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화아연의 응용 기술 최신 동향 분석: 특허정보분석을 중심으로
Recent Application Technology Trends Analysis of Zinc Sulfide: Based on Patent Information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6 no.2, 2016년, pp.100 - 108  

이도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강현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윤종만 ((주)제이몬) ,  이정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inc Sulfide (ZnS) is one of the II-VI semiconducting materials, having novel fundamental properties and diverse areas of application such as light-emitting diodes (LEDs), electroluminescence, flat panel displays, infrared windows, catalyst, chemical sensors, biosensors, lasers and biodevices, etc.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황화아연 소재를 활용한 응용 기술 분야의 확장과 실용화 연구 개발 현황을 분석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황화아연의 광학적 특성 및 화학적 특성을 포함한 기본적 특성을 중심으로 황화아연의 응용분야에 대한 국내외 특허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현재의 기술 현황 및 동향을 파악하고 객관적인 특허 동향 분석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국내 황화아연 응용기술 분야의 관련 연구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특허정보를 활용한 기술 동향 분석 작업은 기존에 수행되었던 관련 기술의 연구 내용과 수준을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근 기술개발 추이에 맞추어 향후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연구 개발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화아연이 발광다이오드, 바이오 소재 및 바이오 장치 등 다양한 곳에서 활용되는 이유는? 황화아연(zinc sulfide, ZnS)은 II-VI 반도체 화합물 소재의 일종으로, 다양한 기본적 특성과 독특한 광학적 및 화학적 적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s), 전기장 발광(electroluminescence), 적외선 윈도우(infrared window), 센서, 레이저, 바이오 소재 및 바이오 장치 등에 활용되고 있는 물질이다. 1) 황화아연의 원자구조 및 화학적 특성은 산화아연(zinc oxide, ZnO)와 비슷하지만 보다 특이하고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황화아연의 밴드갭은 무엇인가? 1) 황화아연의 원자구조 및 화학적 특성은 산화아연(zinc oxide, ZnO)와 비슷하지만 보다 특이하고 유용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2-6) 황화아연의 밴드갭(bandgap)은 3. 72~3. 77 eV로서 산화아연의 밴드갭(3. 4 eV)에 비해 높으므로 자외선(UV)을 이용하는 센서나 광 검지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원화합물(binary compounds)이기 때문에 격자 결합을 갖기 쉽고, 결정구조의 변화에 따른 원자의 상대적 위치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적 성질이 달라지는 압전형 반도체(piezoelectric semiconductor)이다.
황화아연의 응용 기술과 관련된 특허의 주요 출원인은? 황화아연의 응용 기술과 관련된 특허는 1975년에 최초 출원이 이루어진 이후 꾸준히 출원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1990년대 이후로 지속적으로 출원 건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2000년대 중·후반을 기점으로 최대 출원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출원인을 살펴보면, Sumitomo Electric Industrial Co. , Ltd. , Raytheon Company, General Electric Company, SRU Biosystems Inc. , Sony, Hughes Aircraft Company,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 Ltd. , ASML Netherlands B. V. 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광학적 특성의 응용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방위산업과 관련된 출원인의 특허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X. Fang, T. Zhai, U. K. Gautam, L. Li, L. Wu, Y. Bando and D. Golberg, Prog. Mater. Sci., 56, 175 (2011). 

  2. W. L. Davidson, Phys. Rev., 74, 116 (1948). 

  3. J. Huang, Y. Yang, S. Xue, B. Yang, S. Liu and J. Shen, Appl. Phy. Lett., 70, 2335 (1997). 

  4. S. Okur, N. Uzar, N. Tekguzel, A. Erol and M. Arikan, Physica E, 44, 1103 (2012). 

  5. M. Bredol and J. Merichi, J. Mater. Sci., 33, 471 (1998). 

  6. P. Calandra, M. Goffredi and V. T. Liveri, Colloids Surf. A, 9, 160 (1999). 

  7. M. Y. Lu, J. Song, M. P. Lu, C. Y. Lee, L. J. Chen and Z. L. Wang, ACS Nano, 3, 357 (2009). 

  8. M. Bilge, S. Kart, H. H. Kart and T. Cagin, JAMME, 31, 29 (2008). 

  9. X. Fang, L. Wu and L. Hu, Adv. Mater., 23, 585 (2010). 

  10. B. Y. Geng, G. Z. Wang, Z. Jiang, T. Xie, S. H. Sun, G. W. Meng and L. D. Zhang, Appl. Phys. Lett., 82, 4791 (2003). 

  11. N. Karar, F. Singh and B. R. Mehta, J. Appl. Phys., 95, 656 (2004). 

  12. R. Z. Stodilka, J. L. Carson, K. Yu, M. B. Zaman, C. Li and D. Wilkinson, J. Phys. Chem., 113, 2580 (2009). 

  13. N. Liu, Y. Mu, Y. Chen, H. Sun, S. Han, M. Wang, H. Wang, Y. Li, Q. Xu, P. Huang and Z. Sun, Part. Fibre. Toxicol., 10, 37 (2013). 

  14. B. J. Swift and F. Baneyx, PLoS One, 10, e0124916 (2015). 

  15. J. P. Borah and K. C. Sarma, Acta. Physica. Polonica A, 114, 713 (2008). 

  16. Y. C. Zhu, Y. Bondo and D. F. Xue, Appl. Phys. Lett., 82, 1769 (2003). 

  17. P. Biswas, R. Senthil Kumar, P. Ramavath, V. Mahendar, G. V. N. Rao, U. S. Hareesh and R. Johnson, J. Alloy. Comp., 496, 273 (2010). 

  18. R. Zamiri, D. M. Tobaldi, H. A. Ahangar, A. Rebelo, M. P. Seabra, M. S. Belsleyc and J. M. Ferreira, RSC Adv., 4, 35383 (2014). 

  19. Y. Li and Y. Wu, J. Am. Ceram. Soc., 98, 2972 (2015). 

  20. W. G. Li, D. J. Li, T. B. Cheng and D. N. Fang, J. Mech., 31, 449 (2015). 

  21. Y. J. Yoo, K. S. Chang, S. W. Hong and Y. M. Song, Opt. Quant. Electron., 47, 1503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