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RP-ISD모델을 활용한 참여적 패션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Participatory Fashion Design Education Program based on RP-ISD Model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1, 2016년, pp.73 - 89  

이지현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안지원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김지은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  고정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for fashion design that can deliver knowledge and techniques to enhance the capability of participatory fashion designers. The framework for education program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RP (Rapid Prototype) model, and the developing process of edu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중심으로 교수 학습전략 및 교육 평가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학제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참여적 패션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제시하고 그 과정을 구체화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양한 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의 기초자료 및 교육현장에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등에 실질적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소비자, 생산자 등이 참여하는 포괄적 협업 형태와 협업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패션디자인 교육에 도입하고, 협업 과정에서 확장된 디자인 전문가 역할을 제시하는 차별화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교수 학습전략 및 교육 평가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창조적 소비자의 등장과 사용자 참여를 통해 점차 확장, 변화되고 있는 패션 산업 및 디자이너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고, 전통적 교육과 달리 디자인 프로세스의 다양성을 수용할 수 있는 참여적 패션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패션 브랜드 및 디자이너/ 디자인팀의 기획력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다수의 패션산업과 달리, 소비자의 개인화 욕구, 적극적 참여 문화 확산, 상품이 아닌 창조의 과정과 결과를 경험하고자하는 소비문화 변화의 영향으로 재즐(Zazzle), 콘스트럭트(Constrvct), 오픈소스 풋웨어(Open source footwear)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개발 전과정 참여를 통해 공동 창조 (Co-creation)로 상품을 기획하는 참여적 패션디자인 브랜드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 6].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육 목표를 중심으로 가변적 협업과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포함한 참여적 디자인의 개념을 기존 패션디자인 프로세스에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체화하였다.
  • 전통적 패션디자인이 정해진 기간 내에 디자이너가 주어진 과제를 창의적으로 수행하는 개별적 문제해결 프로세스라는 측면에 중점을 두었다면, 참여적 패션디자인은 패션디자인의 과정 중에 디자이너와 소비자와의 가변적 협업의 기회를 통해,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소비자 니즈를 파악하며, 공동 창작의 프로세스를 만든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적 패션디자인을 패션디자인 교육의 과정으로 끌어들이고 패션디자이너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디자이너 뿐만 아니라 소비자, 생산자 등이 참여하는 포괄적 협업 형태와 협업을 통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패션디자인 교육에 도입하고, 협업 과정에서 확장된 디자인 전문가 역할을 제시하는 차별화된 교육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교수 학습전략 및 교육 평가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다학제적 방법론을 기반으로 참여적 패션디자인 교육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제시하고 그 과정을 구체화했다는 면에서 의미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와 전통적 디자인 프로세스의 차이점은? 참여적 디자인 프로세스는 전통적인 디자인 프로세스와 유사한 맥락을 지니고 있지만 프로세스 전 과정을 이행하고 의사를 결정하는 것이 디자이너나 개발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다양한 참여자의 의견이 반영된다는 면에서 차이가 있으며(Lee et al., 2013; Sanoff, 2007; Sanders, 2000), 많은 기업에서 소비자의 잠재적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디자인 과정에 소비자를 참여시키고 있다(Witell, Kristensson, Gustafsson & LÖfgren, 2011).
참여적 디자인의 특성은?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 주도형 사회로의 변화를 의미한다 (Lee & Seo, 1997). 참여적 디자인의 경우 전체 디자인, 제품 개발 프로세스에서 제한적 단계에만 소비자가 참여하기도 하지만 궁극적으로 전 프로세스에 소비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근본적 특성이라 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기반의 참여적 디자인은 온라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오픈 데이터의 공유와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가능하므로 디자인 초기단계 뿐만 아니라 니즈의 분석, 디자인 개발, 프로토타입의 제작 및 평가 단계 등 디자인 프로세스의 전 과정에 사용자의 참여를 확대시키는 특성이 있다 [Fig.
어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RP 접근법을 제시하였나? ISD 모형은 분석단계에서 의뢰인의 요구와 학습자의 사전지식을 분석하지만 형성평가를 할 때까지 교수설계자와 사용자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고 분석단계의 결과만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게 된다. 따라서 ISD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교수학습체제 개발 모형은 교육프로그램 의뢰인의 요구가 제대로 반영되기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dams, E. (2013). The elements and principles of design: A baselin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 Design, 32(3), 157-175. 

  2. Andrews, D. H. & Goodson, L. A. (1980). A comparative analysis of models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3(4), 2-16. 

  3. Byun, J. H., Seo, J. H., Pan, Y. H., & Lee, T. S. (2006). Participatory design prototying for developing product user interaction. Journal of Digital Design, 6(2), 25-34. 

  4. Cho, S. & Lee, J. H. (2015). Development of zero waste fashion design process guidline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65(4), 91-108. 

  5. Cole, P., Jonassen, D. H., & Wilson, B. G. (1993). Cognitive approaches to instructional design. In G. M. Piskurich (Ed.). The ASTD hanbook of instructional technology (pp. 21.1-21.22). New York, U. S.: McGraw-Hill. 

  6. Desrosier, J. (2011). Rapid prototyping reconsidered. The Journal of continuing higher education, 59(3), 135-145. 

  7. Dick, W. (1996). The Dick and Carey model will it survive the decade?.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4(3), 55-63. 

  8. Dick, W. & Carey, L. (1996).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 (4th ed.). New York, U. S.: Harper Collins. 

  9. Gordon, J. & Zemke, R. (2000). The attack on ISO. Training, 37(4), 42-45. 

  10. Jones, T. S. & Richey, R. C. (2000).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in action: a developmental stud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8(2), 63-80. 

  11. Jones, M., Li, Z., & Merrill, M. D. (1992). Rapid prototyping in automated instructional design.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40 (4), 95-100. 

  12. Kazanas, H. & Rothwell, W. (2004). Mastering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A systematic approach. San Francisco, U. S.: Pfeiffer. 

  13. Kim, J., Lee, J., Kong, M., & Lee, Y. (2010). Job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based on Rapid Prototyping Approach. The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4), 1-26. 

  14. Lee, G. & Seo, J. (1997). A study on user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n product design.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2, 301-306. 

  15. Lee, J. H., Ahn, J., Park, H., Yun, J., Ha, J., & Lee, E. (2013). Development of the frame of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based on network. Design Forum, 41, 17-28. 

  16. Lee, J. H., Lee, E., Ahn, J., Kim, J., Ryu, L., Oh, N., & Zhangjian. (2014). Comparative job analysis of fashion designers between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and general process. Design Forum, 43, 151-164. 

  17. Lee, Y. & Choy, H. (2014). Developing design education program concerning sustainable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2), 50-69. 

  18. Lewis, W. P. & Bonollo, E. (2002). An analysis of professional skills in design: implications for education and research. Design Studies, 23(4), 385-406. 

  19. Lim, C., Kim, M., & Kim, Y. (2005). A developmental study on the paper-based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for Web-based Instruc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1(1), 3-28. 

  20. Lim, C. & Yeon, E. (2006). An empirical study on user-centered rapid prototyping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corporate training program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8(2), 27-50. 

  21. Muller, M. J. & Kuhn, S. (1993). Special issue: participatory design. Communication of the ACM, 36(6), 24-28. 

  22. Piskurich, G. M. (2000). Rapid instructional design: learning ID fast and right. San Francisco U.S.: Jossey-Bass Pfeiffer. 

  23. Rieber, L. (2007). Rapid prototyping seminar. Retrieved from http://it.coe.uga.edu/studio/seminars/rapid.html 

  24. Rossett, A. & Zemke, R. (2002). A hard look at ISD. Training, 39(2), 27-34. 

  25. Sanders, E. (2000). Generative tools for co-designing. Ball & Woodcock (Eds.). Collaborative Design, London, U. K.: Springer-Verlag. 

  26. Sanoff, H. (2007). Special issue on participatory design. Design Studies, 28(3), 213-215. 

  27. Tessmer, M. (1994). Formative evaluation alternatives. Performance Improvement Quarterly, 7(1), 3-18. 

  28. Tripp, S. & Bichelmeyer, B. (1990). Rapid prototyping: an alternative ID strategy.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 Development, 38(1), 31-44. 

  29. Witell, L., Kristensson, P., Gustafsson, A., & LOFgren, M. (2011). Idea generation: customer co-creation versus traditional market research techniques. Journal of Service Management, 22(2), 140-159. 

  30. Yang, M., You, M., & Chen, F. (2005). Competencies and qualifications for industrial design jobs: implications for design practice, education, and student career guidance. Design Studies, 26(2), 155-1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