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셀프 피트니스 의류 개발을 위한 근전도 센싱 위치 연구
A Study of Sensing Locations for Self-fitness Clothing base on EMG Measurement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18 no.6, 2016년, pp.755 - 765  

조하경 ((주)블랙야크 상품기획부) ,  조상우 (호서대학교 스포츠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 in monitoring health and sports is growing because of the emphasis on wellness, which is accelerating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mart clothing for biosignal monitoring. In addition to exerciseeffect monitoring clothing that tracks heart rate and respiration, recent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근전도 측정 부위의 한정은 다양한 인체 적용을 위한 의류 개발에 한계를 가져오게 되어 동작 시 근전도 측정의 유의한 값을 갖는 범위를 도출하여 다양한 인체에 적용 가능한 센서 부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근전도 신호를 기반으로 근 활동량 측정용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하여 근육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고 실험 동작을 진행 근육별 근전도 신호(EMG amplitude value), 잡음, SNR 및 SNR(dB)를 분석하여, 의류에서의 근전도 신호 측정 가능 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근 활동량 측정용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근전도 측정 범위를 탐색하고 이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 연구로 의료용 전극을 사용하였으나, 추후 텍스타일 전극에 기반한 근전도 측정의 효용성을 측정하는 연구가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 그러나, 다양한 인체 및 체형으로 인해 근전도 기반의 생체 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의류 개발을 위해서는 범용적으로 센싱이 가능한 범위를 파악하여야 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셀프 피트니스 스마트 의류 개발을 위하여 의복 내 근전도 측정 범위를 도출하기 위하여 동작별 근전도 신호의 효용성을 갖는 범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표면 근전도(sEMG) 신호에 기반하여 근육의 활동량을 측정하는 셀프 피트니스 의류를 개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은 근전도 측정, 분석방법 및 측정 위치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고찰하고, 실험설계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이 주로 측정하는 항목은 무엇인가? , 2007). 생체 신호 측정 기술은 심박, 호흡, 체온 중심의 기술로 개발되고 있으며(Lee & Jeong, 2016), 사용자의 생체 반응을 측정, 분석하여 자신의 건강 상태 및 운동량을 모니터링하는 신체적 상호작용 스마트 의류 제품으로 연구·개발되고 있다(Suh & Roh, 2015).
센서 및 기기가 스마트 의류에 적용되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2010). 스마트 의류에 적용되는 센서 및 기기는 착용 편리성, 비침습성, 심플한 디자인, 설치 및 적용의 간편성, 기기착용 및 배치의 범용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공학적 측면에서의 무선통신의 정확성, 신호 수집, 전송 효율 및 전력 관리의 최적화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의류학적 측면에서는 인체 밀착성을 위한 소재연구 및 동작 노이즈를 최소화하기 위한 의류 디자인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Cho & Cho, 2015; Park, 2013; Song et al., 2010).
표면 근전도 센서가 양질의 신호를 얻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로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는 심박, 호흡, 체온 등의 생체 신호 측정과 더불어 피트니스 및 근 발란스 측정을 위한 근전도 측정 의류 시스템에 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Suh & Roh, 2015). 근육의 활성화 측정을 위해서는 비침습적 용이성으로 인하여 재활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표면 근전도(sEMG: surface electromyography) 측정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피부의 높은 임피던스, 동작으로 인한 동적잡음(motion artifact), 실시간 처리에 의한 신호 왜곡 등으로 인하여 근전도 측정에 어려움을 겪는다 (Kundu et al.,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thos gear. (n.d.). Athos. Retrieved November 15, 2016, from http://www.liveathos.com 

  2. Catherwood, P. A., Donnelly, N., Anderson, J., & McLaughlin, J. (2010). ECG motion artefact reduction improvements of a chest-based wireless patient monitoring system. In Computing in Cardiology (pp. 557-560). IEEE. 

  3. Cho, G. S., Yang, Y. J., & Sung, M. S. (2008). Development and its present status of bio-monitoring smart clothing and e-texti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1), 1-10. 

  4. Cho, H. K., & Cho, S. W. (2015). A study of sensing locations for ECG monitoring clothing based on the skin change rate.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5), 844-853. doi:10.5805/SFTI.2015.17.5.844 

  5. Guerreiro, T. J. V., Jorge, J. A. P., Jo, T., Armando, J., & Jorge, P. (2006). EMG as a daily wearable interface. In GRAPP (pp. 216-223). 

  6. Han, H. Y., & Kim, J. (2010). Prediction of the upper limb motion based on a geometrical muscle changes for physical human machine interaction.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s, 16(10), 927-932. doi:10.5302/J.ICROS.2010.16.10.927 

  7. Hermens, H. J., Freriks, B., Disselhorst-Klug, C., & Rau, G. (2000). Development of recommendations for SEMG sensors and sensor placement procedures.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10(5), 361-74. doi:10.1016/S1050-6411(00)00027-4 

  8. Hong, H. S., Park, S., & Hong, S. D. (2010). The technology forecasting for the biometrics systems by using delphi method.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1(9), 3204-3209. doi:10.5762/KAIS.2010.11.9.3204 

  9. Huang, H. Y., Lin, J. J., Guo, Y. L., Wang, T. J., & Chen, Y. J. (2013). EMG biogeedback effectiveness to alter muscle activity pattern and scapular kinematics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3(1), 267-274. doi:10.1016/j.jelekin.2012.09.007 

  10. Hwang, Y. M., & Lee, J. R.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mart foundation with heating devic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31-239. doi:10.5805/SFTI.2013.15.2.231 

  11. Kang, H. J., Lee, B. K., & Kim, K. H. (2014). Effects of functional elastic stocking application on repetition and EMG response during squats.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6(3), 49-58. doi:10.15758/jkak.2014.16.3.49 

  12. Kim, K. C., Kang, M. S., Ji, C. U., Ha, J. W., Sun, D. I., Xue, G., & Shin, K. S. (2016). A research for interface based on EMG pattern combinations of commercial gesture controller.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9(1), 31-36. 

  13. Koo, H. R., Lee Y. J., Gi, S. O., Lee, S. P., Kim, K. N., Kang, S. J., Lee, J. W., & Lee, J. H. (2015). Effect of module design for a garment-type heart activity monitoring wearable system based on non-contact type sens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3), 369-378. doi:10.5850/JKSCT.2015.39.3.369 

  14. Kundu, A. S., Mazumder, O., & Bhaumik, S. (2011). Design of wearable, low power, single supply surface EMG extractor unit for wireless monitoring. 2011 International Conference on Nanotechnology and Biosensors IPCBEE, 25, pp. 69-74. Singapore: IACSIT Press. 

  15. Lee, J. H., & Jeong, K. S. (2016). A study on th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development model of U-health smart clothing - Focused on the ECG measuring smart clothing for people in 40s to 60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6(2), 49-63. 

  16. Lee, J. W., Kim, D. H., Ryoo, H. Y., & Shin, B. S. (2016). Sustainable wearables: Wearable technology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Sustainability, 8(5), 466. doi:10.3390/su8050466 

  17. Lee, H. K. (2014). Compare on the iEMG and MDF according to performance of the 3 different ways during back squat exercising. Journal of Physical Growth and Motor Development, 22(4), 349-354. 

  18. Mbody. (n.d.). Myontec. Retrieved November 15, 2016, from http://www.myontec.com/products/mbody/ 

  19. Min, B. C., Kim, J. H., Jeon, K. J., Lee, D. H., & Kim, J. S. (2005). EMG Fatigue comparative study of stair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10, 60-63. 

  20. Min, S. D., Yun, Y. H., Lee, C. K., Shin, H. S., Cho, H. K., Hwang, S. C., & Lee, M. H. (2010). Respira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textile capacitive pressure sensor.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P, 59(1), 58-63. 

  21. Peak, K. J., & Lee, J. R. (2014). Draft proposal of smart outdoor wear upon the outdoor wear functionality demand.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6(3), 446-455. doi:10.5805/SFTI.2014.16.3.446 

  22. Park, J. M. (2013). Technological issues for body information monitoring. The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Society, 38(2), 105-114. doi:10.7840/kics.2013.38B.2.105 

  23. Sornmo, L., & Laguna, P. (2006). Electrocardiogram (ECG) signal processing. Wiley Encyclopedia of Biomedical Engineering. doi:10.1002/9780471740360.ebs1482 

  24. Song, H. Y., Lee, J. H., Kang, D., Cho, H., Cho, H. S., Lee, J. W., & Lee, Y. J. (2010). Textile electrodes of jacquard woven fabrics for biosignal measurement. The Journal of the Textile Institute, 101(8), 758-770. 

  25. Suh, S. E., & Roh, J. S. (2015). A study on smart fashion product development trend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3(6), 1097-1115. doi:10.7741/rjcc.2015.23.6.1097 

  26. Yu, H. J., Lee, H. C., & Choi, Y. J. (2007). Biomedical EMG sensor development and its application. The 2st Korea Robotics Society Conference on Advanced Intelligent Robots, pp. 201-206. 

  27. Won, N. S., & Yun, J. H. (2015). Smart clothes and efficient method supporting health using EMG sensors. Conference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neers, 12, pp. 999-10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