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한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using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 Isolates 원문보기

농약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20 no.4, 2016년, pp.361 - 368  

유황빈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정영학 ((주)SM바이오) ,  이상명 ((주)SM바이오) ,  추호렬 (경상대학교 응용생물학과) ,  이동운 (경북대학교 생태환경관광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는 우리나라와 일본의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을 전파하는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곤충병원성선충을 이용하여 솔수염하늘소의 생물적 방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실험에 이용한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4종(Heterorhabditis sp. Gyeongsan,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S. glaseri Dongrae, S. longicaudum Nonsan 계통)은 소나무 고사목 내의 미끼곤충인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을 치사시켰는데 S. carpocapsae GSN1의 병원성이 가장 높았다. 두 선충 모두 7.5 cm 깊이에 있는 꿀벌부채명나방을 치사시켰다. 곤충병원성선충은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성충 모두에 병원성을 보였는데 성충에 대한 분무처리 시 S. carpocapsae GSN1 계통보다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의 병원성이 높았다.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서식하고 있는 소나무 벌채목에 대한 S. carpocapsae GSN1 계통의 수피면 분무처리와 벌채목 수침 처리 시 분무처리에서만 선충에 감염 된 유충이 확인되었다. 곤충병원성선충은 고사목 수체 내 솔수염하늘소 유충 방제의 실용성은 낮았지만 수체 내 해충에 대한 방제 가능성은 있어 추후 천공성 해충의 방제에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apanese pine sawyer (JPS), Monochamus alternatus is a vector insect of pine wood nematode, Bersaphlenchus xylophilus in Korea and Japanese pine forest.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biological control of JPS with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EPNs). Korean EPNs (Heterorhabdit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산림해충들 중 하늘소류는 나방류 해충들과 달리 유충이 잎과 같은 노출된 곳에 서식하지 않고, 목재 내에 서식하기 때문에 훈증제를 제외한 일반 살포형식의 방제제 적용이 어려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목재 내부에 있는 하늘소 유충을 곤충병원성선충이 치사 시킬 수 있는지 여부에 초점을 두어 실험을 수행하였는데 목재 내부에 있는 기주곤충을 치사시켰다. Phan (2008)은 톱밥을 채워놓은 용기에 솔수염하늘소 유충을 넣고, 곤충병원성선충 S.

대상 데이터

  • 솔수염하늘소는 소나무재선충병 피해지인 경남 진주시 인근 지역에서 솔수염하늘소 유충이 침입한 소나무를 벌채하여 경상대학교에 설치한 우화상에 보관하면서 목재 내에 들어 있는 유충을 수집하여 사용하거나 우화상에서 우화하는 성충을 채집하여 실험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곤충병원성선충은 실험실에서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 유충을 이용하여 증식시켜 사용하였다(Woodring and Kaya, 1988). 9oC의 냉장고에 보관 되어있던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 S.
  • 한국산 곤충병원성선충 중에서 병원성이 높다고 알려진 4종의 선충을 선발하여 목재내부와 수피 밑에 서식하는 솔수염하늘소 유충에 대한 병원성 검정을 수행하였는데 Steirnematid 3계통(S. carpocapsae GSN-1 계통, S. longicaudum Nonsan 계통, S. glaseri Dongrae 계통)과 Heterorhabditid 1계통(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을 이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솔수염하늘소 유충과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에 대한 곤충병원성선충의 병원성은 접종농도에 따른 치사율을 구하여 Tukey’s test로 처리 평균간의 유의성 차이를 검정하였다(SAS/STAT® 9.3 user’s guide, 201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은? 소나무재선충은 자체적으로 이동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매개충이 우화할 때 편승하여 이동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으로 알려져 있다(KFRI. 2007).
소나무재선충이란?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소나무류에시들음병을 일으켜서 소나무를 죽게 하는 병원체이다. 소나무재선충은 북미 원산으로 1931년 미국에서 Steiner와Buhrer가 대왕송(Pinus palustris)에서 분리하였고, 이 소나무재선충은 소나무뿐만 아니라 잣나무(Pinus koraiensis), 가문비나무(Picea jezoensis), 전나무(Abies holophylla), 히말리야시다(Cedrus deodara), 낙엽송(Larix kaempferi) 등에기생한다(Mamiya, 1988)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를 생물적 방제하는 곤충병원성선충의 특징은? 곤충병원성선충은 체내에 보유한 공생세균이 기주곤충 내에 분비되고, 이들이 기주에 패혈증을 유발시켜 치사시키는생물적 방제인자로 대량증식이 가능하여 상업적으로 각종해충의 생물적 방제를 위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Copping, 2001). 우리나라에서도 토착 곤충병원성선충의 발굴과 이용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Dolins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rgdahl, D. R. (1988) Impact of pine wood nematode in north America: present and future. J. Nematol. 20:260-265. 

  2. Choi, W. G., P. J. Ha, S. M. Lee, H. Y. Choo and D. W. Lee (2006) Pathogenicity of Korean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larva of Popillia quadriguttata, Ectinohoplia rufipes and Phyllopertha diversa (Coleoptera: Rutelidae) and persistence in golf courses. Korea J. Pestic. Sci. 10:107-116. (In Korean) 

  3. Choo, H. Y., H. H. Kim, D. W. Lee, S. M. Lee, S. H. Park, Y. M. Choo and J. K. Kim (2001) Practical utiliz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Pocheon strain an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Hamyang strain for control of chestnut insect pests. Korean J. Appl. Entomol. 40:69-76. (In Korean) 

  4. Copping, L. G. (2001) A world compendium the manual of biocontrol agents. BCPC. Alton, UK. 

  5. Dolinski, C., H. Y. Choo and L. W. Duncan (2012) Grower acceptance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case studies on three continents. J. Nematol. 44:226-235. 

  6. Dwinell, L. D. (1997) The pinewood nematode: regulation and mitigation. Ann. Rev. Phytopathol. 35:153-166. 

  7. Grewal, P. S., E. E. Lewis, R. Gaugler and J. F. Campbell (1994) Host-finding behavior as a predictor of foraging strategy in entomopathogenic nematodes. Parasitol. 108: 207-215. 

  8. Kaya, H. K., M. M. Aguillera, A. Alumai, H. Y. Choo, M. de la Torre, A. Fodor, S. Ganguly, S. Hazir, T. Lakatos, A. Pye, M. Wilson, S. Yamanaki, H. Yang and R. U. Ehlers (2006) Status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their symbiotic bacteria from selected countries or regions of the world. Biological Control 38:134-155. 

  9. Kim, D. S., S. M. Lee, Y. J. Chung, K. S. Choi, Y. S. Moon and C. G. Park (2003) Emergence ecology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a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 Appl. Entomol. 42:307-313. (In Korean) 

  10. Kishi, Y. (1995) The pinewood nematode and Japanese pine sawyer. Thomas, Tokyo, p302. 

  11. Korea Forestry Research Institute (KFRI). (2007) Damage characteristics and control strategies of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Korean white pine forest.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pp 1-12. (In Korean) 

  12. Kwon, T. S., J. H. Lim, S. J. Sim, Y. D. Kwon, S. K. Son, K. Y. Lee, Y. T. Kim, J. W. Park, C. H. Shin, S. B. Ryu, C. K. Lee, S. C. Shin, Y. J. Chung and Y. S. Park (2006) Distribution patterns of Monochamus alternatus and M. slatuarius (Coleoptera: Cerambycidae)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95:543-550. 

  13. Lee, C. M., T. H. Lim, S. M. Lee, L. S. Mun, S. S. Han, and D. W. Lee (2015) Nematicidal and reproduction supression activity of actinomyces isolates against pine wood nematode, Be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 J. Pestic. Sci. 19:141-150. (In Korean) 

  14. Lee, D. W., J. Y. Yang, G. Y. Han, H. Y. Choo, S. M. Lee, H. H. Kim, C. G. Park and Y. M. Choo (2006) Entomopathogenic nematodes for biological control of Pryeria sinica Moore (Lepidoptera: Zygaenidae) and persistence on Euonymus japonica Thunberg foliage. J. Asia-Pacific Entomol. 9:165-172. 

  15. Lee, K. S., D. W. Lee, H. H. Kim, S. M. Lee, H. Y. Choo and H. K. Shin (2005) Pathogenicity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to Popillia quadriguttata (Coleoptera: Scarabaeidae) adult. Korean J. Appl. Entomol. 44:145-150. 

  16. Mamiya, Y. (1988) History of pine wilt disease in Japan. J. Nematol. 20:219-226. 

  17. Phan, L. K. (2008) Potential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for controlling the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26-32. 

  18. SAS/STAT $(R)$ 9.3 user's guide. (201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19. Shimazu, M. (2008) Biological control of the Japanese pine sawyer beetle, Monochamus alternatus.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351-370. 

  20. Shin, J. H., O. G. Kwon, C. M. Lee, S. M. Lee, Y. H. Choi, J. H. Kim, Y. S. Kim and D. W. Lee (2016) Nematicidal activity of Eclipta prostrate extract and terthiophene against 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Korean J. Pestic. Sci. 20:56-65. (In Korean) 

  21. Shin, S. C. (2008) Pine wilt disease in Korea. In Pine wilt disease: Zhao, B. G., Eds; Springer, Japan. pp.26-32. 

  22. Wingfield, M. J., R. B. Blanchette and T. H. Nicholls (1984) Is the pine wood nematode an important pathoge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Forestry 82:232-235. 

  23. Woodring, J. L. and H. K. Kaya (1988) Steinernematidae and Heterorhabditidae nematodes: a handbook of techniques. Southern Coop. Ser. Bull. 331, Alkansas Agri. Exp. Stn. USA. 

  24. Yamanaka, S. (1993) Field control of the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Coleoptera: Cerambycidae) larvae by Steinernema carpocapsae (Nematoda: Rhabditida). Jap. J. Nematol. 23:71-78. 

  25. Yi, C. K., B. H. Byun, J. D. Park, S. I. Yang and K. H. Chang (1989) First finding of the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Steiner et Buhrer) Nickle and its insect vector in Korea. Res. Rep. For. Res. Inst. 38:141-149. (In Korean) 

  26. Zhao, B. G., K. Futai, J. R. Sutherland and Y. Takeuchi (2008) Pine wilt disease. Springer, Jap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