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이용한 고함량 유용 약물 담지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
Preparation of Valuable Compounds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with High Payload Using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Nanoparticles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7 no.1, 2016년, pp.26 - 34  

김나혜 (강원대학교 기능소재공학과) ,  김주영 (강원대학교 기능소재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비닐기를 가지고 있는 반응성 양친성 고분자 전구체(Reactive Amphiphilic Reactive Polymer Precursor) (RARP)를 이용하여 제조된 소수성 세그먼트들이 가교된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CCAP) 나노입자와 나노침전법을 사용하여서 소수성 유용물질을 고함량으로 담지할 수 있는 새로운 공정을 제안하였다. 극성이 각기 다른 유기용매(에탄올,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들과 소수성 세그먼트 분자량이 다른 CCAP를 사용하여서, 모델 유용 약물인 ${\alpha}$-tocopherol의 담지 효율, 담지량 및 약물 담지 나노입자의 크기와 안정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소수성 세그먼트 분자량이 큰 CCAP와 소수성 용매인 THF를 용매로 사용한 경우에 가장 높은 유용 약물 담지량, 담지 효율을 나타내는 안정한 나노입자가 형성이 되었다. 즉 CCAP 나노입자들의 물리적 화학적으로 견고한 나노 구조로 인해서 33 wt%의 높은 담지량과 97% 이상의 담지 효율을 가지면서 물속에서 70 nm의 크기의 안정한 유용 약물 담지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ore-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CCAP) nanoparticles prepared using a reactive amphiphilic polymer precursor (RARP) were used for preparing some valuable compounds encapsulated polymer nanoparticles with high payload through nanoprecipitation process. Various solvents (acetone,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합성 공정을 통해서 다양한 친수성/소수성 세그먼트 비율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양친성 고분자 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서 상대적으로 높은 담지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극한 환경이나 외부 환경 변화에서도 나노 회합구조가 파괴되지 않는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서,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소수성 코아 부분이 화학적으로 가교된 새로운 형태의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PEO) 기반 친수성 세그먼트와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Polypropylene oxide) (PPO) 기반 소수성 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으면서 반응성 비닐기를 가지고 있는 반응성 양친성 고분자 전구체(Reactive Amphiphilic Reactive Polymer Precursor, 이하 RARP로 명명)를 합성하고, 이를 전형적인 나노침전법을 통하여서 수분산이 가능하면서 고함량의 소수성 유용 약물의 담지가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Core Crosslinked Amphiphilic Polymer, 이하 CCAP로 명명)를 제조하는 공정을 제안하였으며, 소수성 유용 약물인 α-tocopherol의 담지효율 및 나노입자 제조시 제조 조건의 변화에 따른 나노입자들의 크기, 담지량 및 방출거동 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간단한 합성 공정을 통해서 다양한 친수성/소수성 세그먼트 비율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형태의 양친성 고분자 전구체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하여서 상대적으로 높은 담지효율을 나타낼 수 있는 새로운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 제조를 제안하였다. 또한 극한 환경이나 외부 환경 변화에서도 나노 회합구조가 파괴되지 않는 나노입자를 제조하기 위해서,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의 소수성 코아 부분이 화학적으로 가교된 새로운 형태의 코아 가교 양친성 고분자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용 약물의 전달체로서 나노입자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유용 약물(Valuable Compounds)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유용 약물을 전달체에 담아 생리활성(Bioactivity)과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나노 크기의 전달체(Nano-carrier)를 제조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나노입자(Nanoparticles)는 마이크로 입자(Microparticles)보다 작은 크기와 큰 표면적을 가지며, 생체 장벽에 대한 우수한 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선택적 약물 전달을 유용하게 할 뿐만 아니라 담지된 약물의 보호와 방출 조절 향상으로 보다 지속적으로 약물의 효과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2].
나노 침전법은 무엇인가? Fessi의 연구팀(Fessi et al., 1989, 1992)에 의해 최초로 개발된 나노 침전법은 다양한 유기 용매에 고분자와 유용 약물을 용해시킨 후 이를 비용매인 물에 적하⋅분산시켜서 나노입자를 얻는 방법으로, 두 용매는 혼화될 수 있어야 하지만 고분자와 유용 약물은 비용매에서 용해되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1]. 유화/용매 확산법과는 대조적으로, 독성 효과를 일으키거나 표면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첨가제 및 높은 온도, 장시간의 초음파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모든 절차가 단일 공정으로 수행되며, 좁은 단분산 분포를 갖는 나노입자의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캡슐화는 유용 약물의 어떤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인가? 천연 추출물(Natural extracts), 약물, 비타민, 항산화 물질(Anti-oxidant) 등과 같은 유용 약물은 일반적으로 빛, 산소, 수분, 온도 등의 외부요인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변질되거나 쉽게 파괴될 뿐만 아니라 가공 및 유통과정 동안 안정성이 저하되어 활성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유용 약물은 직접 섭취 시 낮은 투과성(Permeability)과 위장(Gastrointestinal track) 내의 산성조건, 효소(Enzyme)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안정성이 감소하게 되어 이들이 보유한 생리활성에 제한을 주게 된다[3-4]. 이러한 유용 약물의 보호와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캡슐화(Encapsulation)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5-6], 캡슐화를 통하여 화학적, 생물학적 반응을 최소화하는 물리적 장벽을 제공해 줌으로써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고 섭취 후 생체 내 원하는 곳에서 흡수, 이용될 때까지 활성이 유지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 P. Reis, R. J. Neufeld, A. J. Ribeiro, and F. Veiga, Nanoencapsulation I. Methods for preparation of drug-loaded polymeric nanoparticles, Nanomedicine: Nanotechnology, Biology and Medicine, 2, 8-21 (2006). 

  2. L. N. Bell, Stability testing of nutraceuticals and functional foods, In: Handbook of nutraceuticls and functional foods, Wildman REC (ed), CRC Press, New York, 501 (2001). 

  3. R. C. Metha, B. C. Thanoo, and P. P. Deluca, Peptide containing microspheres from low molecular weight and hydrophilic poly(d,l-lactide-co-glycolide), J. Controlled. Release, 41, 249-257 (1996). 

  4. R. Brigelius-Flohe and M. G. Traber, Vitamin E: function and metabolism, FASEB Journal, 13, 1145-1155 (1999). 

  5. S. H. Yoo, Y. B. Song, P. S. Chang, and H. G. Lee, Microencapsulation of $\alpha$ -tocopherol using sodium alginate and its controlled release properties, Int. J. Biol. Macromol., 38, 25-30 (2006). 

  6. K. A. Jhonson, Preparation of peptide and protein powders for inhalation, Adv. Drug Deliv. Rev., 26, 3-15 (1997). 

  7. S. J. Park, Y. J. Yang, J. R. Lee, and H. B. Lee,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degradable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Microcapsules Containing Erythromycin by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Polymer(Korea), 26, 326-334 (2002). 

  8. B. O'Donnell and J. W. McGinity, Preparation of microspheres by the 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Drug Deliv. Rev., 28, 25-42 (1997). 

  9. S. Takada, Y. Yamagata, M. Misaki, K. Taira, and T. Kurokawa, Sustained release of human growth hormone from microcapsules prepared by a solvent evaporation technique, J. Controlled Release, 88, 229-242 (2003). 

  10. U. Bilati, E. Allemann, and E. Doelker, Development of a nanoprecipitation method intended for the entrapment of hydrophilic drugs into nanoparticles, Eur. J. Pharm. Sci., 24, 67-75 (2005). 

  11. D. Q. Guerrero, E. Allemann, H. Fessi, and E. Doelker, Preparation techniques and mechanisms of formation of biodegradable nanoparticles from performed polymers, Drug Dev. Ind. Pharm., 24, 1113-1128 (1998). 

  12. H. S. Yoo, H. K. Choi, and T. G. Park, Protein-fatty acid complex for enhanced loading and stability within biodegradable nanoparticles, J. Pharm. Sci., 90, 194-201 (2001). 

  13. U. Edlund and A.-C. Albertsson, Degradable polymer microspheres for controlled drug delivery, Albertsson, A.-C.(Ed), 157, 67, Degradable Alphatic polyesters, Advances in Polymer Science, Springer-Verlag, Berlin (2002). 

  14. N. B. Viswanathan, S. S. Patil, J. K. Pandit, A. K. Lele, M. G. Kulkarni, and R. A. J. Mashelkar, Morphological changes is degrading PLGA and PLA microspheres: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controlled release system, J. Microencapsul., 18, 783-800 (2001). 

  15. J. S. Chawla and M. M. Amiji, Int., Biodegradable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nanoparticles for tumor-targeted delivery of tamoxifen, J. Pharm., 249, 127-138 (2002). 

  16. C. R. Miller, R. Vogel, P. P. T. Surawski, S. R. Corrie, A. Ruhmann, and M. Trau, Biomolecular screening with novel organosilica microspheres, Chem. Commun., 14, 4783-4785 (2005). 

  17. Y. Yang, C. Hua, and C. M. Dong, Synthesis, Self-Assembly, and In Vitro Doxorubicin Release Behavior of Dendron-like/Linear/ Dendron-like Poly( $\varepsilon$ -caprolactone)-b-Poly(ethylene glycol)-b-Poly ( $\varepsilon$ -caprolactone) Triblock Copolymers, Biomacromolecules, 10, 2310-2318 (2009). 

  18. E. Chiellini, E. E. Chiellini, F. Chiellini, and R. Solaro, Targeted Administration of Proteic Drugs. I. Preparation of Polymeric Nanoparticles, J. Bioact. Compat. Polym., 16, 441-465 (2001). 

  19. A. Rosler, G. W. M. Vandermeulen, and H. A. Klok, Advanced drug delivery devices via self-assembly of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dv. Drug Delivery Rev., 53, 95-108 (2001). 

  20. K. Letchford and H. Burt, Eur., A review of the formation and classification of amphiphilic block copolymer nanoparticulate structures: micelles, nanospheres, nanocapsules and polymersomes, J. Pharm. Biopharm., 65(3), 259-269 (2007). 

  21. F. Quaglia, L. Ostacolo, G. De Rosa, M. I. La Rotonda, M. Ammendola, G. Nese, G. Maglio, R. Palumbo, and C. Vauthier, Nanoscopic core-shell drug carriers made of amphiphilic triblock and star-diblock copolymers, Int. J. Pharm., 324(1), 56-66 (2006). 

  22. G. A. Husseini and W. G. Pitt, Micelles and nanoparticles for ultrasonic drug and gene delivery, Adv. Drug Delivery Rev., 60, 1137-1152 (2008). 

  23. J. X. Zhang, K. Ellsworth, and P. X. Ma, Hydrophobic pharmaceuticals mediated self-assembly of $\beta$ -cyclodextrin containing hydrophilic copolymers: Novel chemical responsive nano-vehicles for drug delivery, J. Controlled Release, 145, 116-123 (2010). 

  24. P. J. Gandhi and Z. V. P. Murthy, Solubility and Crystal Size of Sirolimus in Different Organic Solvents, J. Chem. Eng. Data, 55, 5050-5054 (2010). 

  25. L. Philippe, L. Sylviane, B. Amelie, G. Ruxandra, R. Wouter, B. Gillian, and V. Christine, Influence of polymer behaviour in organic solution on the production of polylactide nanoparticles by nanoprecipitation, Int. J. Pharm., 344, 33-43 (2007). 

  26. J. Y. Kim, D. H. Shin, K. J. Ihn, and C. W. Nam, Synthesis of Magnetic Nanocomposite Based on Amphiphilic Polyurethane Network Films, Macromol. Chem. Phys., 203, 2454-2462 (2002). 

  27. J. Y. Kim, D. H. Shin, and K. J. Ihn, Synthesis of Poly(urethane acrylate-co-styrene) Films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by a Simultaneous Copolymerization/in situ Electron Transfer Reaction, Macromol. Chem. Phy., 206, 794-801 (2005). 

  28. J. Y. Kim, H. M. Kim, D. H. Shin, and K. J. Ihn, Synthesis of CdS Nanoparticles Dispersed Within Poly(urethane acrylate-costyrene) Films Using an Amphiphilic Urethane Acrylate Nonionomer, Macromol. Chem. Phys., 207, 925-932 (2006). 

  29. J. Maia and M. Santana, The effect of some processing condi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biodegradable microspheres obtained by an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process, Brazilian J. Chem. Eng., 21, 1-12 (2004). 

  30. J. Y. Kim, J. Wainaina, J. H. Kim, and J. K. Shim, Use of Polymer Nanoparticles as Functional Nano-Absorbents for Low- Molecular Weight Hydrophobic Pollutants, J. Nanosci. Nanotechnol., 7, 4000-4004 (2007). 

  31. J. Y. Kim, J. Wainaina, and J. S. Na, Synthesis of amphiphilic silica/ polymer composite nanoparticles as water-dispersible nano-absorbent for hydrophobic pollutants, J. Ind. Eng. Chem., 17, 681-690 (2011). 

  32. I. G. Zigoneanu, C. E. Astete, and C. M. Sabliov, Nanoparticles with entrapped $\alpha$ -tocopherol: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controlled release, Nanotech., 19, 105606-105613 (2008). 

  33. T. B. Shea, D. Ortiz, R. J. Nicolosi, R. Kumar, and A. C. Watterson, Nanosphere-mediated delivery of vitamin E increases its efficacy against oxidative stress resulting from exposure to amyloid beta, J. of Alzh. Dis., 7, 297-301 (2005). 

  34. Y. J. Byun, J. B. Hwang, S. H. Bang, D. Darby, K. Cooksey, P. L. Dawson, H. J. Park, and S. Whiteside, Formu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lpha$ -tocopherol loaded poly $\varepsilon$ -caprolactone (PCL) nanoparticles, LWT-Food Sci. and Tech., 44, 24-28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