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지진기록의 통계적 분석에 기반한 스펙트럴 가속도 응답 예측기법
Prediction of Spectral Acceleration Response Based on the Statistical Analyses of Earthquake Record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0 no.1, 2016년, pp.45 - 54  

신동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홍석재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김형준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uggests a prediction model of ground motion spectral shap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records in Korea. Based on the Graizer and Kalkan's prediction procedure, a spectral shape model is defined as a continuous function of period in order to improve the complex problems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고려한 지반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에서 전단파속도는 지반특성으로 인해 스펙트럴 가속도가 진폭되는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활용되었다. 현행 국내 내진설계기준에서 지반조건의 분류시 적용하는 상부 30 m 토층의 평균 전단파속도(VS30)를 이용하여 Fig.
  •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의 지진응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스펙트럴 가속도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강진지역의 지반운동 예측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Graizer and Kalkan의 연구[17]에 기반하여 국내 지반운동 특성에 맞는 스펙트럴 가속도 예측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Graizer and Kalkan의 스펙트럴 가속도 예측방법에서는 지반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진원거리 (fault distance), 모멘트규모 (moment magnitude), 전단파속도(shear-wave velocity)로 분류한 후, 다중회기분석을 통해 서로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여 경험식 (empirical equation)과 예측계수 (estimator coefficient)를 제시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지진기록 및 지반운동특성을 고려하여 스펙트럴 가속도 응답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 주요지진에 대한 관측 자료로부터 가속도 응답 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류하고 각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스펙트럴 형상을 예측하는 식을 도출하였다.
  • 본 장에서는 Graizer and Kalkan에 의해 제시된 지반운동예측식 작성방법에 따라 국내 지진기록 및 지반특성을 고려한 근사 스펙트럴 형상함수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Table 1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지진기록에 적용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근사 스펙트럴 형상 함수가 적정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보이고자 하였다
  •  또한, Graizer and Kalkan의 예측방법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스펙트럴 가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고려하고자 하는 주기마다 회기분석을 반복수행하여야 하며 복잡한 예측계수 행렬을 가진다는 제한사항을 단일 예측계수를 가진 주기에 대해 연속적인 함수식을 제시함으로서 보다 간략화 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지반운동과 관련된 관측이 시작된 최근 20년간 지진원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반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국내 지반운동 및 지진원 특성을 고려한 스펙트럴 가속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예측식으로 획득한 스펙트럴 형상 (정규화된 스펙트럴 가속도)에 최대지반가속도를 곱하여 가속도 응답스펙트럼을 작성한 후 지진관측소에서 측정된 스펙트럴 가속도와 비교하여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 Table 3에 제시된 지진기록은 앞서 본 연구에서 고려한 20개 지진기록 데이터베이스에 포함되지 않은 지진목록이다. 전남 신안군 (2013), 인천 백령도 (2013), 충남 태안군 (2014)에서 모멘트 규모 4.0이상으로 비교적 근래에 발생한 지진이며, 이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방법이 국내에서 임의적으로 발생가능한 지진에 대한 예측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반운동의 응답스펙트럼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한반도내에 증가하고 있는 지진위험도를 반영하여, 우리나라에서는 국내외에서 수행된 연구의 결과물을 바탕으로 내진설계기준 [6]을 개선하고 있으며, 기준을 통해 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세밀하고 체계적인 내진설계 요건 등을 제시하고 있다. Benioff [7]에 의해 최초로 소개된 이후에 Newmark et al [8]에 의해 발전된 지반운동의 응답스펙트럼은 지반운동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진시 구조물의 응답을 평가하기 위해 오랫동안 국내외에서 구조물설계와 성능평가를 위한 방법이다. 응답스펙트럼은 특정지역의 지진위험도 평가를 위한 기본요소로 사용되며, 또한 국내내진설계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진위험도 지도(Seismic hazard map)와 구조물 설계를 위한 설계 스펙트럼 (Design spectrum)의 작성에도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동일한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해 각각의 응답을 정규화한 후에 응답 스펙트럼을 고려하는 이유는? 지진으로 관측된 지반운동기록들은 진앙거리, 모멘트 규모, 지반조건에 따른 전단파 속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의 변화에 따라 서로 다른 최대지반가속도(PGA)를 가지므로 지반운동기록을 분석하여 응답스펙트럼을 단순하게 비교 및 조합하여 통계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따라서 동일한 최대지반가속도에 대해 각각의 응답을 정규화(normalization)한 후에 응답 스펙트럼을 고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23].
기존 연구에 비해 Graizer and Kalkan의 예측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Graizer and Kalkan의 스펙트럴 가속도 예측방법에서는 지반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 진원거리 (fault distance), 모멘트규모 (moment magnitude), 전단파속도(shear-wave velocity)로 분류한 후, 다중회기분석을 통해 서로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수행하여 경험식 (empirical equation)과 예측계수 (estimator coefficient)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Graizer and Kalkan의 예측방법은 기존의 연구들에서 스펙트럴 가속도를 계산하기 위해 고려하고자 하는 주기마다 회기분석을 반복수행하여야 하며 복잡한 예측계수 행렬을 가진다는 제한사항을 단일 예측계수를 가진 주기에 대해 연속적인 함수식을 제시함으로서 보다 간략화 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지반운동과 관련된 관측이 시작된 최근 20년간 지진원관련 데이터를 분석하여 지반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후, 국내 지반운동 및 지진원 특성을 고려한 스펙트럴 가속도 예측식을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Kang TB, Kwon YJ, Park KJ, Kim JK. Site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using the Domestic Observed Strong-motions. Korean Geo-Environment Conference 2009, Seoul, Korea. 172-178.c2009. 

  2. Choi HS. Source Parameters of Two Moderate Earthqauake at the Yellow Sea Area in the Korean Peninsula on March 22 and 30, 2003.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03;13(3): 235-242. 

  3. Kim JK. A study for Earthquake Parameter of Uljin Earthquake, 2007. Jo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07;11(6): 33-39. 

  4. Yun KH. Fault rupture directivity of Odaesan Earthquake (M4.8, '07. 1.20), 2008.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08;11(2). 

  5. Lee KH. Comments on Seismicity and Crustal Structure of the Korean Peninsula, 2010.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10;13(3): 256-267. 

  6.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orea building code and commentary, KBC 2009.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c2009. 

  7. Benioff H. The Physical Evaluation of Seismic Destructiveness.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34;24:88-97. 

  8. Newmark NM, Blume JA, Kapur KK. Seismic design criteria for nuclear power plants. J. Power Div. 1973;99:287-303. 

  9. Abrahamson NA, and Silva WJ. Summary of the Abrahamson and Silva NGA ground motion relations. Earthquake Spectra. 2008;24:67-98. 

  10. Boore DM, Joyner WB, and Fumal TE. Equations for estimating horizontal response spectra and peak acceleration from western North American earthquakes: a summary of recent work. Seismol. Res. Lett. 1997;68: 128-153. 

  11. Campbell KW. Empirical near-source attenuation relationships for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peak ground acceleration, peak ground velocity, and pseudo-absolut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a. Seismol. Res. Lett.1997;68: 154-179. 

  12. Graizer V and Kalkan E. Ground Motion Attenuation Model for Peak Horizontal Acceleration from Shallow Crustal Earthquakes. Earthquake Spectra. 2007;23: 585-613. 

  13. Ambraseys NN, Simpson KA, Bommer JJ. Prediction of horizontal response spectra in Europe. Earthquake Eng. Struct. Dyn. 1996;25: 371-400. 

  14. Sabetta F, Pu gliese A. Estimation o f response s pectra a nd simulation of nonstationary earthquake ground motions. Bull. Seismol. Soc. Am.; 1996;86(2): 337-352. 

  15. Theodulidis NP, Papazachos BC. Dependence of strong ground motion on magnitude-distance. site geology and macroseismic intensity for shallow earthquake in Greece: II horizontal psedovelocity, Soil Dyn. Earthquake Eng. 1994;13: 317-343. 

  16. Kanno T, Narita A, Morikawa N, Fujiwara H, Fukushima Y. A new attenuation relation for strong ground motion in Japan based on recorded data. Bull. Seismol. Soc. Am. 2006;96: 879-897. 

  17. Graizer V, Kalkan E. Prediction of Spectral Acceleration Response Ordinates Based on PGA Attenuation. Earthquake Spectra. 2009;25(1): 39-69. 

  18. Lee JM.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rn Korea. KINS/HR-422, Daejeon: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c2002. 

  19. Jo ND, Park CE. Estimation of Spectrum Decay Parameter x and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astern Korea. Jo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2003;7(6): 59-70. 

  20. Yun KH, Park DH, Choi WH, Chang CJ, Lee DS. Development of site-specific ground-motion attenuation relations for Nuclear Power Plant sites and study on their characteristics. EESK fall workshop;2005 Sep 23-24; Mokpo. 418-430. 

  21. Kramer SL.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Prentice-Hall, Inc. c1996. 

  22. Matsuoka M, Midorikawa S. Empirical estimation of average shear-wave velocity of ground using the digital national land information. J. Structural and Construction. 1993;443: 65-71. 

  23. Kim JK.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Seismic Source and Response Spectrum of Ground Motions from Recent Earthquake near the Backryoung Islan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2011;14(4): 274-281. 

  24.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Quantification of building seismic performance factors, FEMA P695.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Washington DC. c2009. 

  25. Udwadia FE, and Trifunac MD. Damped Fourier spectrum and response spectra. Bull. Seismol. Soc. Am. 1973;63: 1775-1783. 

  26. Oh TS. Study on Earthquake Parameter for Seismic Design and Seismic Hazard, Master thesis. Semyung university, 191. c2006. 

  27. Graizer V. Uptated Graizer-Kalkan Ground Motion Prediction Equations for Western United States. Proceeding of 10th U.S. National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Frontiers of Earthquake Engineering, Anchorage, Canada. c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