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로 다른 자동차소음에 대한 운전자의 주관적 및 객관적 감성반응 측정치에 관한 조사
An Investigation into the Measured Values of Driver's Subjective and Objective Sensibility Response Stimulated by Different Car Noises 원문보기

대한산업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v.42 no.1, 2016년, pp.73 - 79  

김태현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  조재훈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  조원학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  이문섭 (현대자동차 NVH 개발부) ,  최현기 (성균관대학교 기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uman sensory and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car noise. This study investigated human stress levels from car noise based on the data of electro-encephalogram (EEG) and subjective evaluation analysis data. Since there are few previous works on the e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소음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다양한 분야에 대해서 이루어졌다. 굴삭기의 배기소음을 조절하기 위한 소음기에 대한 연구에서는 소음의 세기와 주파수에 관해서 실험하였다. 일곱 종류의 소음기를 이용하여 배기소음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배기소음의 세기를 줄이면서 필요 이상의 고주파나 저주파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도록 모델링을 하였다(Fang et al.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내부에서 발생하는 주행소음이 인간의 신체적 반응(뇌의 활동)과 피실험자들의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정서적 반응을 관찰하였다([Figure1] 참조).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신체적 반응과 정서적 반응 간의 연관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 주관적인 감성만으로 비교할 경우 개인의 성격과 취향이 많이 반영되고 인체의 생리신호만으로 비교한다면 인간의 감성들을 배제한 소음의 생리적 반응만 관찰하게 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주행소음 통해 인간의 주관적인 감성뿐 아니라 인체의 생리신호와도 비교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인체의 생리 신호 가운데 뇌전도(Electroencephalogram)를 중점으로 관찰하였다.
  • 뇌전도 수집 프로그램은 뇌전도를 수집하는 동시에 그 신호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에 오류나 노이즈의 판별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Figure 2]는 본 실험의 전체적인 과정을 보여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섯 가지 서로 다른 차종의 주행소음에 따라 인체의 생리적신호와 주관적신호의 상관관계를 보기 위해 운전좌석에서 들리는 주행소음을 녹음하여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 흐름에 따라 변화가 많은 인간의 뇌전도 데이터를 가지고 실험을 진행하고 분석하였다. 측정된 EEG spectral components를 통해 자동차의 소음이 인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음은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 대부분의 소음은 인간의 스트레스와 연관되어 있다. 소음은 인간의 건강을 해치는 주요한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청각계에도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소음에 지속적으로 노출이 되면 신경성 난청이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다(Uimonen et al.
차내 소음에 크게 기여하는 소음원은 무엇인가? Lee(1993)의 연구를 살펴보면 차내 소음에 크게 기여하는 소음원으로 엔진, 흡배기계통, 구동계통 세 가지를 선정하였다. 주행소음은 세 가지 뿐 만 아니라 마찰, 외부환경, 주행속도, 풍절음, 차체모양 등 여러 소음발생의 요인에 의해 복합적 작용으로 차량마다 다른 주행소음을 나타낸다.
소음이 인간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떤 연구가 있었는가? 위의 연구처럼 소음이 인간의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예를 들면, 청각계 질환의 초기단계에서 소음의 영향들은 높은 생리적인 자극을 유발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나타내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Eck et al., 1996; Smyth et el., 1998). 또한, 일반 사무실에서 컴퓨터 소음에 대한 감성평가를 시행한 연구도 있다. 청감실험과 설문지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컴퓨터 소음은 CD-rom 구동음, HDD 작동음, 팬소음 등으로 구분하였다. 청감실험을 통해서 각 소음의 상/하한치는 31~51dB, 34~54dB, 34~58dB로 나타났고, 설문지 조사를 통해서 팬소음과 키보드 사용음이 주요 소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55%의 사용자는 컴퓨터 소음을 시끄럽게 느끼고 있다고 답했으며, 20%의 사용자는 조용하게 느꼈다. 35%의 사용자는 컴퓨터 소음이 업무효율을 떨어뜨린다고 답했다(Jeong et el.,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sar, E. (1990), Chaotic dynamics and resonance phenomena in brain function : Progress, perspectives and thoughts, In : E. Basar and T. H. Bullock(Eds.), Chaos in Brain Function, Springer, NewYork, USA, 1-31. 

  2. Buss, S., Chouard, N., and Schulte-Fortkamp, B. (2000), Semantic Differential tests show intercultural differences and similaritie sinperception of car-sounds, DAGA2000, Oldenburg, Deutschland. 

  3. Cho, W. H., Hwang, S. H., and Choi, H. K. (2011),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s of noise on EEG power bands and visual cognitive responses for human-oriented product design,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25, 821-826. 

  4. Choe, J. H. (2013), How Can We Approach the Affective Quality? : A Study on the Affective Response and Structural Approach to the Affective Qual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ute of Industrial Engineers, 39(1), 73-77. 

  5. Dencey, C. and Reidy, J. (2011), Statistics Without Maths for Psychology, Prentice Hall, 175. 

  6. Eck, M. V., Berkhof, H., Nicolson, N., and Sulon, J. (1996), The effects of perceived stress, traits, mood states, and stressful daily events on salivary cortisol, Psychosomatic Medicine, 58, 447-458. 

  7. Fang, J. H., Zhou, Y. Q., Hu, X. D., and Wang, L. (2009), Measurement and Analysis of Exhaust Noise from Muffler on an Excavator,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10(5), 59-66. 

  8. Ising, H., Dienel, D., Gunther, T., and Markert, B. (1998), Traffic Noise and Health Effect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47(2), 179-190. 

  9. Jeong, J. H., Song, H. S., Jeon, J. Y., and Cho, M. J. (2002), Subjective Evaluation of Computer Noise for Improving the Acoustical Environment of Open-plan Offices,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2002, 101-106. 

  10. Kim, D. N. and Cho, J. R. (1999), A Study on the Methodologies of the Quality Assessment of the Mobile Telecommunication Units Using Kansei Engineer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27, 154-169. 

  11. Lee, J. K. (1993), For the interior noise of a car,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3, 11-21. 

  12. McEvoy, L. K., Pellouchoud, E., Smith, M. E., and Gevins, A. (2001), Neurophysiological signals of working memory in normal aging, Brain Research : Cognitive Brain Research, 11, 363-376. 

  13. Moretti, D. V., Babiloni, C., Binetti, G., Cassetta, E., Dal Forno, G., Ferreric, F., Ferri, R., Lanuzza, B., Miniussi, C., Nobili, F., Rodriguez, G., Salinari, S., and Rossini, P. M. (2004), Individual analysis of EEG frequency and band power in mild Alzheimer's disease, Clinical Neurophysiology, 115, 299-308. 

  14. Niedermeyer, E. and Silva, F. L. (2004), Electroencephalography : Basic Principles, Clinical Applications, and Related Fields,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Philadelphia, USA. 

  15. Osgood, C. E., Suci, C. J., and Tannenbaum, P. H. (1972), The Measurement of Meaning,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76-124. 

  16. Robert, M. (2007), Theory of the normal waking EEG : From single neurones to waveforms in the alpha, beta and gamma frequency ra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physiology, 64, 18-23. 

  17. Sharbrough, F., Chatrian, G. E., Lesser, R. P., Luders, H., Nuwer, M., and Picton, T. W. (1991), American Electroencephalographic Society Guidelines for Standard Electrode Position Nomenclature, Journal of Clinical Neurophysiol, 8, 200-202. 

  18. Smyth, J., Ockenfels, M. C., Porter, L., Kirschbaum, C., Hellhammer, D. H., and Stone, A. A. (1998), Stressors and mood measured on a momentary basis are associated with salivary cortisol secretion, International Society of Psychoneuroendocrinology, 23, 353-370. 

  19. Uimonen, S., Maki-Torkko, E., and Sorri, M. (1998), Hearing and occupation, International Journal Circumpolar Health, 57, 156-161. 

  20. Vogel, F. (2000), Genetics and the Electroencephalogram,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21. Wallenius, M. A. (2004), The interaction of noise stress and personal project stress on subjective health,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4(2), 167-177. 

  22. Williams, L. M., Simms, E., Clark, C. R., Paul, R. H., Rowe, D., and Gordon, E. (2005),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a standardized neurocognitive and neurophysiological test battery : 'neuromarker', International Journal of Neuroscience, 115, 1605-1630. 

  23. Winterer, G., Kloppel, B., Heinz, A., Ziller, M., Dufeu, P., Schmidt, L. G., and Herrmann, W. M. (1998), Quantitative EEG (QEEG) predicts relapse in patients with chronic alcoholism and points to a frontally pronounced cerebral disturbance, Psychiatry Research, 78(1-2), 101-1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