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 학습에서 대인관계 유능성 및 인지된 성취감의 관계에 대한 팀효능감의 매개효과 : 예비 유아교사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learning in project learning: Focusing o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2, 2016년, pp.91 - 97  

고은현 (배화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박혜림 (서울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프로젝트 수업에서 대인관계 유능성과 인지된 성취도에 팀효능감이 매개효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 고찰을 토대로 팀효능감과 대인관계 유능성이 프로젝트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 172명에게 이들 팀효능감, 대인관계 유능성, 인지된 성취도에 대해 설문하고, 그 응답 결과를 Baron과 Kenny(1986)이 제안한 매개분석 방법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인관계 유능성의 하위 요인 중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 변인이 인지된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며 팀효능감은 이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팀효능감과 타인에 대한 이해와 배려가 프로젝트 학습 과정에서 촉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학습에서 능동적인 학습역량 함양과 동시에 교사양성의 한 측면에서 요구되는 교수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team efficacy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perceived learning in project learning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team efficac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were identified as variables 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학습에서 서로의 의견존중, 상호작용성을 대인관계 유능성으로 설정하고, 대인관계 유능성이 팀효능감과 프로젝트 학습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학습에서 대인관계 유능성이 인지된 성취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팀효능감이 매개하는가?”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프로젝트 수업의 운영전략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 학습 방법의 성과는 무엇에 의해 좌우되는가? 프로젝트 학습 방법의 성과는 팀원들의 적극적 참여와 팀원들의 협력과 활발한 상호작용 즉, 팀원들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능력과 팀효능감에 의해 좌우된다[9, 10].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과도한 팀과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과제 수행과정에서의 불공평한 참여와 이로 인한 불균등한 일의 분배, 시간 부족 등으로 인해 팀 활동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11].
팀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20]은 팀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리더십, 팀응집력, 팀크기, 과거의 성공 경험 요인을 제시하였으며, 이 중 과거의 성공 경험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 팀효능감 지각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이 중요한 선행변수로 작용하며, 팀 구성원들이 서로에 대해 느끼는 긍정적인 지각도 팀효능감에 영향을 준다[21].
대학생들이 프로젝트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 프로젝트 학습 방법의 성과는 팀원들의 적극적 참여와 팀원들의 협력과 활발한 상호작용 즉, 팀원들간의 관계에 영향을 주는 대인관계능력과 팀효능감에 의해 좌우된다[9, 10]. 그러나 대부분의 대학생들은 과도한 팀과제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과제 수행과정에서의 불공평한 참여와 이로 인한 불균등한 일의 분배, 시간 부족 등으로 인해 팀 활동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11]. 또한 최근 연구들은 팀프로젝트 활동에서의 경험이나 만족도가 긍정적인 것만은 아님을 보여주고 있다[12-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E. H. Ko, "Research on Instructional Improvement of Faculty with Ac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5, no. 1, pp. 69-94, 2013. 

  2. H. R. Park,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for Educational Satisfaction with a Colleg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 5, no. 6, pp. 375-386, 2015. DOI: https://doi.org/10.14257/AJMAHS.2015.12.24 

  3. H. S.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Solving Abilit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Co-regul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2016. 

  4. P. H. kim & S. D. Im, "The Effects of Methods of Projects and Ages of Young Children on their Creativity, Cognitive and Social Ability",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6, no. 1, pp. 173-197, 2001. 

  5. H. O. Lee & K. H. Kim, "Effects of Life World Project for Infant's Life Respect", 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 vol. 7, no. 1, pp. 25-40, 2007. 

  6. J. O. Ji,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 in the "Cabbage in the Garden" Project: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bbage, Cabbage Caterpillar, and Apanteles Golmenratus", Journal of Eco-Early Childhood Education, vol. 7, no. 2 pp. 123-146, 2008. 

  7. Bufkin, L. J., & Bryde, S., "Implemention a Constructivist Approach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vol. 17, no. 2 pp. 58-65, 1996. DOI: https://doi.org/10.1080/1090102960170207 

  8. K. K. Kim, J. Yoon, K. Y. Choi, S. Y. Park, & J. H. Bae, "The Effect of Interdisciplinary Cooperation Project Learning on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and Self-Directed", Journal of Korean Acad Soc Nurs Edu, vol. 14, no. 2 pp. 252-261, 2008. 

  9. J. W. Yoo, "Effects of Team Climate and Shared Mental Model on Team Project-based Learning Outcom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vol. 10, no. 4, pp. 193-215, 2014. 

  10. Y. M. Lee, "The Impact of the Team Composition on the Learning Outcomes in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5, no. 12, pp. 363-383, 2015. 

  11. M. J. Park, "Learning Experience of Graduate Students through Project-based Instruc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vol. 25, no. 3, pp. 265-288, 2007. DOI: https://doi.org/10.15708/kscs.25.3.200709.011 

  12. Y. M. Lee, "An Investigation of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Team Based Project Learning in Engineering Colleg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3, No6, pp. 351-375, 2013. 

  13. S. Y. Jang & M. K. Lee, "Development of Scaffolding Design Model for Supporting Learners' Task Performing in an Online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8, No2, pp. 371-408, 2012. 

  14. E. J. Jang, "The Effects of Goal Structure Strategy and Team Effectiveness on Performances of Students in Web-based Project-Bas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0, no. 2, pp. 53-81, 2004. 

  15. Kreijns, K., Kirschner, P. A., & Jochems, W., "The Sociability of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s",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 .5, no. 1, pp. 8-22, 2002. 

  16. I. A. Kang & E. S. Jung, "A Qualit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elected Teams and The Learning Style-based Teams in terms of Their Satisfactory Levels on the Learning Activiti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Vol .22, no. 3, pp. 53-81, 2010. 

  17. K. W. Jang & J. H. Sung, "Under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Group Composition in Problem Bas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 12, no. 4, pp. 53-81, 2010. 

  18. E. m. Kwon,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t Team performance. Ewha Woma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2010. 

  19. W. W. Park & Y. J. Paik, "Negative Effect of Group-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vol. 35, no. 5, pp. 1427-1448, 2006. 

  20. Zaccaro, S. J., Blair, B., Peterson, C., & Zazanis, M., Collective Efficacy. NY: Plenum Press, 1995. DOI: https://doi.org/10.1007/978-1-4419-6868-5_11 

  21. J. H. Choi, A Study on the Factors and Conseuences of Perception of Group Efficacy.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Unpublished Mater's Dissertation, 2000. 

  22. Gi Yoon Moon & Tae Seob Shin,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urces of Collective Efficacy in Team Projects: Based on Bandura's Social Cognitive Theory",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29, no. 1, pp. 41-64, 2015. DOI: https://doi.org/10.17286/KJEP.2015.29.1.03 

  23. O. J. Lee, "The Effects of the Cooperative Project Teaching-Learning Methode on Self-efficac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Korean Journal of Teachers Eduction, vol. 29, no. 2, pp. 321-343, 2012. 

  24. Simkins, M., Increasing Student Learning through Multimedia Projects. ASCD, 2002. 

  25. Joo, Y., Bong, M., & Choi, H. Self-Efficacy for Self-Regulat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rnet Self-Efficacy in Web-Based Instruction. ETR&D, 48(2), 5-17, 2000. DOI: https://doi.org/10.1007/BF02313398 

  26. Parker, L. E., "Working Together: Perceived Self-efficacy and Collective-efficacy at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 24, no. 1, pp. 43-59, 1994. DOI: https://doi.org/10.1111/j.1559-1816.1994.tb00552.x 

  27.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W. H. Freeman, 1997. 

  28. Y. E. Lee, Effects of The Collective 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Learning Satisfaction among Study-Group Participating Public Officials, Soongsil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2011. 

  29. Beehr, T. A., "Occupational Stress: Coping of Plice and Their Spous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6, no. 1, pp. 1-45, 1991. 

  30. Spitzberg, B. H., & Cupach, W. R., Handbook of Interpersonal Competence Research. New York: Springer-Verlag, 1989. 

  31. M. J. Bae,& H. I. Jo,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Self-esteem, Cognitive/Affective Empathy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5, no. 6, pp. 2417-2435, 2014. DOI: https://doi.org/10.15703/kjc.15.6.201412.2417 

  32. S. M. Bae, "Validation of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vol. 16, no. 3, pp. 51-65, 2015. DOI: https://doi.org/10.15703/kjc.16.3.201506.51 

  33. H. J. Chang, & E. J. Jang, "The Analysis of Learning Outcomes based on Learners' Personality Types and Interactor Styles in Web-based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4, no. 1, pp. 137-167, 2008. 

  34. I. H. Jo, "Effects of Role Division, Interaction, and Shared Mental Model on Individual Learning and Team Performance in a University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3, pp. 1-20, 2010. 

  35. Bandura, A., Cultivate Self-efficacy for Personal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Locke, E. A. (Eds.) The Blackwell Handbook of Principles of Organizational Behavior(pp. 120-136). Oxford: Blackwell, 2000. 

  36. H. J. Lim & H. R. Kang, "Measuring Team Mental Model and Team Effectiveness",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18, no. 11, pp. 23-50, 2005. 

  37. Little, B. L., & Madigan, R. M.,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Performance in Manufacturing Work Teams", Small Group Research, vol. 28, no. 4, pp. 517-534, 1997. DOI: https://doi.org/10.1177/1046496497284003 

  38. Blau, I., & Caspi, A., Do Media Richness and Visual Anonymity Influence Learning? A Comparative Study Using Skype. In Y. Eshet-Alkalai, A. Caspi, & N. Geri (Eds.), Learning in the Technological Era: Proceedings of the Third Chais Conference on Instructional Technologies Research(pp. 18-25). Ranana, Israel: The Open University of Israel, 2008 

  39. Barzilai, S., & Blau, I., "Scaffolding Game-based Learning: Impact on learning Achievements, Perceived Learning, and Game Experiences", Computers & Education, vol. 70, pp. 65-79, 2014. DOI: https://doi.org/10.1016/j.compedu.2013.08.003 

  40. Riggs, M. L. & Knight, P. A.,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sual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79, no. 5, pp. 755-766, 1994. DOI: https://doi.org/10.1037/0021-9010.79.5.755 

  41. Baron, R. M. &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42. MacKinnon, D. P., Warsi, G., & Dwyer, J. H., "A Simulation Study of Mediated Effect Measur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vol. 30, no. 1, pp. 41-62, 1995. DOI: https://doi.org/10.1207/s15327906mbr3001_3 

  43. Calrke, R., Wideman, & S. Eadie, Together We Learn. Toronto: Prentice-Hall, 1990. 

  44. N. R. Han & D. G. Lee,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Questionnaire in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22, no. 1, pp. 137-156, 2010. 

  45. M. S. Choi & N. J.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Team Efficacy in College Soccer Players", Journal of Wellness, vol. 6, no. 3, pp. 23-33, 2011. 

  46. M. S. Choi & J. I, Yoo,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Team Cohesion, and Athlete Satisfaction of Team Sports Player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vol. 13, no. 2, pp. 13-22,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