Stat 10 1998;199:1-428. 

  3.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지표. 2013. 

  4. 박양춘. 풍한형 및 풍열형 감모에 대한 小靑龍湯의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2):524-9. 

  5. 배한호, 강위창, 박양춘. 감기에 대한 連翹敗毒散의 유효성 평가를 위한 community-based 이중맹검 위약 대조군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1):234-5. 

  6. 허정원, 강희, 안광성, 김성훈, 최승훈, 안규석, 심범상. 소양인 荊防敗毒散의 항염증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443-51. 

  7. 남봉수, 김윤범. 蔘蘇飮과 蔘蘇飮加味方의 항알레르기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1):343-55. 

  8. 이승언, 신조영, 이시형. 蔘蘇飮의 항알레르기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1):119-28. 

  9. 경희한의학연구센터. 蔘蘇飮의 전신 과민증 억제 및 in vivo와 in vitro에서 히스타민과 시토카인의 분비 억제 효과.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2009;9(2):115-27. 

  10. 문영희, 고재종, 박조영. 九味羌活湯의 소염·진통작용. 생약학회지 1999;30(1):18-24. 

  11. 양태규, 김윤범, 채병윤. 葛根湯과 加味葛根湯의 항알레르기 및 소염, 해열, 진통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2;15(1):76-95. 

  12. 이주은, 박성하, 강경화, 이용태. 防風葛根湯의 항알레르기효과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7;21(5):1118-26. 

  13. 김대남, 김지영, 한은희, 오교녀, 김성훈, 진미림, 정혜광, 김동희. 加味敗毒散의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6):1659-65. 

  14. 곽상호, 신선미, 김수민, 김의일, 이정은, 유동열. 淸肺化痰湯의 항염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1):144-60. 

  15. 김형갑, 신상우, 박종현. 葛根解肌湯의 항 Allergy 및 항염증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2):381-8. 

  16. 류지효, 류선애, 윤화정, 고우신. RBL-2H3 세포에서 升麻葛根湯이 NF-와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 활성 억제에 미치는 항알레르기 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22(6):1572-8. 

  17. 이진아, 하혜경, 정다영, 이호영, 이준경, 황대선, 신현규. 한약 처방 25종에 대한 항염증 효능 비교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0;23(3):101-11. 

  18. 전국 한의과대학 폐계내과학교실. 동의폐계내과학. 서울: 나도; 2013, p. 136-42. 277-9. 

  19. Brand-Williams W, Cuvelier ME, and Berset C.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WT - Food Sci and Tech 1995;28:25-30. 

  20. Parejo IF, Viladomat J, Bastida A, Rosas-Romero N, Flerlage J, and Burillo CC. Comparis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2002;50:6882-90. 

  21. Rauf A, Uddin G, Siddiqui BS, Muhammad N, Khan H. Antipyretic and antinociceptive activity of Diospyros lotus L. in animals. Asian Pac J Trop Biomed 2014;4:382-6. 

  22. Ojha D, Mukherjee H, Mondal S, Jena A, Dwivedi VP, Mondal KC, Malhotra B, Samanta A, Chattopadhyay 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Odina wodier Roxb, an Indian Folk Remedy, through Inhibition of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Pathway. Plos One 2014;25(9):e104939. 

  23. Patel MK, Mandavia DR, Patel TK, Barvaliya MJ, Tripathi CB.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algesic, and antipyretic effects of ethanolic extract of Pedalium murex Linn. fruits. Afr J Tradit Complement Altern Med 2013;16(10):94-100. 

  24. Huang F, Yamaki K, Tong X, Fu L, Zhang R, Cai Y, Yanagisawa R, Inoue KI, Takano H, Yoshino S. Inhibition of the antigen-induced activation of RBL-2H3 cells by sinomenine. International Immunopharmacology 2008;8(3):502-7. 

  25. El-Agamy DS. Anti-allergic effects of nilotinib on mast cell-mediated anaphylaxis like reactions. Eur J Pharmacol 2012;680:115-21. 

  26. 장지문, 양우 저. 대한한의감염병학회 옮김. 현대 임상 온병학. 서울: 청홍; 2014, p. 218. 

  27. 조형준, 이진용, 김덕곤. 桑白皮가 항알레르기및 항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하과학회지 2005;19(2):175-95. 

  28. 이성철, 박성주, 서상완, 황상욱, 김영우, 송달수, 채영석, 신민교, 송호준. 麻黃의 기도과민반응의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5;20(4):69-76. 

  29. Mossad SB. Current and future therapeutic approaches to the common cold. Expert Rev Anti Infect Ther 2003;3(4):619-26. 

  30. 전국 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서울: 영림사; 2006, p. 105, 154, 156, 159, 163,170, 172, 185, 190, 218, 233, 242, 244, 310, 450,487, 498, 499, 515, 578. 

  31. 박히준, 이지숙, 이재동, 김남재, 표지희, 강전모, 최일환, 김수영, 심범상, 이제현, 임사비나. 桂枝의 항염 효과에 관한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5;26(2):140-51. 

  32. 이도연, 최고야, 윤태숙, 전명숙, 김승주, 야스카와켄, 유소연, 김호경. 羌活과 防風의 항염증 상승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8;23(4):39-44. 

  33. 유진수, 김대근, 김상현, 신태영. 비만세포 매개 알레르기 모델에서 荊芥의 항알레르기 효과. Natural Product Sciences 2001;17(3):239-44. 

  34. 박종화, 최인영, 나호정, 정현자, 고성금, 이병희, 송용선, 김형민, 홍성흔, 엄재영. 비만세포 매개 염증반응에 미치는 白芷(Anglicae dahuricae radix)의 억제효과. Oriental Pharmacy and Experimental Medicine 2005;5(3):188-94. 

  35. 김경수, 김남수, 김상동, 길윤영, 염성룡, 이수경, 신병철, 송영선. 細辛에 의한 염증반응의 조절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9(3):779-84. 

  36. 정진봉, 홍세철, 정현진, 구진숙. LPS로 자극받은 RAW 264.7과 THP-1 세포에 대한 川芎 유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염증 효과. 자원식물학회지 2012;25(3):299-307. 

  37. 서형식. 靑黛와 生地黃의 항염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8;21(3):104-10. 

  38. 신광식, 손정숙, 김동은, 전원준, 정승현, 신길조, 이원철. 生地黃 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생쥐의 Allergy성 접촉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0;8(1):257-79. 

  39. 정희재, 정승기, 이형구, 정욱. 杏仁과 桔梗이 Asthma model 내의 Cytokine IL-4, IL-5, IL-6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21(1):31-8. 

  40. 송재진, 박양춘. 半夏가 천식모델 생쥐의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5;26(1):156-68. 

  41. 조희창, 정호준, 이재근, 조미정, 지선영. 秦?가 항염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9;22(3):63-70. 

  42. 이송진, 손건호, 장현욱, 강삼식, 박병욱, 곽의종, 한창균, 김현표. 忍冬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및 진통작용의 비교. 생약학회지 1994;25(4):363-7. 

  43. 곡정강, 정승기, 정희재, 김진주. 連翹의 LPS로유도된 Raw 264.7 Cell에서의 항염증 효과.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10;31(2):242-53. 

  44. 김성윤, 박용기. 連翹 추출물의 Microglia에서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매개물질 생성 억제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8;23(3):93-102. 

  45. 황대룡, 강영성, 김성수, 김대한, 신민교, 송호준. 杏仁의 알레르기 천식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본초학회지 2003;18(2):201-8. 

  46. 김홍배, 강경화, 황원덕, 유선애, 이승연. 葛根추출액이 알레르기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2009;23(3):217-31. 

  47. 신태용, 서형만, 채병숙. 升麻 추출물의 항알레르기 효과. 약학회지 1998;42(4):403-7. 

  48. 정흥식, 강경화, 최영현, 최병태, 이용태. 升麻추출물이 RBL-2H3 Cell과 Mouse에 미치는 항알레르기 효과. 동의생리학회지 2006;20(2):404-9. 

  49. 임혜림, 신승원. 前胡(Anthriscus sylvestris) 뿌리 정유의 항균 및 항산화 작용. 약학회지 2012;56(5):320-5. 

  50. Ratnam DV, Ankola DD, Bhardwaj V, Sahana DK, Kumar MN. Role of antioxidants in prophylaxis and therapy: A pharmaceutical perspective. J Control Release 2006;113(3):189-207. 

  51. Rajendran P, Nandakumar N, Rengarajan T, Palaniswami R, Gnanadhas EN, Lakshminarasaiah U, Gopas J, Nishigaki I.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s. Clin Chim Acta 2014;436:332-47. 

  52. 이중근, 송윤경, 임형호. 黃芩의 진통효과와 항염효과. 대한한의학회지 2007;28(4):124-35. 

  53. Stone KD, Prussin C, Metcalfe DD.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J Allergy Clin Immunol 2010;125:73-80. 

  54. Ma HT, Beaven MA. Regulation of Ca2 + signaling with particular focus on mast cells. Crit Rev Immunol 2009;29:155-86. 

  55. Galli SJ, Kalesnikoff J, Grimbaldeston MA, Piliponsky AM, Williams CM, Tsai M, Mast cells as “tunable” effector and immunoregulatory cells: recent advances. Annu Rev Immunol 2005;23:749-86. 

  56. Karmouty-Quintana H, Blè FX, Cannet C, Zurbruegg S, Fozard JR, Page CP, Beckmann N. In vivo pharmacological evaluation of compound 48/80-induced airways oedema by MRI. Br J Pharmacol 2008;154:1063-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