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기능 연결성 모델링을 위한 통계적 방법
Statistical methods for modelling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29 no.6, 2016년, pp.1129 - 1145  

김성호 (한국과학기술원 수리과학과) ,  박창현 (이화여자대학교 뇌융합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 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활동에 대한 생리학적 반응을 측정해서 자료로 사용한다는 전제하에서 뇌의 기능적 연결성을 분석하는 방법들을 고찰하였다. 여기서의 전제란 상태공간 및 측정 모형을 다룬다는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서 상태공간 모형은 뇌신경역학을 표현한다고 가정한다. 뇌기능 영상자료의 분석은 무엇을 측정하였느냐에 따라서 분석방법과 그 해석이 조금씩 달라진다. 실제 fMRI자료를 고차원 자기회귀모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를 논문에 포함하였는데, 이 결과를 통해서 서로 다른 도형문제를 푸는데 서로 다른 뇌신경 역학관계가 요구된다는 것을 엿볼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 neuro-connectivity is one of the main issues in brain science in the sense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neurodynamics in the brain. In the paper, we choose fMRI as a main form of response data to brain activity due to its high resolution. We review methods for analyzing functional neu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분석이 가장 활발히 이루어지는 자료 유형 중의 하나인 fMRI에 초점을 맞춰 데이터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다른 후)반응 변화에">반응변화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영역 세분화에 의한 분석을 통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해부학적 뇌 영역의 기능적 특징을 보다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해주는 연구결과이다. 뇌기능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에서의 골상학은 누구에 의해서 정립되었는가? 서양에서의 골상학(phrenology)은 독일의 생리학자인 Gall(Franz Josef Gall, 1758–1828)에 의해서 정립되었는데 19세기에 유럽에서 활발하게 이용되었으나 오늘날은 유사과학으로 분류되어있다. Gall에 의한 골상학의 기본 전제는 사람의 생각, 행동, 감정 등을 관장하는 일이 뇌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어떤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인가? 뇌기능 연결성 문제는 뇌의 신경역학적 현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의미에서 뇌과학에서 주요 연구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자료를 뇌활동에 대한 반응 자료의 주요 형태로써 선택하였는데, 이 fMRI자료는 높은 해상도 때문에 뇌과학 연구에서 선호되는 자료 형태이다.
뇌의 국소기능을 찾는 것이 뇌과학의 중요한 주제였던 이유는? Gall에 의한 골상학의 기본 전제는 사람의 생각, 행동, 감정 등을 관장하는 일이 뇌의 서로 다른 부위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뇌의 각 부위는 고유의 기능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뇌의 국소기능을 찾는 것이 뇌과학의 중요한 주제였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bsher, J. R. and Benson, D. F. (1993). Disconnection syndromes: an overview of Geschwind's contributions. Neurology, 43, 862-867. 

  2. Astolfi, L., Cincotti, F., Mattia, D., Salinari, S., Babiloni, C., Basilisco, A., Rossini, P. M., Ding, L., Ni, Y., He, B., Marciani, M. G., and Babiloni., F. (2004). Estimation of the effective and functional human cortical connectivity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directed transfer function applied to high-resolution EEG. Magnetic Resonance Imaging, 22, 1457-1470. 

  3. Buchel, C., Friston, K. J. (1997). Modulation of connectivity in visual pathways by attention: cortical interactions evaluat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nd fMRI. Cerebral Cortex, 7, 768-778. 

  4. Bullmore, E. and Sporns, O. (2009). Complex brain networks: graph theoretical analysis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systems. Nature Reviews Neuroscience, 10, 186-198. 

  5. Churchland, P. S. and Sejnowski, T. J. (1998). Perspectives on cognitive neuroscience. Science, 242, 741-745. 

  6. Daunizeau, J., Kiebel, S. J., and Friston, K. J. (2009). Dynamic causal modelling of distributed electromagnetic responses. Neuroimage, 47, 590-601. 

  7. Deshpande, G., Sathian, K., and Hu, X. (2010). Assessing and compensating for zero-lag correlation effects in time-lagged Granger causality analysis of FMRI. IEEE Transactions on Biomedical Engineering, 57, 1446-1456. 

  8. Friston, K. J. (2005). Models of brain function in neuroimag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6, 57-87. 

  9. Friston, K. J. (2011). Functional and effective connectivity: a review. Brain Connectivity, 1, 13-36. 

  10. Friston, K. J., Bastos, A. M., Oswal, A., van Wijk, B., Richter, C., and Litvak, V. (2014). Granger causality revisited. NeuroImage, 101, 796-808. 

  11. Friston, K. J., Harrison, L., and Penny, W. (2003). Dynamic causal modelling. NeuroImage, 19, 1273-1302. 

  12. Friston, K. J., Holmes, A. P., Worsley, K. J., Poline, J. B., Frith, C. D., and Frackowiak, R. S. J. (1995). Statistical parametric maps in functional imaging: a general linear approach. Human Brain Mapping, 2, 189-210. 

  13. Genovese, C. R., Lazar, N. A., and Nichols, T. (2002). Thresholding of statistical maps in functional neuroimaging using the false discovery rate. Neuroimage, 15, 870-878. 

  14. Goebel, R., Roebroeck, A., Kim, D. S., and Formisano, E. (2003). Investigating directed cortical interactions in time-resolved fMRI data using vector autoregressive modeling and Granger causality mapp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21, 1251-1261. 

  15. Goltz, F. (1881). Transactions of the 7th International Medical Congress (MacCormac ed.), I, 218-228, JW Kolkmann, London. 

  16. Haxby, J. V., Guntupalli, J. S., Connolly, A. C., Halchenko, Y. O., Conroy, B. R., Gobbini, M. I., Hanke, M., and Ramadge, P. J. (2011). A common, high-dimensional model of the representational space in human ventral temporal cortex. Neuron, 72, 404-416. 

  17. Huettel, S. A., Song, A. W., and McCarthy, G. (2009).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Vol. 1), Sinauer Associates, Sunderland. 

  18. Kim, J., Zhu, W., Chang, L., Bentlerm P. M., and Ernst, T. (2006). Unifi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for the analysis of multisubject, multivariate functional MRI data. Human Brain Mapping, 28, 85-93. 

  19. Lee, N., Choi, H., and Kim, S.-H. (2016a). Bayes shrinkage estimation for high-dimensional VAR models with scale mixture of normal distributions for noise. Computational Statistics & Data Analysis, 101, 250-276. 

  20. Lee, N., Kim, A.-Y., Park, C.-H., and Kim, S.-H. (2016b). An Improvement on Local FDR Analysis Applied to Functional MRI Data.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267, 115-125. 

  21. Logothetis, N. K. (2008). What we can do and what we cannot do with fMRI. Nature, 453, 869-878. 

  22. Marreiros, A. C., Kiebel, S. J., and Friston, K. J. (2008). Dynamic causal modelling for fMRI: A two-state model. NeuroImage, 39, 269-278. 

  23. Marrelec, G., Kim, J., Doyon, J., and Horwitz, B. (2009). Large-scale neural model validation of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for effective connectivity investigation in functional MRI. Human Brain Mapping, 30, 941-950. 

  24. McIntosh, A. and Gonzales-Lima, F.(1994).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its application to network analysis in functional brain imaging. Human Brain Mapping, 2, 2-22. 

  25. Ni, S. and Sun, D. (2005). Bayesian estimates for vector autoregressive models. Journal of Business and Economic Statistics, 23, 105-117. 

  26. Nichols, T. and Hayasaka, S. (2003). Controlling the familywise error rate in functional neuroimaging: a comparative review. Statistical Methods in Medical Research, 12, 419-446. 

  27. Opgen-Rhein, R. and Strimmer, K. (2007). Learning causal networks from systems biology time course data: an effective model selection procedure for the vector autoregressive process. BMC Bioinform, 8, S3. 

  28. Penny, W. D., Stephan, K. E., Mechelli, A., and Friston, K. J. (2004). Modelling functional integration: a comparison of structural equation and dynamic causal and models. NeuroImage, 23, 264-274. 

  29. Schafer, J. and Strimmer, K. (2005). A shrinkage approach to large-scale covariance matrix estimation and implications for functional genomics. Statistical Applications in Genetics and Molecular Biology, 4, 32. 

  30. Smith, S. M., Miller, K. L., Salimi-Khorshidi, G., Webster, M., Beckmann, C. F., Nichols, T. E., Ramsey, J. D., and Woolrich, M. W. (2011). Network modelling methods for FMRI. NeuroImage, 54, 875-891. 

  31. Staum, M. (1995). Physiognomy and phrenology at the Paris Athenee.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56, 443-462. 

  32. Stephan, K. E. and Friston, K. J. (2011). Analyzing effective connectivity with fMRI.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Cognitive Science, 1, 446-459. 

  33. Strimmer, K. (2008). ftrtool: a versatile R package for estimating local and tail area-based false discovery rates. Bioinformatics, 24, 1461-1462. 

  34. Zhou, D., Thompson, W. K., and Siegle, G. (2009). MATLAB toolbox for functional connectivity. Neuroimage, 47, 1590-16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