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누리장나무 꽃의 배당체 성분
Glycosides from the Flower of Clerodendrum trichotomum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7 no.4, 2016년, pp.301 - 306  

이종욱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  배종진 (우석대학교 한약학과) ,  곽종환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ur phenylpropanoid glycosides and a monoterpene glycoside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 of Clerodendrum trichotomum. Structures of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acteoside (1), martynoside (2), leucosceptoside A (3), isoacteoside (4) and neohancoside A (5) by spectroscopic analysis.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물화학적 성분과 약리 활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누리장나무 꽃의 함유 성분과 그 효능을 밝히기 위해 연구를 진행하였고 먼저 7종의 flavonoid 성분과 항산화 효능을 보고하였다.21) 계속적으로 성분 및 효능을 규명하기 위해 누리장나무 꽃 MeOH 추출물의 EtOAc 분획을 대상으로 silica gel, Sephadex LH-20 및 RP-18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고, 일부 분획은 HPLC 또는 recycling HPLC에 적용하여 5종의 배당체 성분을 분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누리장나무의 꽃의 효능은? )는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이나 계곡 또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백색의 꽃은 취 산화서로 새가지 끝에 달리며, 둥근 열매는 벽색으로 익고 적색의 꽃받침으로 싸여있다가 나타나며 꽃과 열매는 관상학적인 가치가 있어 조경수로 심기도 한다.1,2) 누리장나무의 꽃은 취오동화(臭梧桐花)라고 하며 거풍, 강압, 지리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풍기두통, 고혈압병, 이질, 산기(疝氣)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취오동(臭梧桐)이라고 하는 어린 가지와 잎은 거풍제습, 평간강압, 해독살충을 효능으로 각종 질환의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3)
누리장나무란? 마편초과(Verbenaceae)의 누리장나무(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는 강원도 및 황해도 이남의 산기슭이나 계곡 또는 바닷가에서 자라는 낙엽관목으로서 백색의 꽃은 취 산화서로 새가지 끝에 달리며, 둥근 열매는 벽색으로 익고 적색의 꽃받침으로 싸여있다가 나타나며 꽃과 열매는 관상학적인 가치가 있어 조경수로 심기도 한다.1,2) 누리장나무의 꽃은 취오동화(臭梧桐花)라고 하며 거풍, 강압, 지리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풍기두통, 고혈압병, 이질, 산기(疝氣)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고, 취오동(臭梧桐)이라고 하는 어린 가지와 잎은 거풍제습, 평간강압, 해독살충을 효능으로 각종 질환의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누리장나무의 식물화학적 성분연구에서 보고된 화합물들의 효능연구에서 어떠한 것이 보고되었는가? 누리장나무의 식물화학적 성분연구는 줄기와 뿌리, 잎에서 주로 diterpenoid3-6)와 phenylpropanoid glycoside7-10)가 분리되었고 또한, flavonoid,11-14) alkaloid15-17) 및 steroid18,19) 등의 화합물이 보고되었다. 누리장나무의 추출물 및 그 함유성분의 효능연구에서는 항산화, 항고혈압, 진통, 진정, 항암, 항균작용 등의 다양한 약리활성이 보고되었다.3,5) 누리 장나무 꽃의 식물화학적 및 약리활성 연구는 현재까지 휘발성물질에 관한 GC-MS분석20)과 flavonoid 7종의 분리 확인21)이 전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110. 향문사, 서울. 

  2.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집식물도감, 299. 아카데미서적, 서울. 

  3. 국가중위약관리국 중화본초편위회 (1999) 중화본초 6: 576-579. 상해과학기술출판사, 상해. 

  4. Li, L.-Z., Wang, M.-H., Sun, J.-B. and Liang, J.-Y. (2014) Abietane diterpenoids and other constituents from Clerodendrum trichotomum. Biochem. Syst. Ecol. 56: 218-220. 

  5. Wang, W.-X., Xiong, J., Tang, Y., Zhu, J.-J., Li, M., Zhao, Y., Yang, G.-X., Xia, G. and Hu, J.-F. (2013) Rearranged abietane diterpenoids from the roots of Clerodendrum trichotomum and their cytotoxicities against human tumor cells. Phytochemistry 89: 89-95. 

  6. Kawai, K., Nishida, R. and Fukami, H. (1999) Clerodendrin I, a New Neoclerodane Diterpenoid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Biosci. Biotechnol. Biochem. 63: 1795-1797. 

  7. Kim, H. J., Woo, E.-R., Shin, C.-G., Hwang, D. J., Park, H. and Lee, Y. S. (2001) HIV-1 integrase inhibitory phenylpropanoid glycosides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Arch. Pharm. Res. 24: 286-291. 

  8. Nagao, T., Abe, F. and Okabe, H. (2001) Antiproliferative constituents in the plants 7. Leaves of Clerodendron bungei and leaves and bark of C. trichotomum. Biol. Pharm. Bull. 24: 1338-1341. 

  9. Chae, S., Kang, K. A., Kim, J. S., Hyun, J. W. and Kang S. S. (2006) Trichotomoside: a new antioxidative phenylpropanoid glycoside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Chem. Biodivers. 3: 41-48. 

  10. Chae, S., Kang, K. A., Kim, J. S., Kim, H. K., Lee, E. J., Hyun, J. W. and Kang, S. S. (2007) Antioxidant activities of acetylmartynosides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J. Appl. Biol. Chem. 50: 270-274. 

  11. Masateru, O., Chisato, F., Kana, M., Sayuri, N., Shin, Y., Masafumi, O., Junei, K., Masashi, E., Koki, Y., Hitoshi, Y. and Toshihiro, N. (2013) A new diterpenoid from the leave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J. Nat. Med. 67: 404-409. 

  12. Min, Y. S., Yim, S. H., Bai, K. L., Choi, H. J., Jeong, H. J., Park, S. Y., Ham, I., Wahng, W. K. and Sohn, U. D. (2005) The effects of apigenin-7-O- $\beta$ -D-glucuronopyranoside on reflux oesophagitis and gastritis in rats. Autonomic & Autacoid Pharmacology 25: 85-97. 

  13. Chen, Z. N., Xu, P. J. and Yao, T. R. (1989) Structure of clerodendrin isolated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Waoxue Xuebao 23: 789-791. 

  14. Masayoshi, O., Hisakatsu, H., Nobusuke, K., Isao, M. and Zenzo T. (1971)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III. A new glycoside, acacetin-7-glucurono( 1 $\rightarrow$ 2)-glucuronide from the leaves. Chem. Pharm. Bull. 19: 148-152. 

  15. Iwadare, S., Shizuri, Y., Sasaki, K. and Hirata, Y. (1974) Isolation and structure of trichotomine and trichotomine G1. Tetrahedron 30: 23-24. 

  16. Toyoda, Y., Kumagai, H., Irikawa, H. and Okumura Y. (1982) Isolation of four indolizino(8,7-b)indole-5-carboxylic acids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Chem. Lett. 6: 903-906. 

  17. Irikawa, H., Toyoda, Y., Kumagai, H. and Okumura Y. (1989) Isolation of four 2,3,5,6,11,11b-hexahydro-3-oxo-1H-indolizino[ 8,7-b]indole-5-carboxylic acids from Clerodendron trichotomum Thunb. and properties of their derivatives. Bull. Chem. Soc. Jpn. 62: 880-887. 

  18. Xu, R.-L., Wang, R., Ding, L. and Shi, Y.-P. (2013) New cytotoxic steroids from the leaves of Clerodendrum trichotomum. Steroids 78: 711-716. 

  19. Bolger, L. M., Rees, H. H., Ghisalberti, E. L., Goad, L. J. and Goodwin, T. W. (1970) Isolation of two new sterols from Clerodendrum campbellii. Tetrahedron Lett. 35: 3043-3046. 

  20. Tian, P., Li, C., Wang, J. and Kang, W. (2011) Analysis on volatiles in Clerodendrum trichotomum Thunb. by headspace solid phase micro-extraction coupled with GC-MS. Tianran Chanwu Yanjiu Yu Kaifa 23: 1077-1079. 

  21. Lee, J.-W., Kang, S. C., Bae, J. J., Lee K. B. and Kwak J. H. (2015) Flavonoids from the flower of Clerodendrum trichotomum. Kor. J. Pharmacogn. 46: 289-294. 

  22. Yoshida, T., Mori, K., Hatano, T., Okumura, T., Uehara, I., Komagoe, K., Fujita, Y. and Okuda T. (1989) Studies on inhibition mechanism of autoxidation by tannins and flavonoids. V. Radical scavenging effects of tannins and related polyphenol on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Chem. Pharm. Bull. 37: 1919- 1921. 

  23. Cao, G., Sofic E. and Prior, R. L. (1997) Antioxidant and prooxidant behaviour of flavonoids: structure activity relationships. Free Radical Bio. Med. 22: 749-760. 

  24. Wu, Y.-T., Lin, L.-C., Sung, J.-S. and Tsai, T.-H. (2006) Determination of acteoside in Cistanche deserticola and Boschniakia rossica and its pharmacokinetics in freely-moving rats using LC-MS/MS. J. Chromatogr. B 844: 89-95. 

  25. Calis, I., Lahloub, M. F., Rogenmoser E. and Sticher, O. (1984) Isomartynoside, a phenylpropanoid glycoside from Galeopsis pubescens. Phytochemistry 23: 2313-2315. 

  26. Miyase, T., Koizumi, A., Ueno, A., Noro, T., Kuroyanagi, M., Fukushima, S., Akiyama, Y. and Takemoto, T. (1982) Studies on the acyl glycosides from Leucoseptrum japonicum (MIQ.) Kitamura et Murata. Chem. Pharm. Bull. 20: 2732-2737. 

  27. Konda, Y., Toda, Y., Harigaya, Y., Lou, H., Li, X. and Onda, M. (1992) Two new glycosides, hancoside and neohancoside A, from Cynanchum hancockianum. J. Nat. Prod. 55: 1447-1453. 

  28. Guo, W., Hosoi, R., Sakata, K., Watanabe, N., Yagi, A., Ina, K. and Luo, S. (1994) (S)-Linalyl, 2-phenylethyl, and benzyl disaccharide glycosides isolated as aroma precursor from Oolong tea leaves. Biosci. Biotech. Biochem. 58: 1532-1534. 

  29. Matsumura, S., Takahashi, S., Nishkitani, M., Kubota, K. and Kobayashi, A. (1997) The role of diglycosides as tea aroma precursors: synthesis of tea diglycosides and specificity of glycosidases in tea leaves. J. Agric. Food. Chem. 45: 2674-2678. 

  30. Kar, P., Goyal, A. K., Das, A. P. and Sen, A. (2014) Antioxidant and pharmaceutical potential of Clerodendrum L.: An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Green Pharmacy 8: 210-2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