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00년대-1940년대 조리서에 등장한 화채류의 종류 및 조리법 특성
Culinary Characteristics of Hwachae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in 1600-1940s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2 no.6, 2016년, pp.800 - 810  

양지혜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송경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윤희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영미 (명지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haracterize the recipes of Hwachae in Korean cookbooks published from the 1600's to 1940's. Methods: We conducted a content analysis of thirteen old cookbooks (Eumsikdimibang, Jubangmun, Jeungbosallimgyeongje, Kyugonyoram, Imwonsibyukji, Gyuhapchongseo, Sieuijeonseo, B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동안 오미자즙, 보리수단 등 특정 화채류에 대한 연구는 부분적으로 이루어졌으나 현대인에게도 익숙한 음청류인 화채류를 통합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통 음청류인 화채류의 종류와 조리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한국 조리서 총 13권에 수록된 화채류의 조리법을 수집한 후, 화채류의 유형별로 사용된 재료의 종류와 조리법 특징을 분석하고 조리서별, 시대별 차이점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전통 화채류의 메뉴개발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전통 음청류인 화채류의 종류와 조리법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600년대부터 1940년대까지의 한국 조리서 총 13권에 수록된 화채류의 조리법을 수집한 후, 화채류의 유형별로 사용된 재료의 종류와 조리법 특징을 분석하고 조리서별, 시대별 차이점과 변화 양상을 고찰하여 전통 화채류의 메뉴개발에 활용 가능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 Bog bilberry can be used instead of schizandra.
  • 1) Sugar can be used instead of honey.
  • 2) Case of ‘Changmyeon in Jeungbosallimgyeongje’, bog bilberry can be used instead of schizandra.
  • 3) Honey can be used instead of sugar.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시대에서 차문화가 쇠퇴하고 음청류가 발달한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음청류는 식생활이 체계화되어 주식, 부식, 후식의 형태로 나누어짐에 따라 후식류로 발달하게 되었다 (Lee CH & Kim SY 1991). 신라와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번성과 함께 차(茶)문화가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와서는 억불정책에 따라 불교의 쇠퇴와 함께 차문화가 쇠퇴되었고 차 대신에 화채, 밀수, 식혜, 수정과 등의 음청류가 발달하게 되었다(Lee SW 1985, Yoon SS 1987). 현대에 이르러서는 우리 식생활 중 음료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면서 음료시장이 확대되고 다양한 음료개발이 이루어져왔다.
우리나라의 음청류는 어떤 형태로 발달하게 되었는가? 전통 음청류는 종류, 형태, 조리법이 매우 다양하며(Shin MJ & Choi YJ 1998), 일상식, 절식, 제례, 연회식 등 우리 식생활에 깊이 뿌리내린 한국 고유의 음식이다(Lee SW 1981, Lee SW 1984, Kang IH 1989). 우리나라의 음청류는 식생활이 체계화되어 주식, 부식, 후식의 형태로 나누어짐에 따라 후식류로 발달하게 되었다 (Lee CH & Kim SY 1991). 신라와 고려시대에는 불교의 번성과 함께 차(茶)문화가 발달하였는데, 조선시대에 와서는 억불정책에 따라 불교의 쇠퇴와 함께 차문화가 쇠퇴되었고 차 대신에 화채, 밀수, 식혜, 수정과 등의 음청류가 발달하게 되었다(Lee SW 1985, Yoon SS 1987).
화채류의 다섯 가지 유형채은 무엇인가? 따라서 ‘-화채’, ‘-면(음청류에 해당하는 경우만 포함)’, ‘-수단’, ‘-숙’, ‘-선’, ‘원소병’, ‘향설고’의 명칭이 붙은 음료의 조리법을 선별하여 총 99개의 화채류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조리서에 수록된 화채류의 종류 및 명칭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화채류를 재료와 조리법의 특징에따라 국수형화채(길게 면처럼 건지를 만들어 넣은 화채), 수단형화채(작고 동그란 알갱이 형태의 건지를 넣은 화채), 과일화채(과일을 건지로 넣은 화채), 꽃화채(꽃잎이나 얇게 썬 채소를 건지로 넣은 화채), 기타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후 사용된 명칭을 조리서별로 분석하고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때 규곤요람(閨壼要覽)의 ‘봄화채’의 경우 국수형화채와 꽃화채의 성격을 모두 띠고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꽃화채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ang Sinyeong (方信榮). 1937. Chosunyorijebub (朝鮮料理製法). 8th ed. Hanseong, Korea. pp 43-367. 

  2. Bingheogak Yi (憑虛閣 李氏). Buinpilji (婦人必知). In: Lee HJ editor. 2010. Gyomoonsa, Paju, Korea. pp 155-191. 

  3. Bingheogak Yi (憑虛閣 李氏). Gyuhapchongseo (閨閤叢書). In: Jung YW editor. 2008. Pochinchai, Korea. pp 42-125. 

  4. Blau LW. 1950. Cherry diet control for gout and arthritis. Tex Rep Biol Med 8(3):309-311. 

  5. Choi NS. 2015. Literature review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 recipes -Focus on Sujeonggwa. J Korean Soc Food Cult 30(1):8-19. 

  6. Doosan Corporation. 2016. Suk (熟). Available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913569. Accessed April 28, 2016. 

  7. Han ES, Rho SN. 2008. The optimal mixing ratio for Omi-galsu concentrate production.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1): 29-40. 

  8. Han ES. 2013. Standardization of the recipe for the Korean traditional drink "Omigalsu". J East Asian Soc Diet Life 23(3):320-331. 

  9. Han U. 1996. Scientific review on the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J Inje Food Sci Forum 4:31-67. 

  10. Hankyoreh News. 2016. The cruel history of Jeju mandarin. Available from: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24517.html. Accessed October 4, 2016. 

  11. Jeon Sunui (全循義). Sangayorok (山家要錄). In: Han BR, Ha YH, Seo SY editors. 2007.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p 14-117. 

  12. Ji MS, Kim JG. 2008. Analytical study on the Jehotang in literature in terms of cooking scie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8(4):446-454. 

  13. Jo Jaho (趙慈鎬). Chosunyoribub (조선요리법). In: Lee SW editor. 1992. Suhaksa, Korea. pp 2279-2308. 

  14. Jung JH, Kim MS, Kim EH, Byeon PH, Yoo JH, Lee BS, Jung OS, Choi DJ, Hwang JH. 2003. Premium Korean cookies and beverages. Hyungseul Publishing Networks, Korea. p 167. 

  15. Jung JK, Song KM, Yi SH, Kim HJ, Han YS, Lee MK. 2015. Fermentation conditions for high acceptability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beverage Kye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1):137-144. 

  16. Kang IH. 1989. Korea dietary history. Samyung, Busan, Korea. pp 160-189. 

  17. Ko YA, Yoo SM, Hwang Y, Park BR, Kim JS. 2012. Preference of Borisudan according to the numbers of starch coating and Omija-mul. presented at 2012 Autumn Conference and Symposium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Naju, Korea. pp 81-81. 

  18. Kyunghyang News. 2015. Sociology of the sweet.cool.bitter shaved ice. Available from: http://biz.khan.co.kr/khan_art_view.html?artid201507102149245&code920401#replyArea. Accessed October 4, 2016. 

  19. Latti AK, Jaakola L, Riihinen KR, Kainulainen PS. 2009. Anthocyanin and flavonol variation in bog bilberries (Vaccinium uliginosum L.) in Finland. J Agric Food Chem 58(1):427-433. 

  20. Lee CH, Kim SY. 1991.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 I. Types and processing methods. J Korean Soc Diet Cult 6(1):43-54. 

  21. Lee GB. 2003. Korea food. Gwangmoonkag, Paju, Korea. p 211. 

  22. Lee HJ, Choi EY, Chang PS, Lee YH. 2004. Classification and category deter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beverages (I). Food Sci Ind 37(4):42-51. 

  23. Lee HJ, Choi EY, Jang DJ. 2005a. Classification and category determination of Korean traditional fruit beverages. Food Sci Ind 38(3):88-98. 

  24. Lee HJ, Oh JB, Bae SH. 2005b. Historical review and established standard recipes of the Korean traditional fruit tea. Food Sci Ind 38(4):88-104. 

  25. Lee JS. 1993. Literature review on the Korean traditional soft drinks base on the Omija broth. J East Asian Soc Diet Life 3(1):19-25. 

  26. Lee KJ. 2000. An analytical study on Ganpyun Chosun Yori-Jebup-Fermentation foods, rice cake, Korean desert and bevera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0(6):465-479. 

  27. Lee Sukman (李奭萬). Ganpyeonchosunyorijebub (簡便朝鮮料理製法). In: Lee SW editor. 1992. Suhaksa, Korea. pp 1949-1962. 

  28. Lee SW. 1981. Korean cuisine dictionary. Hyangmoon, Seoul, Korea. pp 392-398. 

  29. Lee SW. 1984. Korea food culture history. Gyomoonsa, Paju, Korea. pp 238-267. 

  30. Lee SW. 1985. Korea cook culture history. Gyomoonsa, Paju, Korea. pp 15-63. 

  31. Lee Yonggi (李用基). Chosunmusangsinsikyorijebub (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In: Traditional Food Research Society editor. 2001.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Seoul, Korea. pp 170-335. 

  32. Lim GY, Jang SY, Kim JS, Jung YJ. 2010. Rediscovery of a method for preparation of traditional grape tea. Korean J Food Preserv 17(1):66-71. 

  33. Mrs. Jeong Andong Jang Clan (貞夫人 安東 張氏). Eumsikdimibang (飮食知味方). In: Yeongyang-gun editor. 2007. Yeongyang-gun, Gyeongbuk, Korea. pp 60-237. 

  34. Seo JS. 2005. Study of expectation and satisfaction for the quality of marketing traditional drink. Master's thesis. Gyeongju University, Gyeongju, Korea. pp 7-8. 

  35. Seo Yugu (徐有?). Imwonsibyukji (林園十六志). In: Lee HJ, Jo SH, Jung NW, Cha KH editors. 2007. Gyomoon, Gyeonggi, Korea. pp 243-362. 

  36. Shin MJ, Choi YJ. 1998. Literature review on the pharmaceutical effect of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 in Limwonsibyukgi. J East Asian Soc Diet Life 8(2):81-92. 

  37. Sohn Junggyu (孫貞圭). 1948. Chosunyori (조선요리). Samjungdang, Korea. pp 100-203. 

  38. Sohn KH. 1996. Historic review on the Korea traditional non-alcoholic beverages. J Inje Food Sci Forum 4:7-23. 

  39. Song GJ, Han SH, Ko SW, Moon YI, Yoon SH, Hyeon JY. 2013. History of Korea horticulture. Korean Society for Horticultural Science, Jeonlla, Korea. p 186. 

  40. Yoon SS. 1987. Study of Korea food history. Shingwang, Seoul, Korea. p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