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PLC-DAD를 이용한 불환금정기산의 다성분 동시분석법 개발
Development of an UPLC-DAD Method for Simultaneous Analysis of Eight Marker Compounds of Bulhwangeumjeonggi-san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7 no.4, 2016년, pp.366 - 373  

이경희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라미차네 라마칸타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서르마 디박 쿠마르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판데야 프라카스 라즈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  김세건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정현주 (원광대학교 약학대학 한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lhwangeumjeonggisan (BHGJGS) is a traditional herbal formulation generally used in the treatment of cold and gastritis. BHGJGS consists of eight herbal plants; Atractylodis Rhizoma, Magnoliae Cortex, Citri Pericarpium, Glycyrrhizae Radix, Agastachis Herba, Pinelliae Rhizoma, Zingiberis Rhizoma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8) 진피 및 감초는 한약제제에 널리 쓰이는 약재들 중 하나로 수많은 한약제제에 사용되기 때문에 이 두 가지 약재의 지표 성분만으로는 불환금정기산의 품질을 평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추를 제외한 불환금정기산 각각의 구성 약재마다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지표 성분을 설정하였다. UPLC-DAD를 사용하여 모든 지표 성분을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법을 개발하였고, 그 분석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직선성, 범위, 특이성, 정확성, 정밀성, 검출한계, 정량한계 등의 분석법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환금정기산이란?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은 소화제에 해당하는 평위산을 기본으로 하는 다빈도 처방이지만 소화불량, 식욕부진, 설사, 위염, 위하수 등 소화기 질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평위산과는 다르게 상한음증으로 인한 감기증세, 위장 질환 등을 치료할 목적으로 처방되고있다.3) 불환금정기산은 평위산의 구성 약재인 창출(蒼朮, Atractylodes lancea), 후박(厚朴, Machilus thunbergii), 진피(陳皮, Citrus unshiu),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에 곽향(藿香, Agastache rugosa), 반하(半夏, Pinellia ternata),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 대추(待秋, Ziziphus jujuba)를 추가한 처방이다.4) 현재까지 이루어진 불환금정기산에 대한 연구들은 위장 및 대장의 활동 촉진, 소화 촉진 등의 활성과 더불어 항알러지 활성을 나타낸다고 하였으나, 구성 성분 및 분석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불환금정기산 처방 범위는?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은 소화제에 해당하는 평위산을 기본으로 하는 다빈도 처방이지만 소화불량, 식욕부진, 설사, 위염, 위하수 등 소화기 질환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평위산과는 다르게 상한음증으로 인한 감기증세, 위장 질환 등을 치료할 목적으로 처방되고있다.3) 불환금정기산은 평위산의 구성 약재인 창출(蒼朮, Atractylodes lancea), 후박(厚朴, Machilus thunbergii), 진피(陳皮, Citrus unshiu), 감초(甘草, Glycyrrhiza uralensis)에 곽향(藿香, Agastache rugosa), 반하(半夏, Pinellia ternata), 생강(生薑, Zingiber officinale), 대추(待秋, Ziziphus jujuba)를 추가한 처방이다.
불환금정기산을 동시분석법을 통해 확인한 점은? 현재까지 식약처에서 지정한 불환금정기산의 지표 성분으로 진피의 hesperidin과 감초의 glycyrrhizin만 지정되어있으므로 이 지표 성분만으로는 불환금정기산의 품질관리가 엄격히 진행될 수 없다고 판단되어 대추를 제외한 나머지 약재에서 각각 한 가지 이상의 지표 성분, 즉, guanosine, chlorogenic acid, rosmarinic acid, 6-gingerol, honokiol, magnolol의 총 6종을 추가로 설정하여 총 8개의 지표 성분에 대한 동시분석법을 개발하고, 분석법의 밸리데이션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불환금정기산 시료에 설정한 지표성분이 정확히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발한 분석법의 정확성, 정밀성, 직선성 등을 확인하여 불환금정기산의 품질평가에 매우 유용한 분석법임을 확인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김성조, 정두채, 권기태, 김용우, 윤상헌, 이중근, 김은주 (2001) 다빈도한약재 소비형태 및 가격구조 실태조사 연구. 32-37.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원. 

  2. 조재국, 김남순, 도세록, 이연희, 윤강재, 박진한, 장동현, 천재영, 김화영, 이난희, 유형석, 서성우 (2011) 한방의료이용 및 한약소비 실태조사. 87-136.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 

  3. 허준, 현대성인병예방연구회 (1993) 동의보감. 682. 민중서원, 서울 

  4. 황도연, 남산당편집국 (1992) 증맥 방약합편. 140. 남산당, 서울. 

  5. Im, S. U. (1990) An experimental research of the efficancy of Boolwhangumjeonggisan. J. Int. Korean Med. 11: 15-27. 

  6. Huh, I. M. (1990) Experimental studies on the efficacy of Pyungwee-san, Hyang-sapyungwee-san and Bulwhangumchungglsan. 경희한의대논문집. 13: 427-461 

  7. Lim, K. M. (2006) Effect of Bulhwangeumjeonggi-san on cytokine levels of muse Th1/Th2 cells and anti-allergic activity in Ovalbumin-sensitized allergic inflammation model.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 1467-1476. 

  8. 식품의약품안전처 (2012)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 제4개정. 1077-1078.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원. 

  9. 식품의약품안전처 (2012) 의약품등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가이드라인. 5-15.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원. 

  10. 식품의약품안전처 (2010) 생약(한약)제제의 성분 프로파일 설정 가이드라인. 9-23. 식품의약품안전처. 청원. 

  11. Kim, H. G., Kim, Y. A, Cheon, J. M. and Go, B. S. (2003) Pattern analysis of Agastachis Herba and Pogostemonis Herba. Kor. J. Pharmacogn. 34: 274-277. 

  12. Jo, J. E., Lee, A Y., Kim, H. S., Moon, B. C., Choi, G. Y., Ji, Y. U. and Kim, H. K. (2013) Content Comparativ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for Piniellia ternate, P. pedatisecta and Typhonium flagelliforme by HPLC-PDA analysis. Kor. J. Herbology. 28: 95-101. 

  13. Im, D. S., You, S. C. and Chi, H. J. (1988) Phytochemical Study on the Rhizome of Atractylodes japonica from Korea. Kor. J. Pharmacogn. 19: 228-23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