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인의 구륜근 운동 시 표면근전도(SEMG) 측정연구
A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of Orbicularis oris motion in Healthy People 원문보기

The acupuncture = 대한침구의학회지, v.33 no.4, 2016년, pp.93 - 100  

김주용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보현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혜빈 (나눔요양병원) ,  육태한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의학과) ,  김종욱 (우석대학교 부속한방병원 침구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o find an acupuncture point where more exact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measurement can be drown, through the study of measurement of orbicularis oris. Methods : Of healthy people from 19 to 40 years of age, who did not fall under exclusion criteria (22 males and 22 female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표면근전도(SEMG)를 이용한 안륜근의 측정방법에 관한 연구는 이미 해외에서 선행된 바가 있으나, 구륜근에 관한 측정방법의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진행된 바가 없다4). 이에 저자는 경락학설을 바탕으로 구륜근 운동에 대한 가장 적합한 표면근전도(SEMG) 측정을 위한 구륜근의 전극 부착 위치 선정 및 동작 지시 등의 측정 방법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신경기능의 평가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현재 안면신경기능의 평가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환자의 얼굴 움직임을 보고 결정하는 육안적인 평가 방법과 1872년 전기생리학적 검사가 소개된 이후 역치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NET), 신경전도 검사(Electroneurography, ENoG), 침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안륜근 반사 등과 같은 정량적인 방법이 있다1). 그중 근전도(EMG)는 신체의 움직임을 주관하는 골격근의 수축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근전도의 분석은 인체 근육의 수축 활동에 관한 연구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2).
안면신경마비란 무엇인가? 안면신경마비는 뇌신경 질환 중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으로 눈과 입이 한쪽으로 비뚤어지는 증상이 나타나므로 口眼喎斜라 한다. 이병은 思慮過多, 過勞, 寒冷露 出, 원인불명 등의 이유로 발병되는데, 脈絡이 空虛한 상태에서 風寒의 邪氣가 침입하여 經絡이 瘀滯되고 氣血이 痺阻되어 筋脈이 失養되어 발병한다6).
안면신경기능의 평가방법 중 하나인 근전도는 무엇인가? 현재 안면신경기능의 평가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크게 환자의 얼굴 움직임을 보고 결정하는 육안적인 평가 방법과 1872년 전기생리학적 검사가 소개된 이후 역치검사(Nerve Excitability Test, NET), 신경전도 검사(Electroneurography, ENoG), 침근전도(Electromyography, EMG), 안륜근 반사 등과 같은 정량적인 방법이 있다1). 그중 근전도(EMG)는 신체의 움직임을 주관하는 골격근의 수축 정도를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근전도의 분석은 인체 근육의 수축 활동에 관한 연구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Kim MB, Kim JH, Shin SH, Yoon HJ, Ko WS. A study of facial nerve grading system.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7 ; 20(3) : 147-60. 

  2. Kim TW, Gong SJ, Gil SG et al. Electromyographic analysis : theory and application. Seoul : Hanmi Med. 2013 : 28-43. 

  3. Kim SH, Lee HY, Son DI, Jung CK, Ko DY.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Motor Unit Information using Surface EMG.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2007 ; 56(11) : 2040-50. 

  4. Frigerio A, Cavallari P, Frigeni M, Pedrocchi A, Sarasola A, Ferrante S. Surface Electromyographic Mapping of the Orbicularis Oculi Muscle for Real-Time Blink Detection. JAMA Facial Plast Surg. 2014 ; 16(5) : 335-42. 

  5. Meridians & Acupoints Complication Committee of Korean Oriental Medical Colleges. Details of Meridians & Acupoints ; A Guidebook for College Students. Daejeon : JongRyeoNaMu Publishing Co. 2009 : 154, 1215. 

  6.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Acupuncture and moxibustion medicine. Gyeonggi : Jipmoondang. 2012 : 625. 

  7. Jang M, Shin SH. Development of Facial Nerve Palsy Grading System with Image Processing.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oriental medical diagnostics. 2013 ; 17(3) : 233-40. 

  8. Kim JU, Lee HG, Jung DJ et al.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urface Electromyography and Assessment Scale for Facial Palsy. The Acupunct. 2013 ; 30(5) : 107-16. 

  9. B.G. Lapatki, D.F. Stegeman, I.E. Jonas. A surface EMG electrode for the simultaneous observation of multiple facial muscles. Journal of Neuroscience Methods. 2003 ; 123 : 117-203. 

  10. L. Mesin, R.Merletti, A. Rainoldi. Surface EMG : The issue of electrode location. Journal of Electromyography and Kinesiology. 2009 ; 19 : 719-26. 

  11. Han KJ, Choi BK. Comparison of the Surface Electromyographic Signal of Progressive Resistance Increase and Progressive Resistance Decrease Exercis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8 ; 20(1) : 11-6. 

  12. Moore K, Dalley A, Agur A. Clinically Oriented Anatomy. Philadelphia :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0 : 844-9. 

  13. Kim SH, Lee KJ, Choi YM et al. A Study of Surface Electromyography Measurement of Wrist Exercise (Extension, Flexion, Grasping) in Healthy People. The Acupunct. 2015 : 32(3) : 53-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