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내실험에 의한 혼합사 식생하도의 지형변화와 하상토 분급 특성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sediment sorting processes of the bed surface by geomorphic changes in the vegetated channe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49 no.1, 2016년, pp.73 - 81  

장창래 (한국교통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생에 의한 하도 변화와 하상토 분급특성을 파악하였다. 유사의 유출 특성은 불규칙하며,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출되는 유사량은 감소하였다. 하상고는 불규칙하게 변하며, 하상토 표층에서 유사 입경은 작아졌다.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상 표층에서 무차원 중 앙입경의 비는 감소하였다. 식생대에서 유사가 포착되거나, 식생대와 주흐름 사이에 경계층 흐름이 발생하여 유사가 퇴적되며, 식생대에서 흐름의 방향이 변화되어 표층에서 하상토 입도는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무차원 하상토 입경이 감소함에 따라, 차폐효과는 일정하게 감소하였다. 식생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상 표층에서 차폐효과가 증가하며, 이것은 실험 수로 하류단에서 유사 유출량이 감소하는 것과 일치한다. 식생 밀도가 $0.5stems/cm^2$에서 저수로 이동은 감소하고 안정적인 특성을 보여주었으나, $0.7stems/cm^2$에서 저수로 이동은 증가하였다. 이것은 식생 밀도가 증가하면서 저수로 사행도가 증가하고, 식생대에서 유사가 퇴적되어 새로운 저수로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velopment of lower channels and sediment sorting processes in the vegetated channels with the mixed sediment. The sediment discharges fluctuate with time and decrease with vegetation density. The bed changes with irregular patterns, and the sediment particles in the v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외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기존에 수행된 연구는 혼합사로 구성된 식생하천에서 유사 분급과 하도 지형변화를 파악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내실험을 통하여 식생의 밀도 변화에 대한 하도의 지형변화와 하상토 입도분급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였다. 기존 에는 식생에 의한 하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주로 인공식생을 사용하였지만, 본 연구에서는 실내 실험수로에서 실제식생(알팔파)을 성장시켜서 실험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 하상 표층에서 하상토가 굵어지면 무차원 소류력이 작아져서 유사 이송량이 감소하고, 하상토 표층 입경이 작아지면 무차원 소류력이 커져서 유사 이송량이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무차원 하상토 입경이 감소함에 따라, 차폐효과가 일정하게 감소하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무차원 소류력의 비가 증가 하며, 식생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하상 표층에서 차폐효과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식생에 의한 하도 변화와 유사 분급특성을 파악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Fig. 9에서 b)의 2) 지점은 흐름이 집중되는 저수로에서 하상토가 굵어지는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3) 지점은 유사 이송이 활발한 하류에서 저 수로의 하상토 입경은 상대적으로 가는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도 식생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하도 식생은 흐름, 유사이송, 하도 지형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도 식생대에서 흐름에 대한 저항은 증가하고 유속은 감소하며, 흐름의 방향이 변화된다.
식생이 없는 혼합사로 구성된 하도에서 전단응력이 작아 유사 이송량이 적은 경우에는 어떤 현상이 나타나는가? 하상고가 상승하면 하상토의 입경이 가늘어지고, 하상고가 저하되면 하상토의 입경이 굵어진다. 그러나 전단응력이 작아서 유사 이송량이 적은 경우에, 표층 입경은 기층 입경보다 굵어지며, 하류로 갈수록 하상토 입경이 작아지는 하류 세립화(downstream fining) 현상이 나타난다(Paola and Seal, 1995). 그러나 식생하도에서 흐름과 저수로의 변화에 의하여 유사의 분급 특성은 매우 복잡하다.
식생대에서흐름 특성은 어떤것을 일으키는데 중요한가? 혼합사로 구성된 식생하도에서 하상토 입도분포 특성은 복잡하다.식생대에서흐름 특성은 유사의 거동과 하상토 입도 분급을 일으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초기 하도에서 저수로에 흐름이 집중되면서 유사 이동이 활발하고, 저수로에서 성장한 식생은 뿌리가 뽑히고 하류로 내려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Gran, K., and Paola, C. (2001). "Riparian vegetation controls on braided stream dynamics." Water Resour. Res., Vol. 37m No. 12, 3275-3283. 

  2. Ikeda, S., and Izumi, N. (1990). "Width and depth of self-formed straight gravel rivers with bank vegetation." Water Resour. Res., Vol. 26, No. 10, 2353-2364. 

  3. Jang, C.-L. (2014). "Experimental study on the sediment sorting processes of the bed surface by geomorphic changes in the alluvial channels with mixed grain size." J. Korea Water Resour. Assoc. Vol. 47, No. 12:1213-1225. 

  4. Jang, C.-L., and Shimizu, Y. (2007). "Vegetation effects on the morphological behavior of alluvial channels.." Journal of Hydraulic Research, Vol. 45, No. 6, pp. 763-772. 

  5. Kondolf, G.M., and Wolman, M.G. (1993). "The sizes of salmonid spawning gravels." Water Resour. Res., Vol. 29, 2275-2285. 

  6. Lisle, T. E., Iseya, F., and Ikeda, H. (1993), "Response of a channel with alternate bars to a decrease in supply of mixed-. size bed load: A flume experiment", Water Resour. Res., Vol. 29, No.11, 3623-3629, doi:10.1029/93WR01673. 

  7. Lopez, M., and Garcia, M. (2001). "Mean flow and turbulence strucuture of open channel flow through non-emergent vegetation." J. Hydraul. Engrg. ASCE, Vol. 127, pp. 392-402. 

  8. Nepf, H.M., and Vivoni, E.R. (2000). "Flow structures in depthlimited, vegetated flow."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5, No.C12, 28, pp. 547-557. 

  9. Parker, G. (1990), "Surface-based bedload transport relation for gravel rivers", Journal of Hydraulic Reseach, IAHR, Vol. 28, No. 4, 417-436. 

  10. Parker, G., Klingeman, P. C., and McLean, D. L. (1982), "Bedload and size distribution in paved gravel-bed streams", J. Hydraul. Eng., ASCE, Vol. 108, No.HY4, pp.544-571. 

  11. Parker, G., and Klingeman, P. C. (1982), "On why gravel bed streams are paved", Water Resour. Res., Vol. 18, No. 5, 1409-1423, doi:10.1029/WR018i005p01409. 

  12. Tal, M., and Paola, C. (2010). "Effects of vegetation on channel morphodynamics: results and insights from laboratory experiments." Earth Surf. Process. Landforms. Vol. 35, pp. 1014-1028. DOI:10.1002/esp.1908. 

  13. Thorne, C.D., and Furbish, D.J. (1995). "Influences of coarse bank roughness on flow within a sharply curved river bend." Geomorphology, Vol. 12, pp. 241-257. 

  14. Thorne, C.R. (1990). Effects of vegetation on riverbank erosion and stability in vegetation and erosion, edited by Thornes, J.B., John Wiley, New York, pp.125-144. 

  15. Tsujimoto, T. (1999). "Fluvial processes in streams with vegetation." J. Hydraul. Res. Vol. 106, No. 6, pp. 789-803. 

  16. Viparelli, E., Gaeuman, D., Wilcock, P., and Parker, G. (2011), "A model to predict the evolution of a gravel bed river under an imposed cyclic hydrograph and its application to the Trinity River", Water Resour. Res., Vol. 47, doi:10.1029/2010WR009164,2011. 

  17. Wilcock, P.R., and Crowe, J.C. (2003). "Surface-based transport model for mixed-size sediment." J. Hydraul. Eng., ASCE, Vol. 129, No. 20, pp. 120-128, doi:10.1061/(ASCE)0733-9429(2003)129:2(120). 

  18. Wilcock, P.R., and McArdel, B.W. (1993). "Surface-Based Fractional Transport Rates: Mobilization Thresholds and Partial Transport of a Sand-Gravel Sediment." Water Resour. Res., Vol. 29, No. 4, pp. 1297-13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