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 번식하는 오목눈이의 둥지장소 선택과 서식지 이용 특성
Studies on the Nest site Selec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Long-tailed Tits Aegithalos caudatu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0 no.5, 2016년, pp.829 - 836  

백충열 (국립습지센터) ,  이진희 (전남대학교 생물학과) ,  노선호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  장경희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  조삼래 (공주대학교 생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오목눈이의 번식기에(2월에서 6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과 계룡산국립공원 그리고 월악산국립공원에서 수행하였다. 총 98개의 오목눈이 둥지를 조사결과 15종의 수목에 둥지를 만들었으며, 특별히 선호하는 나무의 수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나무의 수종을 생활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상록침엽교목과 낙엽활엽교목 그리고 낙엽활엽관목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상록침엽교목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에 의해 오목눈이의 둥지가 가려진 정도인 은폐도는 공주대학교 교내 및 인근지역이 $11.61{\pm}4.79%$(n=29)로 나타났으며, 계룡산국립공원은 $6.06{\pm}2.31%$(n=43), 월악산국립공원은 $4.38{\pm}2.19%$(n=26)로 나타났다. 지역별로 이웃한 오목눈이 둥지의 은폐도는 서로 비슷한 정도로 가려져 있었으나, 지역 간의 은폐도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목눈이 둥지의 보호색 정도를 살펴본 결과, 오목눈이 둥지주변 환경의 색 코드 값에서 오목눈이 둥지의 색 코드값을 뺀 평균은 $26.52{\pm}16.14$(n=32)로 나타났으며, 오목눈이의 둥지는 주변 환경에 따라서 보호색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목눈이 둥지의 영소목이 상록침엽교목이면 녹색의 이끼를 많이 물어와 둥지를 만드는 반면 관목이나 영소목이 균류 등에 의하여 노란색을 띠게 되면 마른이끼를 둥지 재료로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노란색을 띠는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and its neighboring area, Mt. Gyeryong national park and Mt. Worak national park in the breeding season of long-tailed tits Aegithalos caudaatus from 2008 to 2012. The result of the inquiry, the nests were found in 15 species of trees, and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오목눈이의 둥지 선택 장소를 파악하고, 외부로부터 둥지가 얼마나 가려져 있는지의 은폐도를 알아보고, 오목눈이의 둥지가 얼마나 보호색을 띠고 있는지 알아봄으로서 이들의 서식환경 구조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오목눈이의 둥지장소 특성으로 오목눈이의 둥지가 둥지 주변과 얼마만큼 잘 조화를 이루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며, 이를 둥지의 보호색이라고 하였다. 오목눈이 둥지의 은폐도를 조사하면서 찍은 사진을 Photoshop CS4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둥지의 색과 주변 환경의 색을 분석하여 그 유사도로 둥지의 보호색 정도를 판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야생동물이 서식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에는 무엇이 있는가? 야생동물이 서식하기 위해서는 먹이를 먹는 장소, 둥지, 잠자리, 피난처, 목욕을 위한 물, 모래 및 진흙이 있는 장소, 구애장소 등 다양한 형태의 장소 즉, 공간들이 필요하다. 이러한 다양한 서식지 구성요소들이 공간적으로 잘 배치되어 있어야 야생동물의 안정적이고 정상적인 서식이 가능하다(Korean Landscape ecology society, 2001; Rhim, 2002).
둥지장소 선택에 있어 둥지 포식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또한 식생은 포식자 및 극한의 기상조건으로부터 둥지를 보호하는 기능을 하므로 모든 조류들의 둥지장소 선택에서 중요한 요인이 된다(Partridge, 1978; Wray and Whitmore, 1979; Burger and Gochfeld, 1986; Kim, 2007). 특히 서식지 유형과 둥지의 은폐도는 둥지 포식율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꼭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다(Caccamise, 1977; Murphy, 1983; Collias and Collias, 1984; Martin, 1993; Kelly, 1993; Baek, 2012). 둥지의 은폐도는 식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Pampush and Anthony, 1993), 이는 산림에서 번식하는 소형 참새목 조류에서도 크게 영향을 미치고, 상대적으로 노출된 둥지는 포식율이 높게 나타 날 것으로 예상된다.
둥지장소 선택에 있어 둥지 포식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조류의 둥지 선택 과정을 살펴보면 둥지의 고도, 지상에서의 높이(Cody, 1985; Furness and Monaghan, 1987), 식생(Burger and Shisler, 1980; Richards and Morris, 1984; Good, 2002), 취식장소와의 접근성(Pezzo et al., 2001) 및 이웃 둥지와의 거리(Burger and Shisler, 1980; Furness and Monaghan, 1987; Schreiber and Burger, 2001) 등을 고려하며, 이러한 특성들이 번식 성공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rycz et al., 1981; Powell,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recht, T., D. Horak, J. Kreisinger, K. Weidinger, P. Klvana and T.C. Michot(2006) Factors determining pochard nest predation along a wetland gradient. Journal of Wildlife Management 70. pp.784-791. 

  2. Baek, C.R., J.H. Yi, K.S. Yeom, S.H. No, S.D. Lee and S.R. Cho(2011) Breeding Success In Different Habitats and Breeding Ecology of Long-tailed Tit Aegithalos caudatus. Kor. J. Orni. Vol. 18. pp.285-296. 

  3. Baek, C.R.(2012) Studies on the Breeding Ecology and Characteristics of Habitat Use of Long-tailed Tits Aegithalos caudatus magnus in Korea. Ph. D. Dissertation, Kongju University, G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Batary, P. and A. Baldi(2005)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of real and artificial great reed warbler's nests. Biologia (Bratislava) 60:215-219. 

  5. Buckley, F.G. and P.A. Buckley(1980) Habitat selection and marine birds. In: Behav Mar Anim. Springer. pp. 69-112. 

  6. Burger, J.(1980) Nesting adaptations of Herring Gulls (Larus argentatus) to salt marshes, and storm tides. Biol. Behav. 5: 147-162. 

  7. Burger, J. and J. Shisler(1980) Colony and nest site selection in Laughing Gull in response to tidal flooding. Condor 82: 251-258. 

  8. Burger, J. and M. Gochfeld(1986) Nest site selection in Sooty Terns (Sterna fuscata) in Puerto Rico and Hawaii. Colon. Waterbirds 9: 31-45. 

  9. Caccamise, D.F.(1977) Breeding success and nest site characteristics of the Red-winged Blackbird. Wilson Bull:396-403. 

  10. Cody, M.L.(1985) An introduction to habitat selection in birds. In: Habitat selection in birds (M. L. Cody, ed). Academic Press, Toronto, pp. 3-56. 

  11. Collias, N.E. and E.C. Collias(1984) Nest building and bird behavi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New Jersey. 

  12. Drycz, A., J. Witkowski and J. Okulewicz(1981) Nesting of 'timid' waders in the vicinity of 'bold' ones as an antipredator adaptation. Ibis 123: 542-545. 

  13. Furness, R.W. and P. Monaghan(1987) Seabird Ecology. Blackie. New York. 

  14. Good, T.P.(2002) Breeding success in the western Gull $\times$ Glaucous winged Gull complex: the influence of habitat and nest-site characteristics. Condor 104: 353-365. 

  15. Jung, J.W., J.H. Hee, K.S. Youm, C.Y. Baek and S.R. Cho (2015) Nest Site Selection and Factors Affecting Hatching Success of Common Moorhens (Gallinula chloropus) at Yu-gu stream, Soutn Korea. Kor. J. Orni. Vol. 22, No. 1: 31-40. 

  16. Kelly, J.P.(1993) The effect of nest predation on habitat selection by Dusky Flycatchers in limber pine-juniper woodland. Condor:83-93. 

  17. Kim, J.H.(2007) Studies on Some Aspects of Breeding Ecology of Little Terns Sterna albifrons at Ganwol Lake, Korea, Ph. D.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orean Landscape ecology society(2001) Landscape ecology. Dong-Wha technology. Seoul. (in Korean) 

  19. Martin, T.E.(1993) Nest predation among vegetation layers and habitat types: revising the dogmas. Am. Nat. 141: 897-913. 

  20. Murphy, M.T.(1983) Nest success and nesting habits of Eastern Kingbirds and other flycatchers. Condor.:208-219. 

  21. Ollason, J.C. and G.M. Dunnet. 1978. Age, experience and other factors affecting the breeding success of the fulmar, Fulmarus glacialis, in Orkney. Journal of Animal Ecology 47(3): 961-976. 

  22. Pampush, G.J. and R.G. Anthony(1993) Nest success, habitat utilization and nest-site selection of Long-billed Curlews in the Columbia Basin, Oregon. Condor. 95: 957-967. 

  23. Partridge, L.(1978) Habitat selection. In: Behavioural ecology: an evolutionary approach (J. R. Krebs and N. B. Davies, eds). Sinauer, Sunderland, Massachusetts, pp. 351-376. 

  24. Pezzo, F., S. Olmastroni, S. Corsolini and S. Focardi(2001) Factors affecting the breeding success of the south polar skua Catharacta maccormicki at Edmonson Point, Victoria Land, Antarctica. Polar Biol. 24: 389-393. 

  25. Powell, A.N.(2001) Habitat characteristics and nest success of Snowy Plovers associated with California Least Tern colonies. Condor 103: 785-792. 

  26. Polak, M.(2007) Nest-site selection and nest predation in the Great Bittern Botaurus stellaris population in Eastern Poland. Ardea 95(1):31-38. 

  27. Rhim, S.J.(2002) Characteristics of distribution, behavior ecology and habitat use of hazel grouse Tetrastes bonasia in Korea. Ph. D.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Richards, M.H. and R.D. Morris(1984) An experimental study of nest site selection in Common Terns. J. Field Ornithol. 55: 457-466. 

  29. Schreiber, E.A. and J. Burger(2001) Biology of Marine Birds. Boca Raton, FL:CRC Press. 

  30. Wray, T. and R. C. Whitmore(1979) Effects of vegetation on nesting success of vesper sparrows. Auk. 96: 802-805. 

  31. Won, B.O.(1981).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flora and fauna (25 volumes: bird fauna). Education ministries. pp. 944-94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