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영화 <사도>는 사도세자의 비극적 가정사에 공감하는 관객의 감수성, 사회적 기표에 대한 관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관객은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아버지와 아들의 상이한 정서적 감정, 전통의 이상과 가치의 상징인 아버지의 주체와 이를 파괴하려는 저항적 주체간의 상반된 의식이 마음속에서 충돌할 때 본래적 '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적 사회적 행동으로서 이를 봉합할 수 있는 무의식적 위선 혹은 의식화된 감정을 따를 것인지 고민한다. 관객은 전통적 사회의 상징인 아버지의 권위와 위엄을 지향하면서도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나'의 존재론적 철학적 가치를 중시하는 양가적 태도, 도덕적 가치관을 내 보인다. 본 연구는 아버지의 기표와 그에 대한 '나'의 저항 그리고 '나'의 광기를 살펴보는 가운데 도덕의 가치와 기준에 관한 관객의 사유를 살펴보고, 또한 과거의 도덕은 항상 도전에 직면할 수밖에 없고, 현재 역시 미래에 의해 전복될지도 모르는 도덕의 가치에 안위하고 있기에 관객이 최상의 것이기를 원하고 믿었던 도덕, 질서, 법의 체계는 언제나 미완성이고 변화무쌍한 것임을 말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ovie offers a chance to observe the social signifier and the sensitivity of audiences who feel sympathy with the tragic history of crown prince Sado. While watching the movie, the audience halts between ideas whether to go back to "primary ego", or to play the unconscious hypocrisy or the ing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기 위해 본 연구는 라캉의 ‘주체’의 정의에 사용된 인성구조와 언어구조의 대비를 참고하여 관객(주체)의 인성과 영화적 서사(글쓰기)사이의 관계 속에서 관객의 의식화된 감정, 사회적 기표가 어떻게 작용하는지 관찰하고자 한다.
  • 관객은 조선 역사에 대한 자신의 지적 호기심에 자위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사도세자의 비극을 보며 사회적 기표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아버지와 아들의 상이한 정서적 감정, 두 주체간의 상반된 의식이 마음속에서 충돌할 때 본래적 ‘나’로 회귀할 것인지 아니면 자동적 사회적 행동으로서 이를 봉합할 수 있는 무의식적 위선 혹은 의식화된 감정을 따를 것인지 고민한다. 본 연구는 관객의 이러한 심적 카르텔, 아버지의 자아, 나의 자아, 그리고 광기의 자아를 추적하며 사회적 가치와 이상(도덕)의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에 대해 언급하고자 한다.
  • 태생적으로 본래적 ‘나’를 볼 수 없고, 거울에 비친 모습을 ‘나’로 인지하는 자아는 그렇게 거울에 비친 타자(자신의 모습)가 되고자 하고 이어 그를 소유하려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화 <사도>의 관객은 어떤 감수성을 가지고 있는가? 영화 <사도>의 관객은 18세기 프랑스 멜로드라마에 열광하던 관객의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18세기 프랑스 드라마(drame)와 더불어 등장하는 감수성(Sensibilité)의 개념은 17세기 비극과 소극에 심취한 관객들의 통례적 감정에 지적 태도가 곁들여진 의식화된 감정적 관념을 일컫는다.
18세기 프랑스 드라마와 함께 나타난 감수성의 개념은 무엇인가? 영화 <사도>의 관객은 18세기 프랑스 멜로드라마에 열광하던 관객의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18세기 프랑스 드라마(drame)와 더불어 등장하는 감수성(Sensibilité)의 개념은 17세기 비극과 소극에 심취한 관객들의 통례적 감정에 지적 태도가 곁들여진 의식화된 감정적 관념을 일컫는다. 비극의 관객은 고대 영웅들의 심리적 갈등구조에 박수를 보냈고, 소극의 관객은 비극의 비장(悲壯)함의 격식 파괴에 웃음을 터트렸으며, 몰리에르는 이러한 귀족의 고상한 취향과 서민의 경박한 감정의 간극을 좁혔고, 디드로(Diderot)는 자본주의 근대화 과정을 통해 나타난 사생아와 친부의 만남, 가난한 처녀와 부자와의 연애, 난봉꾼의 질투 등과 같은 사회의 도덕적 정서를 멜로드라마로 공론화 하며 도덕(사회적 기표)을 성찰하였다.
왜 정신적 신과 아버지는 무형의 존재이자 부재한 것의 대체인가?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종교(신)가 자연의 공포와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인간의 심적 방어기제라면, 사회학적 관점에서 아버지는 관계론적 불안을 극복하기 위한 심적 방어기제이다. 최초 종교의 제단은 자연재해와 맞서기 위해 세워졌고, 중세의 신은 마녀, 악마와 결투했으며, 아버지는 사회적 존재론적 위험(생물학적이든 심리적이든 간에)에 맞서 선봉에 서 있다. 따라서 정신적 신과 아버지는 무형의 존재이고, 바꿔 말해 부재한 것의 대체이며 부재한 곳에 존재함으로써 ‘나’의 온전함을 완성하는 상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장영란, 위대한 어머니 여신, 살림지식총서 011, 2003. 

  2. C. Jones, 방문숙 외 역, 케임브리지 프랑스사, 시공사, p.104, 2003. 

  3. 백승영, 니체, 디오니소스적 긍정의 철학, 책세상, p.335, 2006. 

  4. 김길훈, "전래동화 빨간모자와 영화 아저씨에 나타난 아버지의 기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66, 2012. 

  5.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30, 2003. 

  6. Pierre Bourdieu, 김용숙 외 역, La Domination Masculine 남성지배, 동문선, p.50, 2000. 

  7. Pierre Bourdieu, 김용숙 외 역, La Domination Masculine 남성지배, 동문선, pp.50-61, 2000. 

  8. Bourdieu Pierre and J.C.Passeron, Reproduction in Education; Socoety and Culture, London, Sage, 1977. 

  9. Pierre Bourdieu, 김용숙 외 역, La Domination Masculine 남성지배, 동문선, p.53, 2000. 

  10.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139, 2003. 

  11.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92-93, 2003. 

  12.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101-102, 2003. 

  13. Calvin S. Hall, 지경자 역, 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홍신문화사, p.103, 1997. 

  14. Calvin S. Hall, 지경자 역, 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홍신문화사, p.104, 1997. 

  15.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161. 2003. 

  16.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162, 2003. 

  17. 전규태, 한중록, 범우사, pp.84-85, 1988. 

  18. 최용기, "한중록에 나타난 갈등구조," 겨레어문학, 제16권, p.240, 1991. 

  19. 김성호, "죽음과 죽음욕동의 담론들," 비평과 이론, Vol.17, p.53, 2012. 

  20. 김성호, "죽음과 죽음욕동의 담론들," 비평과 이론, Vol.17, pp.44-45, 2012. 

  21.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163, 2003. 

  22.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p.164-165, 2003. 

  23. Friedich Nietzche, 김정현 역,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니체 전집 14권, 책세상, p.416, 2003. 

  24. C. Moony, 이지연 역, The Republican Brain 똑똑한 바보, 동녘사이언스, pp.50-55, 2012. 

  25. Malcolm Bowie, 이종인 역, 자크 라캉, 시공사, p.148,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