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해연안 조간대에 서식하는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먹이생물
Food Organisms of Juveniles of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Intertidal Zon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8 no.1 = no.79, 2016년, pp.180 - 185  

김종연 (군산대학교) ,  윤종만 (군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줄망둑 자치어기의 먹이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2년 5월말부터 6월초 사이에 충남 서천군 서면 도둔리의 조간대에서 채집된 두줄망둑의 위내용물을 조사하였다. 섭식참여율은 낮 동안에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줄망둑의 자치어의 주요 먹이생물은 copepods, amphipods, shrimp larvae, polychaete larvae 등이었으며, 이들이 건중량의 2% 이상을 차지하였다. 그중에서 copepods가 평균 65.5%로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고,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의 순으로 많이 출현하였다. 먹이생물의 개체수 조성비를 보면, copepods가 65.4%를 차지하여 가장 높았고, polychaete larvae는 22.6%, shrimp larvae는 14.5%를 차지하였다. 먹이생물 중 copepods는 개체수 조성비가 높고 출현율도 높아서, IRI가 5,369.3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polychaete larvae는 653.1, shrimp larvae는 287.1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두줄망둑의 자치어기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copepods, polychaete larvae, shrimp larvae 등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the feeding habits of Tridentiger trigonocephalus juveniles captured in the intertidal zone of Dodun-ri, Seocheon-gun from the end of May to early June 2012, the gut contents were observed. Feeding incidence of the juveniles increased twice a day, first in the morning and second in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서해 연안 조간대에 널리 분포하여, 생태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두줄망둑의 자치어기에서의 섭식 참여율을 조사하고, 위내용물로부터 먹이의 종류와 조성, 물고기의 크기에 따른 먹이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망둑어과 어류는 세계에 몇 종이 분포하고 있나? 망둑어과 어류는 전 세계에 약 2,000 종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고(Hoese 1985), 연안과 내만생태계의 영양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Takagi 1966; Choi et al. 1996).
두줄망둑은 어디에 많이 분포하는가? 그 중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은 바닥에서 사는 작은 물고기로서, 가까운 일본을 비롯하여 우리나라 가까운 연안의 조수웅덩이나 암초 사이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어류의 발육단계 중 자어 후기 단계는 어떤 시기인가? 물고기의 발육단계 중 자어후기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양을 적극적으로 섭취하는 단계이고, 형태 변화도 비교적 활발한 시기이다. 외국의 경우 물고기 초기 단계에서 먹이를 먹는 것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Hunter 1976; Arthur 1976; Jenkins 1987; Matsushita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thur, D. K.(1976). Food and feeding of larvae of three fishes occurring in the California Current, Sardinops sagax, Engraulis mordax, and Trachurus symmetricus. Fish. Bull. U.S., 74(3), 517-530. 

  2. Blaxter, J. H. S.(1965). The feeding of herring larvae and their ecology in relation to feeding. Calif. Coop. Oceanic Fish. Invest. Rep., 10, 79-88. 

  3. Bowman, T. E. and L. G. Abele(1982). Classification of the recent Crustacea. In Bliss, D.E.(ed.), The Biology of Crustacea. 1. Systematics, the fossil record, and biography. Academic Press, New York, 1-27. 

  4. Choi, Y..I. S. Kim.B. S. Ryu and J. Y. Park(1996). Ecology of Synechogobius hasta (Pisces: Gobiidae) in the Kum River estuary, Korea. J. Korean Fish. Soc., 29(1), 115-123. 

  5. Hoese, D. F.(1985). Indopacific genera of gobiid fishes. Abstracts of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o-Pacific Fishes. Ichthyol. Soc. Japan, 60. 

  6. Huh, S. H. and S. N. Kwak(1998a).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31(3), 372-379. 

  7. Huh, S. H. and S. N. Kwak(1998b). Feeding habit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Ichthyol., 10(1), 24-31. 

  8. Huh, S. H. and S. N. Kwak(1998c). Feeding habits of Peudoblennius cottoides. J. Korean Fish. Soc., 31(1), 37-44. 

  9. Huh, S. H. and S. N. Kwak(1999).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32(1), 10-17. 

  10. Hunter, J. R.(1976). Report of a colloquium on larval fish mortality studies and their relation to fishery research, January, 1975. NOAA tach. Rep. NWFS SSRS-395, 1-5. 

  11. Jenkins, G. P.(1987). Comparative diets, prey selection, and predatory impact of co-occurring larvae of two flounder species. J. Exp. Mar. Biol. Ecol., 110, 147-170. 

  12. Kang, Y. J. and P. Chin(1983). Feeding ecology of the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Bull. Nat'l. Fish. Univ. Pusan, 23,1-8. 

  13. Kim, J. M., D. Y. Kim. Yoo and H.T. Huh (1985). Food of the larval gunnel, Enedrias fangi. Bull. Korean Fish. Soc., 17, 206-218. 

  14. Kim, C. K. and Y. J. Kang(1986). Diets of the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in the shore Area of Tongbaeksom, Pusan. Bull. Korean Fish. Soc. 19(5), 411-422. 

  15. Kim, C. K. and Y. J. Kang(1991). Mathematical approaches related to daily feeding activities of rock trout, Agrammus agrammus. Bull. Korean Fish. Soc., 24(5), 273-288. 

  16. Kim, J. Y.(1997), Feeding habits of the Favonigobius gymnauchen from the coast intertidal zone in the west coast of Korea. Fish. Sci. Res., 13, 1-11. 

  17. Kim, J. Y. and Y. T. Noh(1996). Feeding habits of the Tridentiger trigonocephalus from the coast intertidal zone in the west coast of Korea. Fish. Sci. Res., 12, 25-42. 

  18. Kim, J. Y. and Y. T. Noh(1997). Feeding habits of the Acanthogobius elongatus from the Kunsan coast intertidal zone, Neach-do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0(3), 413-422. 

  19. Lee, T. W. and S. H. Huh(1989). Early life history of the marine animals, 2. Age, growth and food of Chaenogobius laevis (Steindachner) larvae and juveniles. Bull. Korean Fish. Soc., 22(5), 332-341. 

  20. Matsushita, K..M. Shimizu and Y. Nose(1988). Food density and rate of feeding larvae of anchovy and sardine in patchy distribution. Bull. Jap. Soc. Sci. Fish., 54(3), 401-411. 

  21. Okada, Y.(1965). Illustrated encyclopedia of the fauna of Japan I, II, III. Hokuryukan, Tokyo 679pp., 803pp., 763pp. 

  22. Paik, E. I.(1969). A study of the food of the goby, Synechogobius hasta. Bull. Korean Fish. Soc., 2, 47-62. 

  23. Park, K. J. and S. S. Cha(1995). Food organisms of postlarvae of Ja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28(3), 247-252. 

  24. Park, K. J..S. S. Cha and S. H. Huh(1996). Food organisms of postlarval sad (Konosirus punctatus) in Kwangyang Bay. J. Korean Fish. Soc. 29(4), 450-455. 

  25. Takagi, K.(1966). Distributions and ecology of the gobioid fishes in the Japanese waters. J. Tokyo Univ. Fish. 52(2):87-127. 

  26. Yamaji, I.(1966). Illustrations of the marine plankton of Japan. Hoikusha Publishing Co., Ltd. Osaka, 537. 

  27. Young, J. W. and T. L. O. Davis(1990). Feeding ecology of larvae of southern bluefin, albacore and skipjack tunas (Pisces: Scombridae) in the eastern Indian Ocean. Mar. Ecol. Prog. Ser., 61, 17-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