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버내큘러 디자인 관점에서 본 신한복 스타일
A Study on the New-Hanbok Style from the Perspective of Vernacular Design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7, 2016년, pp.69 - 88  

이정호 (신구대학교 섬유의상코디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ve into the identity of the New-Hanbok style in modern fashion, and to survey its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internal values from the perspective of vernacular design. Argumen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The study historically examines the changes in Hanbok 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디자인계는 왜 버내큘러(vernacular)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가? 세계의 패션기업은 세계적 보편성과 특수성을 강조하는 글로벌적 시각과 글로컬적 시각을 단계적으로 견지해왔다. 시장의 확장을 전제로 두는 관점은 저성장기조의 장기화, 경기침체, 소득의 양극화에 따른 소비자의 합리적 가치소비 추구경향과 소비형태 및 심리의 다원화ㆍ세분화 경향에 의해 초니치(ultra-niches)마켓을 공략하는 시장 상황에 맞도록 수정이 요구되었고, 이에 따라 글로컬적 시각은 세계적인 관점으로부터 지역에 안착하는 방향에 이어, 지역의 특수성을 발굴하여 세계화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디자인계는 특정 지역의 문화적 특수성을 집약하고 있는 버내큘러(vernacular) 디자인에 대해 관심을 가져 왔으며, 복식 디자인 역시 버내큘러의 의미에 주목하고 있다.
버내큘러의 현대적인 의미는 무엇인가? 버내큘러는 라틴어의 verna, vernacula, vernaculus가 확장된 것으로 ‘기존의 사들인 노예가 아닌 애초 주인집에서 태어난 노예’를 의미하는 것에서 ‘한정된 한 마을 또는 한 지역 내에서만 거주한사람, 그 지역의 원주민’, ‘한 가지 일에만 고정적으로 종사하는 사람’으로 확대되었다(Jackson, 1986). 이후 현대적 관점에서vernacular의 의미가정립되어, ‘특정한 지역이나 집단에서 쓰이는 방언, 토착적인, 풍토적인’이라는 사전적 의미를 가진다(Kang, 2015).
건축과 환경디자인에서 버내큘러의 특성은 무엇인가? 주로 건축과 환경디자인 분야에서 문화적 사물에 나타나는 특정 지역의 민속적 특성과 지역적 전통이 지닌 특성으로 광범위하게 설명되어온 버내큘러는 그 특성이 나타나는 과정으로서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문화적 관점에서 버내큘러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해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Bae. R. T., Lee, M. S., & Kim, E. J. (2016).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Hanbok brands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1), p. 134. 

  2. Ccomaque (n.d.-a).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57&category001 

  3. Ccomaque (n.d.-b).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07&category001 

  4. Ccomaque (n.d.-c).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list.php?category003&page1 

  5. Ccomaque (n.d.-d).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292&category003 

  6. Ccomaque (n.d.-e).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37&category003 

  7. Ccomaque (n.d.-f).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255&category002 

  8. Ccomaque (n.d.-g).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65&category002 

  9. Ccomaque (n.d.-h).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65&category002 

  10. Ccomaque (n.d.-i).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95&category002 

  11. Ccomaque (n.d.-j). Retrieved from http://www.ccomaque.com/shop/goods/goods_view.php?goodsno363&category002 

  12. Chae, K. S. (1999).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model(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pp. 122-123. 

  13. Chae, K. S. (2000). Development of practical Korean costume model(II).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3(1), pp. 99-109. 

  14. Cho, Y. J., Kwon, M. K., Ahn, S. S., & Lee, S. J. (2000). The dictionary of comtemporary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Ahn graphics publishers. 

  15. Chae, H. J. & Oh, C. S. (2009). The desire of products following vernacular in modern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2(3), p. 57. 

  16. Dailyhan (n.d.). Retrieved from http://www.dailyhan.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37&cate_no1&display_group2 

  17. Hanlook (n.d.-a). Retrieved from http://www.hanlook.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67&cate_no25&display_group1 

  18. Hanlook (n.d.-b). Retrieved from http://www.hanlook.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37&cate_no26&display_group1 

  19. Jackson, J. B. (1986). Discovering the vernacular landscape. Yale University Press, Ltd. 

  20. Jeong, S. M., Park, S. Y., & Shin, D. H. (2016). Hanbok and Instagram:Interaction between tradition and social media. Proceedings of HCI Korea 2016, p. 343. 

  21. Kang, J. H. (2015). A study on characteristic of expressions and aesthetic significance of the vernacular design in contemporary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2. Kim, J. H. (2015, October 28). Now more than ever, wo men in their 20s-30s are spending their money on Hanbok["이번 핼러윈 의상은 한복?" ${\cdots}$ 옥션, 한복 구매하는 2030 여성 늘어]. Asia Today. Retrieved from 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51028010015441 

  23. Kim, S. K., Cho, H. S., & Chung, I. H. (1999). A study on consumption experience and the consciousness for Saenghwal Hanbok(I).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2(1), pp. 133-134. 

  24. Kim, Y. S. & Lim, Y. J. (2001). A study on changes in the form of traditional dress with its popularizatio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1), p. 108. 

  25. Kim, N. D., Jeon, M. Y., Lee, H. E., Lee, J. Y., Kim, S. Y., & Choi, J. H. (2013). Trend Korea 2014. Seoul, Republic of Korea: Miraebook. 

  26. Kim, J. H. & Choi, J. W. (2008). Research on the modernization of Cheolik desig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1(3). p. 97. 

  27. Koo, M. J. (1997). A historical research on improved changes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Journal of Natural Science, 10(1), p. 130. 

  28. Leesle (n.d.-a). Retrieved from http://www.leesle.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300&cate_no48&display_group1 

  29. Leesle (n.d.-b). Retrieved from http://www.leesle.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208&cate_no48&display_group1 

  30. Leesle (n.d.-c). Retrieved from http://www.leesle.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167&cate_no48&display_group1 

  31. Leesle (n.d.-d). Retrieved from http://www.leesle.com/product/detail.html?product_no80&cate_no48&display_group1 

  32. Lee, C. W. (2001). A study on improvements in the process of practical Hanbok production.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1), pp. 56-59. 

  33. Lee, C. W. (2002). Strategies for cultural commercialization of Korean costumes for practical lif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5(4), pp. 89-91. 

  34. Lee, J. M. (2010). An inquiry in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costum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4), p. 166. 

  35. Lee, U. Y. & Lee, I. S. (2007). Study on the modern expression and aesthetic symbolism in fil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7), pp. 129-135. 

  36. Lee, Y. Y. (2011). An iconological analysis of Lee young hee's fashion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4), pp. 481-482. 

  37. Lupton, E. (1999). Design writing research: writing on graphic design. London: Phaidon. 

  38. Park, Y. S. (2003). A consumer cognitive degree survey for design of the modernized Korean costume.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6(3), p. 25. 

  39. Ryu, H. K., Kim, M. J., Cho, H. S., Park, M. Y., Shin, H. S., Kim, Y. J., & Choi, E. S. (2001). Two thousand years of Korean fashion and culture. Goyang, Republic of Korea: Misulmunwha. 

  40. Ryu, S. H. & Moon, C. (2005). The understanding for acceptance of kitsch and vernacular concepts in produ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8(3), p. 203. 

  41. Seo, B. H. (2010). Study on modernization of the costumes of the ethnic minority in Yunnan, Chin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0(2), pp. 27-29. 

  42. Tchaikim (n.d.) Retrieved from http://tchaikim.kr/product/detail_special.html?product_no293&cate_no44&display_group1 

  43. Yoo, J. H. (2015, July 18). Kim namhee, the CEO of Dolsilnai[20년 장수 브랜드 '돌실나이' 김남희 대표]. Midas. Retrieved from http://www.yonhapmidas.com/article/150808172731_702044 

  44. Yoon, S. H. (2003). A study of vernacular design which is based on the peculiarity of Korean cultur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