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와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urban areas of Korea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5, 2016년, pp.107 - 119  

강민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  이명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association of sense of community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urban areas of Korea. Methods: We analyzed data from 'Community Capacity for Healthy Gangdong Communites' Survey' in 2007. The survey was based on self-reported ques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07년 서울시 강동구 주민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강한 강동구를 위한 지역사회 역량 조사(Lee, Kim, Cho, & Kang, 2008)’ 일부를 분석한 단면연구(cross-sectional study)이다.
  • 본 연구는 대도시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개인 수준에서의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련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참여를 동시에 측정한 단면조사연구로,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다.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련성에 관한 여러 연구들(Chavis & Wandersman, 1990; Ohmer, 2007; Yang & Kang, 2008; Xu et al.
  • 본 연구는 서울시 강동구의 5개 행정동단위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련성을 측정한 단면조 사연구이다. 활동의 특성 및 유형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공동체의식 하위개념은 다소 차이가 있으나 지역 사회 공동체의식이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지역사회 활동 참여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영향력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행정동단위 지역사회 특성을 통제한 후에도 유의하였다.
  • 다섯째,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련성을 측정하기 위해, 지역사회 활동 참여(경험) 유무와의 관련성은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지역사회 활동 참여정도와의 관련성은 다중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 같은 관련성을 측정함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지역사회 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통제하였다.
  • , 2014; Lee, 2014).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사회 공동체의식과 지역사회 참여와의 관련성을 측정해서 향후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역사회 참여 및 활동이 지역사회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 2008; Lee, Kang, Cho, and Choi, 2011). 이러한 지역사회 주민 참여 혹은 건강증진활동 강화는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지역사회 주도적인 사업의 지속가능성과 새로운 건강문제(health issues) 등에 대처하는 지역사회 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건강수준 향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Jeong, Park, et al., 2012; Macellen-Wright Anderson, Barber, et al.
지역사회의 건강수준 및 건강형평성은 무엇을 보여주는 지표 중 하나인가? 지방분권 및 지방화 시대에 지역사회의 건강수준 및 건강형평성은 그 지역의 경쟁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의 하나이다. 2000년대 초반 이후 우리나라 광역시・도 및 기초지방자치단체수준에서는 지역사회 건강증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오고 있다.
오타와헌장에 제시된 건강을 위한 지역사회 활동에 대한 내용은? , 2002; WHO, 1986). 오타와헌장에서는 건강증진을 위한 주요 활동영역을 개인 수준에서 사회정책 수준에 이르기까지 다 수준에서 제시하면서 지역사회수준에서 건강을 위한 지역사회 활동 강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함을 제시하였고(WHO, 1986), 2005년 채택된 방콕헌장에서는 급속히 전개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 속에서 세계가 직면한 새로운 건강결정요인 및 건강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사회와 시민사회의 역할 및 책임이 한층 더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WHO,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nderson, M. R. (2010). Community psychology, political efficacy, and trust. Political Psychology, 31(1), 59-84. doi:10.1111/j.1467-9221.2009.00734.x. 

  2. Chavis, D. M., & Wandersman, A. (1990). A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3. Choi, M. H., & Jeong, M. G. (2015). The effect of sense of community on citizen participation.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9(2), 273-306. 

  4. Chung, S. K., Song, D. B., & Im, H. J. (2015). The relations on sense of community and local community. Journal of Regional Studies, 23(4), 103-121. 

  5. Community Science. (n.d.) Sense of community index 2(SCI-2): Background, instrument, and scoring instructions. Retrieved from http://www.communityscience.com 

  6. Foster-Fishman, P. G., Cantillon, D., Pierce, S. J., & Van Egeren, L. A. (2007). Building an active citizenry: the role of neighborhood problems, readiness, and capacity forchange.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39, 91-106. DOI10.1007/s10464-007-9097-0. 

  7. Hawe, P., King, L., Noort, M., Jordens, C., & Lloyd, B. (2000). Indicators to Help with Capacity Building in Health Promotion: Better Health Good Health Care. North Sydney, Australia: NSW Health Department. Retrieved from http://www.health.nsw.gov.au. 

  8. Kim, J. R., Jeong, B. K., Park, K. S., & Kang, Y. S. (2012). The associations of empowerment & social capital with self-rated health in communities with poor health.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37(3), 131-137. oi:10.5393/JAMCH.2012.37.3.13. 

  9. Kim, K. H., Kim, H. J,. Seomun, J. H., Shin, H. S., & Song, J. W. (2014). A study on the effect to the community participation of the middle-aged: Focused on the sense of community and perception of liv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50, 53-81. 

  10. Kim, S. H. (2015). Adolescents' volunteering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A panel data analysis using two-way fixed effects models. Studies on Korean Youth, 26(2), 237-259. 

  11. Korea Healthy Cities Partnership (KHCP) and Siheung (2015). Proceedings of the 9th KHCP general assembly and conference. Siheung-si. ABC Happy Learning Town, Gyeonggi-do. 

  12. Labonte, R., Georgia, B. W., Chad. K., & Laverack. G.(2002). Community capacity building : A parallel track for health promotion programs. Cana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93(3), 181-182. 

  13. Laverack, G., & Labonte, R. (2000). A planning framework for community empowerment goals within health promotion. Health Policy and Planning, 15(3), 255-262. 

  14. Lee, M. S., Kim, J. R., Cho, C. H., & Kang, M. J. (2008). Report on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nd strengthening community actions for health promotion in urban areas of Korea in collaboration with local community centers & councils, Suwon, Gyeonggi-Do: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5. Lee, M. S., Kang, M. J., Choi, K. S., & Cho, M. J. (2011). Report on building community capacity and strengthening community actions for Healthy GangdongCommunities (HGC): Communitybased metabolic syndrome control. Suwon, Gyeonggi-Do: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6. Lee, Y. W. (2014). A study on the effects of a sense of local community on the patterns of the use of local media, SNS, and the interpersonal communication including the local community activities. Journalism and Communication, 18(1), 197-220. 

  17. Lovell, S. A., Kearns, R. A., & Rosenberg, M. W. (2011). Community capacity building in practice: Constructing its meaning and relevance to health promoters. Health and Social care, 19(5), 531-540. 

  18. McMillan, D., & Chavis, D.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 6-23. 

  19. Maclellan-Wright, M. C., Anderson, D., Barber, S., Smith, N., Cantin. B., Flex, R., &Raine, K. (2007). The development of measures of community capacity for community-based funding programs in Canada.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2(4), 299-306. 

  20. Ohmer, M. L. (2007). Citizen participation in neighborhood organizational and its relationship to volunteers' self- and collective efficacy and sense of community. Social Work Research, 31(2), 109-120. 

  21. Seo, J. H. (2013). A study on the participation of local autonomous activities and sense of community: Based on survey of citizens who are living in the boundary of 4 community centers in Busan Metropolitan city.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24(2), 437-459. 

  22. Statistics Korea. (2008). "2007 Social Indicators in Korea". The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 

  23. Statistics Korea. (2015). "2014 Social Indicators in Korea". The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 

  24. Statistics Korea. (2016). "2015 Social Indicators in Korea". The Statistics Korea press release. 

  25. Talo, C., Mannarini, T., & Rochira, A. (2014).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participation: A meta-analytic review. Social Indicators Research, 117, 1-28. 

  26.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8). The Ottawa Charter. The 1st Glob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Ottawa, 21 November 1986.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5). The Bangkok Charter. The 6th Global Conference on Health Promotion. Thailand, 7-11 August 2005. 

  28. Xu, Q., Perkins, D. D., & Chow, J, C. (2010). Sense of community, neighboring, and social capital as predictors of local political participation in China.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5, 259-271. 

  29. Yang, D. S., & Kang, Y. S.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local sense of community on the resident participation in Jeju. Journal of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Studies, 20(1), 7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