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인구에 대한 서구의 기록과 연구물 고찰(1) -1800년대 중반부터 대한제국기까지-
A Review of Korean Population Geography Written by Westerners(1) : from the mid 1800s to the Great Han Empire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2 no.4, 2016년, pp.761 - 773  

이정섭 (경상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이 연구는 1800년대 중반부터 대한제국까지의 시간 범위에서 한반도를 관찰한 여러 서구인들의 기록들을 인구지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러 서구인들에 의한 기록 중에서 한반도 인구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약 20여 편의 문헌들을 찾았고, 둘째 해당 문헌에서 한반도 인구와 관련된 서술들을 확인하였는데, 주요 내용은 한반도 전체 인구수, 지역별 인구수, 분포, 밀도, 그리고 이동에 관한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당시 그들이 인구를 매개로 한반도와 그 위의 삶의 모습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는지를 해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views Korean population geographic documents and description by Westerners, from the mid 1800s to the Great Han Empir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 search and find about 20 literatures including the population contents. Second I trace their narration related Korean popu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리고 상당수 기록들은 경작지와 연계해서 인구분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남부 지역이 주요한 농업지역이고 따라서 인구 밀도가 높지만, 반대로 북부 지역은 아직 경작할 수 있는 미개척의 토지가 많이 남아 있기에 이 지역으로 향후 인구이동이 일어날 것을 짐작하기도 하였다.
  •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인 점도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이 연구는 180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대인구학의 시대라는 시간적 범위에서 첫째 한반도에 대한 서구인들이 작성한 한반도 인구 관련 기록물과 연구들을 발굴하고, 둘째 주요 연구대상, 주제 및 구체적 서술 내용들을 분석하고, 셋째 당시 그들이 어떻게 한반도와 그 위에서 펼쳐진 삶의 모습들을 이해, 인식, 판단하고 있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다만 이 연구에서는 우선 조선 후기, 개항,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까지에 먼저 초점을 맞추었다.
  • 다만 1910년 이후에 출판되었지만,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까지 인구를 기록한 문헌 일부도 이 연구에서는 포함하였다. 이를 토대로 각 기록물들 저자의 생애, 활동 및 저술의 목적을 간락히 살펴보고자 한다1).
  • 다만 이 연구에서는 우선 조선 후기, 개항, 개화기 및 대한제국기까지에 먼저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일제강점기, 광복, 한국전쟁으로 이어지는 시기에 대해서는 다음 연속 연구를 통해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Hulbert가 1906년 발간한 책은? 미국의 교육자이자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Hulbert(1863~1945)는 1906년 The Passing of Korea(대한제국 멸망사) 를 발간하였고, 선교사 Underwood(1859~1916)와 Gale(1863~1937)은 각각 1908년과 1909년에 The Call of Korea ,Transition in Korea(전환기의 한국) 을 발간하였다. 그런데 Hulbert의 책에서는 조선 중후기의 인구를 기록하였고, 대한제국 시기의 인구에 관한 기록은 Underwood와 Gale의 책에 비교적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Underwood(1859~1916)와 Gale(1863~1937)가 1908년과 1909년에 발간한 책의 제목은? 미국의 교육자이자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Hulbert(1863~1945)는 1906년 The Passing of Korea(대한제국 멸망사) 를 발간하였고, 선교사 Underwood(1859~1916)와 Gale(1863~1937)은 각각 1908년과 1909년에 The Call of Korea ,Transition in Korea(전환기의 한국) 을 발간하였다. 그런데 Hulbert의 책에서는 조선 중후기의 인구를 기록하였고, 대한제국 시기의 인구에 관한 기록은 Underwood와 Gale의 책에 비교적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대한제국 멸망사은 무엇에 대한 기록인가? 미국의 교육자이자 조선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Hulbert(1863~1945)는 1906년 The Passing of Korea(대한제국 멸망사) 를 발간하였고, 선교사 Underwood(1859~1916)와 Gale(1863~1937)은 각각 1908년과 1909년에 The Call of Korea ,Transition in Korea(전환기의 한국) 을 발간하였다. 그런데 Hulbert의 책에서는 조선 중후기의 인구를 기록하였고, 대한제국 시기의 인구에 관한 기록은 Underwood와 Gale의 책에 비교적 상세히 수록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김일권.최석영.정숭교, 2014, 한국 근현대 100년과 민속학자,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 김정화 역, 1994, 러시아 첩보장교 대한제국에 오다, 가야미디어(Vebel, 1889, Poezdka v Koreiu v 1889) 

  3. 김종규.강경원.손명철 역, 2014, 코레아; 일제 강점기의 한국지리, 푸른길(Lautensach, H., 1945, Korea). 

  4. 김종대 역, 1999, 고종의 독일인 의사 분쉬, 학고재. 

  5. 김진영 외, 2006, 코레야 1903년 가을, 개마고원 (Seroshevskii, B., 1909, Koper). 

  6. 김학준, 2009a,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제1회); 개항 이전 시기, 한국정치연구, 18(1), 259-320. 

  7. 김학준, 2009b,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 (제2회); 개항부터 청일전쟁 발발 직전까지, 한국정치연구, 18(2), 247-314. 

  8. 김학준, 2009c, 서양인들이 관찰한 조선의 모습들 (제3회); 청일전쟁 발발 직전으로부터 조선의 망국까지의 시기, 한국정치연구, 18(3), 227-294. 

  9. 신복룡 역주, 1999a, 대한제국멸망사, 집문당(Hulbert, H. B., 1906, The passing of Korea, Doubleday, Page & Co., New York). 

  10. 신복룡 역주, 1999b, 은자의 나라 한국, 집문당 (Griffis, W. E., 1882, Corea; The Hermit Nation, Charles Scribner's Son, New York). 

  11. 신복룡 역주, 1999c, 전환기의 조선, 집문당(Gale, J. S., 1909, Korea in Transition, Jenning & Graham, Cincinnati). 

  12. 신복룡 역주, 2000,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 집문당 (Bishop, I. B., 1897, Korea and Her Neighbors, Fleming H. Revell Co, New York). 

  13. 신복룡.장우영 역주, 2000, 금단의 나라 조선, 집문당(Oppert, E. J., 1880, A Forbidden Land: Voyages to the Corea, G. P. Putnam's Sons, New York). 

  14. 안응렬.최석우 역주, 1980, 한국천주교회사(상), 분도출판사(Dallet, C., 1874, Histoire de l'Eglise de Coree, V. Palme, Paris). 

  15. 정치영, 2011, 인구의 역사지리, 한국역사지리, 푸른길, pp.337-380. 

  16. 조행복 역, 2008, 백두산으로 가는 길: 영국군 장 교의 백두산 등정기, 살림(Cavendish, A. E. J., 1894, 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G. Philip & son, London). 

  17. 최재성, 2013, 숫자조선연구의 체재와 내용 분석, 사림 44, 205-243. 

  1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국역 한국지. 

  19. 한주성, 2015, 인구지리학, 한울, 서울. 

  20. Allen, H. N., 1889, Korean Tales; being a collection of stories translated from the Korean folk lore, G.P. Putnam's Sons, New York & London. 

  21. Carles, W. R., 1888, Life in Corea, Macmillan and Co, London and New York. 

  22. Gilmore, G. W., 1892, Korea from its Capital: with a chapter on missions, Presbyterian board of publication and Sabbath-school work, Philadelphia. 

  23. Lee, H. K., 1936, Land Utilization and Rural Economy in Kore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4. Lowell, P., 1886, Choso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Ticknor and company, Boston. 

  25. Ross, J., 1891, History of Corea; Ancient and Modern, Elliot Stock, London. 

  26. Savage-Landor, A. H., 1895, Corea or Cho-sen: The Land of the Morning Calm, William heinmann, London. 

  27. Underwood, H. G., 1908, The Call of Korea, Fleming H. Revell Co. 

  28. https://archive.org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