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 농업인의 공동농사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 삶의 의미와 심리적 복지감을 중심으로 -
The Analysis on Development and Effect of Co-farming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Farmers - Focusing on Meaning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2 no.4, 2016년, pp.115 - 129  

김영애 (대한노인회삼척시지회 취업지원센터) ,  정미경 (강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김기성 (강원대학교 지역건설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co-farming program for elderly farmers, employ, then evaluate its effectiveness whether it influences purpose in lif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program participants. A total of 130 elderly farmers that composed of 65 i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respe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Figure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집단 간에는 심리적복지감 인식에서 차이가 없었다. 그렇다면 실제로 두 집단 참여자들에게 심리적 복지감에 대해 어떻게 생각을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사회단절(‘말할 사람이 없어, 혼자 하느라 얼마나 애쓰는지 몰라’, 이00, 70세, 남, 골 말리), 좌절경험('사는게 어쩔 수 없어.
  • 본 연구는 고령 농업인에게 공동농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결과, 농촌노인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복지감’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의 참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통계로 차이여부를 검증할 뿐 아니라,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참여노인들이 삶의 의미와 심리적복지감에 대해 실제로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터뷰 대상은 직접 공동농사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참여자들과 경로당에 다니면서 공동농사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 참여자들이다.
  • 따라서 고령화로 혼자서 농사를 지을 수 없는 농촌노인들에게 공동체는 하나의 유기체처럼 공동체가 추구하는 목표를 향해 모든 구성원들은 역할을 분담하는 마을 공동사업이 필요하다((Choi and Yang, 2015).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 농업인들이 하나의 과제를 협력하여 해결하기 위한 공동농사가 필요하다는 관점에서 출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령 농업인의 취업 방안 중의 하나로 공동농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가 검증된다면, 첫째, 고령 농업인이 공동농사라는 새로운 일자리를 통해 노인이 평생현역으로 활약하고 그 존재가치를 복권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가설 설정

  • 넷째, 참여 고령 농업인은 삶의 의미를 찾는가?
  • 첫째, 지역의 휴농지를 활용하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논문에서 농촌지역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현재 농촌지역은 산업화에 따른 대규모 인구의 도시 유출로 인구의 노령화, 지역사회의 공동화 등 고령화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농촌지역은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이 2000년 14.7%에서 2010년 20.6%로 증가하였으며, 전국 읍면 가운데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초과한 지역이 2000년 54.6%에서 2010년에는 81.7%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0년의 농가호수는 1,177천호, 농가인구는 3,063천명인데, 이 중 65세 이상 인구비율은 31.8%이다. 전체 인구 대비 농가인구의 비율이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고령인구의 비율은 2015년에는 39.6%, 2020년에는 44.7%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이러한 현상은 경제활동의 위축, 일자리 감소, 공공 및 상업서비스 공급 축소 등 삶의 질 저하를 초래(Noh et al.
고령 농업인은 은퇴라는 전환을 경험하지 않음으로써 어떤 삶을 사는가? 특히 고령 농업인은 도시노인과 달리 ‘은퇴’라는 생활적 전환을 경험하지 않으며, 대다수의 고령 농업인은 생의 마지막까지도 농사일을 통한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National Statistical Office(2013)자료에 의하면, 2015년 4월 현재, 60세 이상 노인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40.
전체 인구 대비 농가인구의 비율은 감소하고 농촌지역이 고령화가 된다면 그로 인해 어떤 문제가 초래되는가? 7%로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이러한 현상은 경제활동의 위축, 일자리 감소, 공공 및 상업서비스 공급 축소 등 삶의 질 저하를 초래(Noh et al., 2013)하여, 인구 유출 증가와 인구 유입을 막는 악순환(Kim et al., 2011)과 마을단위의 공동체 기능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게 한다(Lee et al, 2008). 이에 학계, 노동계, 정부 등에서도 이들에게 다양한 노동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중요한 노인복지정책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Ahn, Y. M., 200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 Ahn, Y. M.,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Meaning of Life, Self-Esteem and Mental Health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2(4), 576-585. 

  3. Choi, J. S., Yang, Y. R., 2015, Welfare Experience and Needs of Rural elderly. Korean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in Social Welfare, 9(1), 295-A1:A4 

  4. Chun, J. W., Park, M. S., 2006, A Test of Causal Model for Motivation for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26(3), 521-545. 

  5. Han, K. H., Hong, J. K., 2000, Exchanging social support between generations and psychological welfare of elderly, Journal of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12(2), 55-80. 

  6. Han, S. H., Kim, M. H., Lee, J. M., Ban, H. J., 2010, Development Research on Rural Population Mode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7. Hwang, S. Y., 2008, A study on the Effect of Welfare Service and Leisure Activity Service for the Aged at Home on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Graduate School of Yong-in University. 

  8. Hyun, O. S., 2010, The Needs and Satisfaction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in Two South Sea Islands of Kyungn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8, 83-106. 

  9. Jang, I. H. and Choi, S. J., 1987,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Seoul National University. 

  10. Jeon, H. O., 2003, (A) study on the meaning of life and the quality of life in old people, Ewha Womens'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onverging Clinical & Public Health. 

  11. Jeong, G. Y., 2006, A) study to improve quality life of old generation in rural farming regions, SangJi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Policy 

  12. Ju, S. H.,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mmunity Welfare Plans for the Aged in Local Government,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2(1), 233-251. 

  13. Jung, D. Y., Jang, J. Y., Park, J. U., 2010, A Study on the Structural Change of Employment and Labor-induced Effects of the Korean agri-fishery Industry by the Input-Output Analysis,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Livestock Management, 37(2), 249-280. 

  14. Jung. J. H., Roh, J. S., Cho, H. J., 2013, Aging of Farm Households in South Korea and Its Impact on Household Incom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54(2), 55-74. 

  15. Kim, B. R., Jeon, I. S., Yoon, J. Y., Min, J. H, 2010, Analysis on Employment of Agricultural sector and the Stabilization measures of labor supply,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6. Kim, J. S. and Kim, K. S., 2011, Trends of Return to the Farm and Rural and regional counter pl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69-290. 

  17. Kim, K. D., 1998, Analysis on Agricultural Manpower and long-term demand outlook,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8. Kim, K. S., 2004, (A)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rural Areas : a Case of Gam-Moon Myun, Kim-Chon, Daeje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Social Welfare. 

  19. Kim, M. H., 2001, Productive Welfare and Employment Policy for the Elderly, Ewha Journal of Social Sciences, 7, 187-213. 

  20. Kim, M. Y., 2004, Korean endemic plants, Seoul: Solgwahak. 

  21. Kim, T. H., Han, E. J., 2004, Relationship of Self-Esteem, Stress and Social Support Experience to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Living-Alone Elderly People, Journal of Korean Family Studies Association, 9(3), 81-106. 

  22. Kim, Y. J., 2009, Medit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s on the Decrease of Depression of Rural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77-104. 

  23.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0, Stratigies and Vision on Agricultural.Fisheries and farming.fishing village in 2020,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4. Lee, H. J., Og, S. M. Sin, Y. A., 2003,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depression of Urban Elderly Women.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22, 127-150. 

  25. Lee, J. S., 2008. Korea Society and Community. Seoul:Dasan. 

  26. Lee, S. S., Kim, S. H., 2011, A Study on the Living Conditions and Social Welfare Needs of the Elderly who Lives Alone in the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focused on the province of Jeollanamdo, Journal of Korean Community Development Society, 11(1), 23-60. 

  27. Lee, S. W., Yoon, S. D., 2008, Quantitative Approaches for Agricultural and Rural Poli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4(4), 97-108. 

  28.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3, Major Statistics Dat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0, 2ndHealthandWelfareplanoffarming.fishingvillage,MinistryofHealthandWelfare. 

  3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Integrate Guidiance of Job Creation Project for Elderl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1.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Basic Survey of Agricultural.Fisheries 2007, National Statistical Office. 

  3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33.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2, Statistics of the Aged, National Satistical Office. 

  34.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National Statistical Office. 

  35.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3, Statistics of the Aged, National Satistical Office. 

  36. Park, D. S., Choi, K. H., Cho, M. H., 2012, A Study on Improving the Rural Delivery System of Social Welfar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2, 1-181. 

  37. Park, K. S., 2001,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receiving public assistance on their needs and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 Kyo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al Security Association, 17(1), 175-211. 

  38. Park, S. M., 2010,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Influencing Life Satisfaction between Urban and Rural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47, 137-160. 

  39. Roh, J. S., Jung, J. H., Jeon, J. Y., 2013, Returning Farmers and the Aging of Farm Households: Prospects of Changes in Rural Population by Their Influx. 19(4), 203-212. 

  40. Shin, K. Y. and Ok, S. W., 1997, A study on the middle-aged housewives' family role performanc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5(1), 111. 

  41. Son, N. S., 2008, Analysis on Rural elderly welfare policy and Policy challenges: Focusing on Retirement income security system,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overnmental Studies, 2008, 93-113 

  42. Yoon, S. D., Gim, G. M., Cho, Y. S., 2008, A Study on the Retirement Plan and Farming Transfer among Elderly Farmer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8(2) 179-206. 

  43. Yoon, S. E., Han, G. H., 2011,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Life-world and the Meaning of Life Experiences of Older People in Rural Communities,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3), 767-793. 

  44. Yoon, S. O., .Park, M. H., Kim, K. H., 2008, A Study on Welfare Increase of the Elderly in Rural Community-Focused on Gumi City, Gyeongsangbuk-Do-, Academy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8(2), 143-177. 

  45. Yoon, Y. S., Lee, B. H., Park, J. K., 2013, Effects of aging on farm income inequality: Focusing on Empirical Analysis on the effect of age,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36(3), 33-51. 

  46. Anther Tinker, H. I., 1997, Older People in Modern Society, Longman Social Policy in Bretain seris. 

  47. Bradburn, Y. T., 1969,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ho: Aldine Press. 

  48. Crumbaugh, J. C. and Maholick, L. T., 1969, Manual and instructions for the purpose in life Test Muster, IN: Psychometric Affiliates. 

  49. Erikson, E. H., 1980, The life cycle completed New York: Norton Publishers. 

  50. McLaughlin, J. A. and Gretchen B. J., 2004, Logic Models: A Tool for Describing Program Theory and Performance(2nd edition). CA: Jossey-Bass Publishers. 

  51. Ryff, G. K. and Keyes, E. U.,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ll-being. Chicaho: Aldine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