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erry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의 수학교육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erry's Epistemological Development Scheme in Mathematics Education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6 no.4, 2016년, pp.683 - 700  

이규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이지현 (인천대학교) ,  최영기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위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의 설계를 목표로 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지식 및 앎의 본성에 관한 신념으로, 수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은 수학 교수학습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수학 수업에 대하여 교사로부터 문제풀이 방법을 전달받는 수동적 과정이라는 이원론적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erry의 발달도식을 재해석하여 수학교육에서의 인식론적 신념 발달도식을 제시하고,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을 유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으로 비평형 상황과 스캐폴딩을 제안하였다. 설계 기반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설계한 교수학습 방안을 미시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수학영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수실험을 분석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raditional teaching-learning in mathematics, which pursue only one correct answer, should be reexamined to cope with an age of uncertainty. In this research, Perry's epistemological development scheme was noticed as a theoretical approach to diagnose problems of dualistic mathematics lesson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Perry 발달도식의 재해석에 기반하여 인식론적 신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 방안을 논의하고, 수학영재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교수실험을 분석하여,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고려한 수학교육에 대해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수학 교수학습에서의 인식론적 신념의 중요성을 탐색하고, 인식론적 신념 발달을 교육 목표로 설정하여 학생들의 인식론적 신념을 발달시킬 수 있는 수학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들은 Perry의 발달도식을 수학 수업에 만연한 이원론적 패러다임(正答주의: right answerism)을 극복하기 위한 이론적 토대로 삼아, 학습ㆍ인지ㆍ앎ㆍ상황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해 설계 기반 연구 방법(Design-Based Research, DBR)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원론적 신념을 양산하는 수학 교수학습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기 위해, Perry의 발달도식을 수학교육에 적용하여 재해석하고,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을 유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였다. 연구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위해 설계 기반 연구를 활용하여 형성적 평가의 순환 과정을 거쳤다.
  • 그리고 인지적으로 비평형 상황에 놓여 있는 학습자는 학습 조력자의 도움(스캐폴딩)으로 현재 수준 이상의 지식의 구성할 수 있다(Vygotsky, 2009). 본 연구에서는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으로 비평형 상황과 스캐폴딩을 제안한다. <표 IV-2>는 위에서 언급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수학 교수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는 비평형 상황과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잠재적 발달영역에서 가능한 스캐폴딩을 거시적21)으로 기술한 것이다.
  • 이상과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정답 찾기와 문제풀이 절차의 암기에 치중하는 통상적인 수학 수업을 극복하기 위해 수학 교수학습에서 인식론적 신념을 조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논의는 인식론적 신념이라는 새로운 수학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는 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초보적인 단계에서 이원론적 관점은 수학적 지식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교과서 수학만이 수학적 지식의 전부가 아니며,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목표는 정보의 단순 재생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다.
  • 그리고 이원론적 관점으로 학습했던 음수의 연산규칙에 대하여 다수주의 및 맥락적 상대주의 관점의 스캐폴딩을 설정하여 교수실험을 수행하였다. 설계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이 음수의 연산규칙을 정당화하기 위하여 스스로 모델을 제기하고, 반박과 재반박의 정당화 과정을 거쳐 가정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보적인 단계에서 수학에 대한 이원론적 관점의 장단점은? 본 연구의 논의는 인식론적 신념이라는 새로운 수학교육 목표에 대한 관점전환의 계기를 마련하고,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한 수학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는 데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초보적인 단계에서 이원론적 관점은 수학적 지식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교과서 수학만이 수학적 지식의 전부가 아니며,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수학교육의 목표는 정보의 단순 재생 능력만으로는 부족하다. 지식 자본의 폭발적 성장과 변화의 흐름에 맞추어, 수학의 가치와 본질을 인식하고 지적 자율성 및 의미생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을 개선하기 위해 Perry의 발달도식을 반영하는 것은 의미 있는 접근이라고 생각된다.
Perry은 누구인가? Perry는 Piaget의 발생론적 인식론을 기반으로,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경험적으로 조사하여 개념화한 첫 연구자이다(Hofer, Pintrich, 1997). 그는 매 학년 말 대학생들과 실시한 인터뷰를 토대로, 대학생들의 사고 패턴과 가치관의 다양한 양상을 추적하였다.
수학을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이분법적인 지식이라 생각하는 것은 어떤 결과를 일으키는가? 학생들뿐만 아니라 많은 교사들도 수학을 의심의 여지가 없는 이분법적인 지식으로 생각하며, 수학학습은 유일한 정답을 찾는 것이라고 간주한다. 이러한 수학에 대한 신념은, 학생들의 아이디어에 대하여 정답과 오답 여부를 명확하게 판정하는 교사의 권위를 정당화하며, 교사 주도의 설명-연습-암기라는 전통적인 수학 교수학습 관행을 재생산한다(Muis, 2004; Schoenfeld, 1985, 1988;Stodolsky, 1985). 이와 같이 확실한 답이 있는 학문이라는 수학에 대한 신념은 수학 학습에서 주요 불안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어 왔다(Ernest,1985; Garofalo, 1989; Schoenfeld,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김동엽. (2001). 문제중심 수업과 지시적 수업이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따라 수업의 유의미성 지각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선희. (2014).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포럼연극 수업설계 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홍진. (2008). 대학생의 인지발달과 예술교육에 대한 연구-Perry의 이론을 중심으로, 기초조형학연구, 9(2), 265-272. 

  4. 류희찬 외. (2012). 중학교 수학 1, 서울: 천재교육 

  5. 우정호, 최병철(2007). 음수 개념의 이해에 대한 교수학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7(1), 1-31. 

  6. 유윤재(2007). 중등수학교재연구, 서울: 경문사. 

  7. 이민형. (2016). 가치 논제 토론 수업을 위한 설계 기반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이상수, 강정찬, & 황주연. (2006). 효과적인 비계설정을 위한 수업설계모형.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3), 149-175. 

  9. 장선영, & 이명규. (2012). 웹기반 프로젝트중심 학습 환경에서 과제해결능력을 촉진시키는 스캐폴딩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8(2), 371-408. 

  10. Alvermann, Gaoyin Qian, & Donna E. (2000). Relationship between epistemological beliefs and conceptual change learning, Reading & Writing Quarterly, 16(1), 59-74. 

  11. Berk, L. E., & Winsler, A. (1995).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Volume 7.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509 16th Street, NW, Washington, DC 20036-1426(NAEYC catalog# 146). 

  12. Buehl, M. M. (2003). At the crossroads of epistemology and motivation: Modeling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s' domain-specific epistemological beliefs, achievement motivation, and task performance. 

  13. Copes, L. (1982). The Perry development scheme: A metaphor for learning and teaching mathematic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3(1), 38-44. 

  14. Ernest, P. (1985).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16(5), 603-612. 

  15. Finster, D. C. (1991). Developmental instruction: Part II. Application of the Perry model to general chemistry, J. Chem. Educ, 68(9), 752. 

  16. Frank, M. L. (1988). Problem solving and mathematical beliefs, Arithmetic Teacher, 35, 32-34. 

  17. Gallagher, S. A. (1998). The road to critical thinking: The Perry scheme and meaningful differentiation. NASSP Bulletin, 82(595), 12-20. 

  18. Garofalo, J. (1989). Beliefs and their influence on mathematical performance, Mathematics Teacher, 82, 502-505. 

  19. Gelfand, I. M., Shen, A.(1995). Algebra, Birkhauser Boston (1995, Second Printing): Cambridge, Mass. 

  20. Hallett, D., Chandler, M. J., & Krettenauer, T. (2002). Disentangling the course of epistemic development: Parsing knowledge by epistemic content. New Ideas in Psychology, 20(2), 285-307. 

  21. Hofer, B. K., & Pintrich, P. R. (1997). The development of epistemological theories: Beliefs about knowledge and knowing and their relation to learning,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7, 88-140. 

  22. Hofer, B. K. (2001). Personal epistemology research: Implications for learning and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4), 353-383. 

  23. Kardash, C. M., & Howell, K. L. (2000). Effects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opic-specific beliefs on undergraduates' cognitive and strategic processing of dual-positional tex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3), 524. 

  24. King, P. M. (1977). The development of reflective judgment and formal operational thinking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38, 7233A. 

  25. Kloss, R. J. (1994). A nudge is best: Helping students through the Perry scheme of intellectual development. College Teaching, 42(4), 151-158. 

  26. Muis, K. R. (2004). Personal epistemology and mathematics: A critical review and synthesis of research,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4(3), 317-377. 

  27. Myers, S. A. (2010). Using the Perry Scheme to explore college student classroom participation, Communication Research Reports, 27(2), 123-130. 

  28. Nieveen, N. (1999). Prototyping to reach product quality. Design approaches and tools in education and training, pp. 125-135. 

  29. Pajares, M. F. (1992). Teachers' beliefs and educational research: Cleaning up a messy construct.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07-332. 

  30. Perry, W. G., Jr. (1968). Patterns of development in thought and values of students in a liberal arts college: A validation of a scheme. Cambridge, MA: Bureau of Study Counsel, Harvard Universit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024315) 

  31. Perry, W. G., Jr. (1970). Forms of intellectual and ethical development in the college years: A scheme.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32. Perry, W. G. (1985). Different worlds in the same classroom: Students' evolution in their vision of knowledge and their expectations of teachers, On teaching and learning, 1(1), 1-17. 

  33. Perry, W., & Chickering, A. (1997). Cognitive and ethical growth: The making of meaning. College student development and academic life, 4, 48-116. 

  34. Piaget, J. (1980). Experiments in contradic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5. Plomp, T., & Nieveen, N. (2007, November). An introduction to educational design research. In Proceedings of the Seminar Conducted at the East China Normal University [Z]. Shanghai: SLO-Netherlands Institute for Curriculum Development. 

  36. Reinking, D., & Bradley, B. A. (2008). On formative and design experiments: Approaches to language and literacy research (Vol. 3). Teachers College Pr. 

  37. Richey, R. C., & Klein, J. D. (2012). 교육공학연구를 위한 설계.개발 연구. (정현미, 김광수 역). 서울: 학지사. (원저 2007년 출판) 

  38. Roberts, D. R., & Langer, J. A. (1991). Supporting the process of literary understanding: Analysis of a classroom discussion. Center for the Learning and Teaching of Literature, University at Alba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39. Schoenfeld, A. H. (1985).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Orlando, FL: Academic Press. 

  40. Schoenfeld, A. H. (1988). When good teaching leads to bad results: The disasters of 'well-taught' mathematics courses, Educational psychologist 23(2), 145-166. 

  41. Schoenfeld, A. H. (1989). Explorations of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and behavior,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8-355. 

  42. Schommer, M. (1990). Effects of beliefs about the nature of knowledge on comprehens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498-504. 

  43. Schommer, M. (1994). An emerging conceptualization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their role in learning. In R. Garner & P. A. Alexander (Eds.), Beliefs about text and instruction with text (25-40). Hillsdale, NJ: Erlbaum. 

  44. Schommer, M. (1998). The influence of age and education on epistemological belief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8(4), 551-562. 

  45. Schommer-Aikins, M. (2004). Explaining the epistemological belief system: Introducing the embedded systemic model and coordinated research approach, Educational psychologist, 39(1), 19-29. 

  46. Stodolsky, S. S. (1985). Telling math: Origins of math aversion and anxiety, Educational Psychologist, 20, 125-133. 

  47. Thoma, G. A. (1993). The Perry framework and tactics for teaching critical thinking in economics, The Journal of Economic Education, 24(2), 128-136. 

  48. Thomas, J. A. (2008). Reviving Perry: An analysis of epistemological change by gender and ethnicity among gifted high school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52(1), 87-98. 

  49. Van den Akker, J., Gravemeijer, K., McKenney, S., & Nieveen, N. (Eds.). (2006). Educational design research. Routledge. 

  50. Vygotsky, L. S. (2009). 마인드 인 소사이어티. (정회욱 역), 서울: 학이시습. (원저 1978년 출판). 

  51. Wadsworth, B. J. (1996). Piaget's theory of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Foundations of constructivism. Longman Publishing. 

  52. Wood, D., Bruner, J. S., & Ross, G. (1976).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2), 89-100. 

  53. White, O. L. (2007). An investigation into the utilization of a constructivist teaching strategy to improv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geological content knowledge: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intellectual level and content understanding?. ProQues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