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시대 괘불탱 및 괘불궤 수종에 대한 연구
Study Regarding Species Identification for Hanging Paintings and Hanging Painting Storage Boxes in Joseon Dynasty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2 no.4, 2016년, pp.535 - 548  

김순관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최재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  정아름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재보존과학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괘불탱을 중심으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상은 보은 법주사, 공주 마곡사, 예산 수덕사, 부안 개암사, 영천 수도사, 상주 북장사, 곡성 도림사, 양산 통도사, 예산 대련사 등 총 10건을 선정하였으며 시료 81점에 대해서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괘불축 및 괘불궤에 사용된 수종은 소나무류 51점, 피나무속 8점, 노간주나무속 6점, 잣나무류 5점, 솔송나무속 4점, 미송속 3점, 망개나무속 2점, 문배나무속 1점, 대나무아과 1점으로 확인되었다. 솔송나무속과 미송속은 외래수종이며 보수 및 수리 과정에서 사용된 것으로 사료된다. 전체적으로 소나무류를 이용하여 괘불탱과 괘불궤를 제작하였고 잣나무류도 사용되었다. 불교문화에서 상징성을 갖는 피나무속도 괘불궤를 제작하는데 사용된 것으로 사료되며, 망개나무속과 노간주나무속과 같이 목조각에서는 잘 사용되지 않는 수종도 식별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괘불탱 및 괘불궤에 진정성 있는 보존 연구에 활용될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nging paintings are used for special ceremonies in Buddhist temple. They are stored in special storage box called "Gwaebulgwae" which means storage box for a hanging painting. Studies regarding pigments, background fibers and textiles of hanging paintings are carried out with many data in the fiel...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괘불탱은 무엇인가?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은 무엇에 보관하는가? 괘불탱은 불교에서 특별한 야외 법회 때 사용하는 대형 족자형 불화이다. 보관 시 괘불궤라는 보관상자에 보관한다. 괘불탱의 바탕재나 안료 등에 대한 연구 사례는 많으나 괘불탱의 괘불축과 괘불궤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었다.
대부분의 현존하는 괘불탱은 무엇인가? 괘불축은 상축과 하축으로 구분되며 목재를 이용하여 제작한다. 현존하는 괘불탱은 조선시대에 영산대회를 시행하면서 사용한 거대한 크기의 불화들이 대부분이다(Lee, 2003a). 이러한 괘불에는 화기(畵記)가 남아있는데 불화의 명칭, 조성시기, 봉안장소, 연화질, 시주질, 산중질 등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괘불탱 자체의 예술적 가치뿐만 아니라 학술적 가치 또한 크게 지니고 있다(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2; 2000;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D., 2008, The Nara document on authenticity(1994).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17(1), 127-1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08, Manufacturing of storage box for hanging painting of Beopjusa temple. (in Korean) 

  3.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2, Routine investigation of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for Magoksa temple. (in Korean) 

  4.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4, Conservation treatment for hanging painting of Magoksa temple. (in Korean) 

  5.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2016, Conservation treatment for hanging painting of Magoksa temple. (in Korean) 

  6.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5a, Research report of large buddhist painting : Gwaebultaeng 1, Magoksa Seokgamonibul Gwaebultang, 30-36. (in Korean) 

  7.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5b, Research report of large buddhist painting : Gwaebultaeng 4, Bukjangsa Yeongsanhoe Gwaebultaeng, 18-25. (in Korean) 

  8.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5c, Research report of large buddhist painting : Gwaebultaeng 2, Tongdosa Seokgayeorae Gwaebultang, 18-27. (in Korean) 

  9. Cultural Heritage Adminstration and Research Institute of Sungbo Cultural Heritage, 2015d, Research report of large buddhist painting : Gwaebultaeng 3, Tongdosa Gwaebultang, 16-27. (in Korean) 

  10. Kang, M.S., 2002, Research report of hanging painting of Sudeoksa temple. (in Korean) 

  11. Kim, S.C., Choi, J.W. and Lee, J.E., 2016,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 of modern cultural heritage rickshaw.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1), 34-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C.B., 2003b, Illustrated plant book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13. Lee, P.W., 1997a,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Korean wood I,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14. Lee, P.W., 1997b,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Korean wood II, Publishing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in Korean) 

  15. Lee, T.N. and Do, C.H., 1998, The Venice charter International charter for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monuments and site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7(2), 86-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Lee, W.Y., 1997c, Structure of timber organization of Korean wood. Hyangmunsa, Seoul (in Korean) 

  17. Lee, Y.S., 2003a, Study on Gwaebultaeng during the latter period of Joseon dynasty.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1-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2,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 (in Korean) 

  19.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0,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I. (in Korean) 

  2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4, Investigation report for hanging paintings of Korea III. (in Korean) 

  21. Park, S.J., 2006a, Timber organization and identification. Hyangmunsa. (in Korean) 

  22. Park, W.K., 2006b, Analysis of species and tree-ring dating of coffin woods excavated at Hopyungri, Namyangju, Korea.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8, 105-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