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넙치에 기생하는 쿠도아 점액포자충(Kudoa septempunctata) 의 활성 확인을 위한 염색법의 비교
A Distinguishing Staining Methods for Vitality of Kudoa (Kudoa septempunctata) spores in Muscl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6 = no.84, 2016년, pp.1822 - 1827  

도정완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문선화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김민지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조미영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정승희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  이남실 (국립수산과학원 병리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umption of Paralichthys olivaceus in raw fish have been reported as the cause of outbreaks of food-born illness, and Kudoa septempunctata in muscle of Paralichtys olivaceus was suggested with the causative agent. For this reason, distinguish of vital and dead spore is important to study surviva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6). 본 방법은 형광현미경을 통하여 확인 가능한 방법으로 결과의 정확도는 높으나 실험적 환경이 그에 적합하지 않을 때, 즉 형광현미경과 같은 관찰에 필요한 장비가 갖추어져 있지 않은 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광학현미경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던 중 Neutral red와 Methylene blue를 혼합하여 사용한 염색법(Freshney R 1987; Georges K 1935)이 실용성이 있어 본 방법에 대한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Kudoa septempunctata이란? Kudoa septempunctata는 점액포자충(myxozoa)의 일종으로 5~7개의 극낭을 가지는 포자(spore)의 형태로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근육에 분포하면서 육안적으로 관찰 가능한 시스트를 형성하지 않고 넙치에서는 외관상 병적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Kudoa sp.의 신종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유전형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Matsukane Y et al. 2010; Sugita-Konishi Y et al, 2015; Takeuchi F et al, 2016).
K. septempunctata로 인한 증상의 원인은? 쿠도아 점액포자충의 생활사는 아직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알려진 다른 쿠도아 점액포자충과 유사할 것으로 판단되며(El-Matbouli M and Hoffmann RW 1998; Yokoyama H 2004), K. septempunctata의 경우 넙치 근육 내 다량의 포자(spores) 형태로 존재하는 단계에서 넙치를 회와 같은 날것으로 섭취했을 때 설사, 구토 및 복통 등의 식중독 증상을 일으키며, 이것은 쿠도아 점액포자충이 살아있는 상태에서 장내 도달했을 때 나타나는 현상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보고에 따르면 K.
Kudoa septempunctata로 인해 논란이 된 내용은? 2010; Sugita-Konishi Y et al, 2015; Takeuchi F et al, 2016). 본 종에 대한 논란은 2011년 6월 공식적으로 설사, 복통 등의 유증사례의 원인으로 본 충에 감염된 넙치회를 언급한 이후(Kawai T et al. 2012), 넙치의 양식과 소비가 활발한 일본과 한국에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Kawai T et al. 2012; Iwashita Y 2013; Sugita-Konishi Y et al. 2014; Song Jun-Young et al. 2013; 2014; Kim Wi Sik et al. 2015; Yokoyma H et al. 2015), 일본 내에서 발생하는 식중독 사례 중 매년 50건 이상이 쿠도아 점액포자충에 감염된 넙치를 날것으로 섭취한 이후 발생하였음을 보고하고 있어(Minist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2016) 식중독과 관련하여 식품안전상의 위해성 유무에 관해 논란이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lliott W Mark & Auersperg Nelly(1993). Comparison of the neutal red and methylene blue assays to study cell growth in culture. Biotechic & Histochemistry 68(1), 29-35. 

  2. El-Matbouli M and Hoffmann RW(1998).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ies on the chronological development of Myxobolus cerebralis to the actinosorean stage in Tubifex tubifex. Int J Parasitol 28, 195-217. 

  3. Francis Belloc, et al(1994). A flow cytometric method using Hoechst33342 and propidium iodide for simultaneous cell cycle analysis and apoptosis determination in unfixed cells. Cytometry 17, 59-65. 

  4. Freshney R(1987).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p.117, Alan R. Liss, In., New York. 

  5. Georges Knaysi(1935). A microscopic method of distinguishg dead from living bacterial cells. Journal of Bacteriology 30(2), 193-206. 

  6. Guillermo Repetto, Ana del Peso & Jorge L Zurita(2008). Neutral red uptake assay for the estimation of cell vability/cytotoxicity. Nature Protocols 3, 1125-1131. 

  7. Iwashita Yoshiaki(2013). Food Poisoning associated wity Kudoa septempunctata.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44(5), 943-945. 

  8. Kawai Takai et al.(2012). Identification of Kudoa septempunctata as the Causative Agent of Novel Food Poisnoning Outbreaks in Japan by Consumption of Paralichthys olivaceus in Raw Fish.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54(8), 1046-1052. 

  9. Kim, Wi-Sik et al.(2015). A survey of Kudoa septempunctata in oliv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hatcheries in the southwestern coast of Korea between 2014 and 2015, Journal of Fish Pathology 28(2), 109-112. 

  10. Kudoa Diagnostic Manual; government publications 11-1192000-000227-01, NIFS(National institude of fisheries science) publications SP-2014-AQ-0005 

  11. MAFF(Ministry of Agriculture, Fisheries and Food), Japan (2016). http://www.maff.go.jp/j/syouan/seisaku/risk_analysis/p riority/pdf/160531_kudia.pdf (in Japanese) 

  12. Matsukane Yuuki et al.(2010). Kudoa septempunctata n.sp.(Myxosporea:Multivalvulida) from an aquacultured olive flounder(Paralichthys olivaceus) imported from Korea. Parasitology Research 107(4), 865-872. 

  13. MHLW(Ministry of Health, Labour and Welfare), Japan. (2016). Annual statistics of food-poisoning http://www.mhlw.go.jp/toukei/list/112-1.html (in Japanese) 

  14. Ohniishi Takahiro et al.(2013). Kudoa septempunctata invasion increases the permeability of human intestinal epithelial monolayer. Foodborne Pathogens and Disease 10(2). 137-142. 

  15. Ohnishi Takahiro et al.(2014). Inactivation of Kudoa septempunctata in olive flounder meat by liquid freezing. Biocontrol Science 19(3), 135-138. 

  16. Ohnishi Takahiro et al.(2016). Survivability of Kudoa septmepunctata in human intestinal conditions. Parasitology Research. 115, 2519-2522. 

  17. Shin, Sang Phil et al(2015), Zenke K, Yokoyama H, Yoshinaga T. Factors affecting sporoplasm release in Kudoa septempuctata. Parasitology Research 114. 795-799. 

  18. Song, Jun-Young et al.(2013). Monitoring of Kudoa septempunctata in Cultured Olive flounder and Wild Fish in Jeju Island during 2012. Journal of Fish Pathology 26(3), 129-137. 

  19. Song, Jun-Young et al.(2014). Monitoring Kudoa septempunctata in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different regions of Korea in 2013.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7(5). 611-621. 

  20. Sugita-Konishi Yoshiko et al.(2015). New validated rapid screening methods for identifying Kudoa septempunctata in olive flouncer (Paralichthys olivaceus). Japanes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 68(2) 145-147. 

  21. Sugita-Konishi Yoshiko.Sato Hiroshi & Ohnishi Takahiro(2014). Novel foodborne disease associated with consumption of raw fish, Olive flouncer(Paralichthys olivaceus). Food Safety 2(4) 141-150. October 27 online released. 

  22. Takeuchi Fumihiko et al.(2016). Genetic variants of Kudoa septempunctata(Myxozoa:Multivalvulida), a flounder parasite causing foodborne disease. Journal of Fish Diseases. 36, 667-672. 

  23. Yokoyama Hiroshi(2004). Life cycle and evolutionary origin of myzozoan parasites of fishes. Jpn J Protozool 37, 1-9. 

  24. Yokoyama Hiroshi.Funaguma Naoko & Kobayashi Shoko(2016). In vitro inactivation of Kudoa septempunctata spores infecting the muscl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oodborne Pathogens and Disease 13(1), 21-27. 

  25. Yokyama Hiroshi et al.(2015). Infection Dynamics of Kudoa septempunctata(Myxozoa:Multivalvulida) in Hatchery-produc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Fish Pathology 50(2). 60-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