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PS-X 기반 모델링에 의한 강변사업소 처리효율 분석 및 반류수 처리 공정 설계
GPS-X Based Modeling on the Process of Gang-byeon Sewage Treatment Plant and Design of Recycle Water Treatment Proces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11, 2016년, pp.1493 - 1498  

신춘환 (동서대학교 에너지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iciencies of Gang-Byeon sewage treatment facilities, which are based on GPS-X modelling, were analysed and used to design recycle water treatment processes. The effluent of an aeration tank contained total kjeldahl nitrogen (TKN) of 1.8 mg/L with both C-1 and C-2 conditions, confirming that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TKN이 1,500 mg/L의 고농도로 유지되어도 10℃이하의 동절기에서는 질산화율이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에 무산소/호기조의 용량을 증가시켜 HRT를 상승시키는 동절기용 단위 반응조를 설치하여 질산화 및 탈질 효율 상승을 위한 질산화/무산소/ 탈질 반응조의 계절에 따른 탄력적 운전을 권장하고자 한다.
  • ,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수온저하에 따른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TKN 농도를 높게 설정하여 모델링하였다. Table 5에 나타낸 모델링 결과에서 보면 TKN을 1,500 mg/L로 고정시키고 BOD를 2,000, 2,500, 3,000 mg/L로 변화 시켰을 때 유출수의 T-N이 각각 892, 687.
  • 이에 부산시에서는 안정적인 T-N처리를 위한 방안으로 기존 시설을 modified ludzak ettinger (MLE) 공정으로 전환하여 반류수의 질소부하를 줄이기 위한 처리 공정 설치를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반류수처리 공정의 설계 및 운전 조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GPS-X 기반의 모델링을 통해서 시설용량 및 운전조건의 적정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4 g/m3로 유지되었기 때문에 무산소 및 포기조의 용량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0℃이하에서는 TKN이 1,500 g/m3의 고농도로 유지 된다고 하여도 동절기를 제외한 기간에서는 유출수의 TN이 C-1 조건에서 445.3 g/m3, C-2조건에서 293.8 g/m3과 비교하면 같은 BOD조건에서 각각 892.0 g/m3, 687.9 g/m3 로 나타나 Fig. 2의 하늘색과 파란색 그래프에서 확인 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절기의 질산화율이 급격히 떨어졌기 때문에 유입 유기물 농도가 일정한 경우에는 무산소/호기조의 용량을 증가시켜 HRT를 상승시키는 동절기용 단위 반응조를 설치하여 질산화 및 탈질 효율 상승을 위한 질산화/무산소/ 탈질 반응조의 계절에 따른 탄력적 운전을 권장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부분의 하·폐수 처리시설에서 사용하는 생물학적 독립영양질산화/종속영양탈질을 응용한 공법의 문제점은? 국내 대부분의 하·폐수 처리시설은 질소 제거를 위한 공정으로 생물학적 독립영양질산화/종속영양탈질을 응용한 공법을 시행하고 있으나 국내 하수는 낮은 C/N비 때문에 과다한 산소와 외부 탄소원이 추가적으로 요구되어 운전비용이 고가이며 유기물 양이 과다하거나 부족할 때 각각 유출수 오염과 아질산성 질소의 축적을 초래하기도 한다(Rittmann and McCarty, 2001). 또한 소화상징액, 농축상징액 및 탈리여액으로 구분되는 반류수는 발생 공정에 따라 C/N비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공통적으로는 T-N 농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하수처리공정의 단위 공정으로 반송되어 유입될 경우에는 T-N농도 부하가 상승되는 요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C/N비가 낮은 합류식 하수관거 유입수로 인하여 T-N제거에 저해요소로 작용하고 있다(Geroge et al.
부산시에서는 T-N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을 추진했는가? 특히 부산 강변하수처리장의 경우, 강우시 우수가 전량 생물반응조로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에 강우량이 20 mm/h를 초과한 경우에는 설계유량을 초과하는 일수가 많아지는 영향으로 인하여 수질농도가 낮아지게 되고 이는 C/N비를 낮추어 T-N 제거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부산시에서는 안정적인 T-N처리를 위한 방안으로 기존 시설을 modified ludzak ettinger (MLE) 공정으로 전환하여 반류수의 질소부하를 줄이기 위한 처리 공정 설치를 추진 중에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반류수처리 공정의 설계 및 운전 조건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GPS-X 기반의 모델링을 통해서 시설용량 및 운전조건의 적정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하·폐수를 적절한 처리 없이 그대로 방류했을 때의 문제점은? 급속한 산업 발전과 인구증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포함한 하·폐수 발생량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런 하·폐수를 적절한 처리 없이 그대로 자연수계로 방류할 경우 수계수질을 악화시키는 등 심각한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또한 세계 기후변화에 따른 물과 에너지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국내 각 하수처리장은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는 기술을 적용하거나 운전 방법 개선을 통해 처리효율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는 것이 절실하다 (Gude, 2016; O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BECO, 2015, Technical report, Analysis of process efficiency for the improvement of sewage treatment plant. 

  2. Geroge, T., Franklin, L. B., Stensel, H. D., 2003,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use - Edition 4th., Metaclf & Eddy Inc. 

  3. Gil, K. I., Lee, U. G., Rho, H. Y., 2008, A study on optimum HRT combination for efficient nitrogen removal at WWTP in winter days, Journal of Koreans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8, 165-169. 

  4. Gude, V. G., 2016, Wastewater treatment in microbial fuel cells - An overview,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122, 287-307. 

  5. Henze, M., Grady, C. P. L., Gujer, W., Marais, G. V. R., Matsuo, T., 1987, A general model for single-sludge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Water Res., 21, 505-515. 

  6. Henze, M., Gujer, W., Mino, T., Van Loosdrecht, M. C. M., 2000, Activated sludge models: ASM1, ASM2, ASM2D and ASM3 IWA Scientific and Technical No.9. IWA Publishing. 

  7.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2011, Sewage system standard(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Water and Wastewater Works Association, 28, 871-881. 

  8. Lee, J. S., Kim, J. W., 2013, Creative economy and water industry, Korea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Evaluation and Planning, Issue Paper 2013-07. 

  9. Nasr, M. S., Moustafa, M. A. E., Seii, H. A. E., Kobrosy, G. E., 2011, Modelling and simulation of German BIOGEST/EL-AGAMY wastewater treatment plants - Egypt using GPS-X simulator, Alexandria Engineering Journal, 50, 351-357. 

  10. Oh, S. T., Kim, J. R., Premier, G. C., Lee, T. H., Kim, C., Sloan, W. T., 2010, Sustainable wastewater treatment: How might microbial fuel cells contribute, Biotechnology Advances. 

  11. Phillips, H. M., Sahlstedt, K. E., Frank, K., Bratby, J., Brennan, W., Rogowski, S., Pier, D., Anderson, W., Mulas, M., Copp, J. B., Shirodkar, N., 2009, Waste-water treatment modelling in practice: A collaborative discussion of the state of the art, 59, 695-704. 

  12. Rittmann, B. E., McCarty, P. L., Environmental bio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2002, Mc Graw Hi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