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접촉식 광 점퍼 코드 개발 및 광 전송 성능 평가
Development of Non-Contact Fiber Jumper Cord and Evaluation of Light Transmission Performance 원문보기

비파괴검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36 no.5, 2016년, pp.399 - 405  

김헌영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소재연구팀) ,  강동훈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첨단소재연구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많은 장점으로 기존 전기식 센서를 대체하여 그 적용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는 광섬유 센서는 센서부에서 계측기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해 광 어댑터와 광 점퍼 코드와 같은 광소자를 사용하게 된다. 광 어댑터를 이용하여 신호 전달을 하는 경우 단면이 서로 맞닿게 되어 이물질에 의해 코어 부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광 손실 및 광 접속 불능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유지보수를 필요로 하는 문제들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비접촉식 광섬유 점퍼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그 전송 성능을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접촉식 광 점퍼 코드는 2 mm의 간극에서 광 신호 전송이 불가능한데 반해 비접촉식 광 점퍼 코드의 경우 초기 광 손실은 상대적으로 크지만 간극이 증가하더라도 약 7 mm 정도까지 안정적으로 신호 전송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패치 코드가 광센서 간 신호 전송을 위한 케이블임을 고려할 때 외부의 환경적 요인에 대해 더 우수한 신호 안정성을 가진 비접촉식 패치 코드가 접촉식 패치 코드에 비해 현장 적용성이 더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fiber optic sensors, which have many advantages are being applied in various fields by replacing conventional electric sensors. To transmit the light signals between an interrogator and a sensor head, optical components such as an optical adaptor and optical jumper cords are generally 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접촉식 패치 코드가 갖는 필연적 한계인 단면 깨짐 문제 등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비접촉식(non-contact) 광섬유 패치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접촉식 광섬유 패치 코드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패치 코드에 대한 광 전송 성능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접촉식 패치 코드에 비해 초기 광 손실은 상대적으로 크지만, 간극이 증가하더라도 약 7 mm 정도까지는 안정적으로 신호 전송이 가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섬유 센서의 센싱 신호 전달을 위해 빛을 매개로 하면 어떤 장점이 있는가?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광섬유 센서(fiber optic sensor)가 개발[6,7]되었으며 최근 기존 전기식 센서를 대체하여 그 적용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광섬유 센서는 센싱을 위한 신호의 전달 시 빛을 매개로 하므로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전자기 간섭(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에 대해 독립적이며, 실리카(SiO2) 계열의 재질로 구성되어 부식(corrosion)으로부터 자유롭다. 또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로 구조물에 삽입(embedding)이 용이해 항공우주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합재료(composites)와 함께 동체 거동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8]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을 비롯하여 비파괴검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9-13].
광케이블 및 광 어댑터와 같은 광소자들의 연결선 역할을 하는 것을 뭐라고 명칭하는가? 또한, 수백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로 구조물에 삽입(embedding)이 용이해 항공우주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복합재료(composites)와 함께 동체 거동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8] 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타 다양한 분야에서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HM)을 비롯하여 비파괴검사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9-13]. 이렇듯 다양한 분야에 적용성을 넓혀 가고 있는 광섬유 센서는 센서와 계측기(interrogator) 사이의 신호 전달을 위해 필연적으로 광케이블(optical cable) 및 광 어댑터(optical adaptor)와 같은 광소자(optical component)를 사용하게 되며 이 때 사용되는 연결선을 광 점퍼 코드(fiber jumper cord), 일명 패치 코드(patch cord)라고 부른다. 패치 코드는 접속부 커넥터의 형태에 따라 SC, LC, FC, MU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광섬유 센서 분야에서는 주로 FC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광 어댑터의 사용을 일반적으로 수개 이내로 하는 이유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패치 코드 사이의 접속을 위해서는 Fig. 1에서와 같이 단부 사이의 물리적 접촉에 의해 필연적으로 약 5% 내외의 접속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패치 코드 사이의 접속 시 사용되는 광 어댑터의 사용은 통상 수개 이내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더 많은 수의 연결이 필요할 경우 광섬유를 전기아크로 녹여 접속하는 융착(splicing) 접속법을 많이 사용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W. A. Gambling, H. Matsumura, C. M. Ragdale and R. A. Sammut, "Measurement of radiation loss in curved single-mode fibres," Microwaves, Optics and Acoustics, IEE Journal, Vol. 2, No. 4, pp. 134-140 (1978) 

  2. W. A. Gambling and H. Matsumura, "Propagation characteristics of curved optical fibers," IEICE Transactions (1976-1990), Vol. 61, No. 3, pp. 196-201 (1978) 

  3. J. C. Baggett, T. M. Monro, K. Furusawa, V. Finazzi and D. J. Richardson, "Understanding bending losses in holey optical fibers," Optics Communications, Vol. 227, No. 4, pp. 317-335 (2003) 

  4. K. H. Lee, B. J. Ahn and D. H. Kim. "Fiber optic displacement sensor system for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1, No. 4, pp. 374-381 (2011) 

  5. H. Y. Kim and D. H. Kim, "Sensor system for multi-point monitoring using bending loss of single mode optical fib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5, No. 1, pp. 39-45 (2015) 

  6. J. H. Lee, D. H. Kim and I. K. Park, "Application of a fiber Fabry-Perot interferometer sensor for receiving SH-EMAT signa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4, No. 2, pp. 165-170 (2014) 

  7. H. Y. Kim, J. H. Lee and D. H. Kim, "Muscular condition monitoring system using fiber Bragg grating sens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Vol. 34, No. 5, pp. 362-368 (2014) 

  8. J. B. Ihn and F. K. Chang, "Pitch-catch active sensing methods in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for aircraft structures,"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Vol. 7, No. 1, pp. 5-19 (2008) 

  9. Y. J. Rao, D. J. Webb, D. A. Jackson, L. Zhang and I. Bennion, "In-fiber Bragg-grating temperature sensor system for medical applications," Journal of Lightwave Technology, Vol. 15, No. 5, pp. 779-785 (1997) 

  10. D. H. Kang, C. U. Kim and C. G. Kim, "The embedment of fiber Bragg grating sensors into filament wound pressure tanks considering multiplexing," NDT&E International, Vol. 39, pp. 109-116 (2006) 

  11. A. Grillet, D. Kinet, J. Witt, M. Schukar, K. Krebber, F. Pirotte and A. Depre, "Optical fiber sensors embedded into medical textiles for healthcare monitoring," IEEE Sensors Journal, Vol. 8, No. 7, pp. 1215-1222 (2008) 

  12. W. Chung and D. Kang, "Full-scale test of a concrete box girder using FBG sensing system," Engineering Structures, Vol. 30, No. 3, pp. 643-652 (2008) 

  13. D. Kang, D. H. Kim and S. Jang, "Design and development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smart railroad-gauge-facility using FBG sensors," Experimental Techniques, Vol. 38, No. 5, pp. 39-47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