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수자원개발에 있어 새마을 운동의 역할과 의의에 대한 실증적 연구
Implication of the Saemaul Undong on water resources development in rural communities during 1970's 원문보기

上下水道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no.6, 2016년, pp.699 - 705  

황준식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서용원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시스템공학과) ,  정진영 (영남대학교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 Saemaul Undong had a direct relation with th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during 1970's, its contribution to the water resources and increased income in rural communities has not been thoroughly quantified so far. In order to assess the contribution of the S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현재까지 새마을 운동과 농촌지역 생상증대 및 소득증대에 영향을 미친 수자원개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성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나 당시 과거사 연구 등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적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촌지역 소득증대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판단되는 새마을운동을 농촌지역 수자원개발의 측면에서 실증적인 평가를 수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새마을 운동이 농촌지역 수자원개발 및 농민소득에 영향을 미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과거자료를 수집하여 다각도의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차별로 수자원관련 항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였고, 하천개수율을 분석하기 위하여 하천정비기본계획 자료 및 각 시도별 통계연보 자료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 정리하였다.

가설 설정

  • 셋째, 내수피해 상습지를 일소한다.(내수피해 상습지 138개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마을 사업의 일반적 성과는 무엇이 있는가? 이기우(2013)에 따르면 전국의 마을 발전수준에 따라 기초마을, 자조마을, 자립마을로 유형화하여 마을의 여건과 수용 능력에 맞추어 지원과 지도방법을 달리했으며, 그 승급요건에도 농경지수리율의 기준이 포함되었었다. 새마을 사업의 일반적 성과로는 농촌 생화환경개선, 생산기반의 확충, 농가소득 증대, 정신혁명, 새로운 국민 형성 등이 꼽히고 있으며, 이중 생상기반의 확충에 수리사업, 소하천 정리사업, 4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 유역의 대단위 수리사업이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현재까지 새마을 운동과 농촌지역 생상증대 및 소득증대에 영향을 미친 수자원개발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 에도 불구하고 성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나 당시 과거사 연구 등 이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부적한 상황이다.
새마을운동은 무엇인가? 새마을운동은 1970년 4월 22일 전국지방장관회의를 통해서 ‘새마을가꾸기’를 처음으로 언급하면서 농촌 부흥을 위한 국가정책으로 시작하였다(이정주, 2011). 정갑진(2009)에 의하면 새마을운동은 1981년도 까지 농가소득을 1972년 기준 41만 8천원에서 1981년 140만원으로 3.
새마을 운동에서 진행한 농업용수 확보가 농촌에 가져온 장점은 무엇인가? 즉 농업용수 확보는 작물의 생산량과 직결되는 것으로 농업용수의 확보 없이는 농촌지역의 생활소득 증대에 기여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새마을 운동에서는 천수답을 수리안전답화 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였으며, 이는 농촌지역의 생활소득 증대라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게 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ung, K. J. (2009). Experiences and application from Korea's Saemaul Undong in the 1970s., KDI, pp.219. 

  2. Chungcheongbuk-do. (1972-1980). Statistical year book. 

  3. Chungcheongnam-do. (1970-1980). Statistical year book. 

  4. Gangwon-do. (1970-1980). Statistical year book of Gangwon. 

  5. Gyeonggi-Do. (1970-1974).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Gi. 

  6. Gyeonggi-Do. (1976-1980).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Gi. 

  7. Gyeongsangbug-do. (1970-1971).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Bug. 

  8. Gyeongsangbug-do. (1973-1980). Statistical year book of Gyeong-Bug. 

  9. Gyeongsangnam-do. (1970-1979). Statistical year book. 

  10. Jeollabuk-do. (1970-1980). Statistical year book. 

  11. Jeollanam-do. (1970-1980). Statistical year book. 

  12. Lee, J. J. (2011). A study on strategies for the Saemaul Undong of Daegu-Gyeongbuk Regions, KACG., 15(1), 349-372. 

  13. Lee, K. W., Gwon, Y. J., Ki, Y. H. (2013). Case study of Saemaul Undong., Central officials Training Institute. pp.84. 

  14. The City of Busan. (1970-1980). Statistical year book of Busan. 

  15. The City of Daegu. (1970-1980). Daegu Statistical year book. 

  16. The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The study of improvement of sewerage of separate system facilities criteria and maintenance function. 

  17. The Ministry of Interior. (1980). 10 Years of Saemaul Undong. The Ministry of Interior. (1973-1979). Saemaul Undong - From the beginning and today. 

  18.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3). Modularity economic development projects - Korea's River basin management policy. 

  19.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07). Statistical year book of natural disaster. 

  20. Kim, S. J. (2012). Disaster management of rivers in Korea: Limitation and improvements.,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Seoul, Korea. 

  2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1970-1980). Seoul Statistical year book.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