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화에 따른 부산과 대구의 일교차 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ariation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of Busan and Daegu according to Urbaniz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5 no.2, 2016년, pp.295 - 310  

박명희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준수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안지숙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이혜현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한인성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엄기혁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서영상 (국립수산과학원 기후변화연구과) ,  김해동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  배헌균 (계명대학교 지구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changes in daily temperature range were investigated using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s of Busan and Daegu for last 81 years (1934-2014), and also characteristics of daily temperature range and seasonal fluctuations by urbanization were examined. First, elapsing changes sho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특성이 다른 부산(해안지역)과 대구(내륙지역)를 대상으로 1934년부터 2014년까지 지난 81년간 일교차의 경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일교차 변화특성 및 계절별 변동경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특성이 다른 부산(해안지역)과 대구(내륙지역)를 대상으로 지난 81년(1934~2014년)간 일교차의 경년변화와 도시화에 따른 일교차 경년변화 및 계절별 변동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국내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기온, 강수량, 습도, 증발산량, 일조시간, 풍향, 풍속 등 다양한 것들이 있지만, 자연과 인간 활동에서 발생하는 기후현상을 설명하는 요소로는 기온과 강수량이 가장 적합하다. 또한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은 일교차로 나타낼 수 있다.
일교차의 정의는 무엇인가? 또한 인간 활동에 의한 영향은 일교차로 나타낼 수 있다. 일교차(diurnal temperature range, DTR)는 일최고기온과 일최저기온 차로 정의되며, 기본적으로 대기상태와 지표면상태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는 기후요소이다. 이러한 일교차는 지리적 위치와 계절에 따라 그 변동성이 클 뿐만 아니라 평균기온과 함께 기후변화의 중요한 지표이다(Braganza et al.
본 연구의 결과로 일교차의 계절별 경년변화가 여름철에 가장 낮았던 이유는 무엇인가? 일교차의 계절별 경년변화는 두 지점에서 상승경향이 겨울철에 가장 높았고, 여름철에 가장 낮았다. 이는 여름철에 강수가집중하는 몬순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일교차의 계절변동은 부산의 경우 여름철이 가장 낮았고, 다른 계절에는 변동 값의 차이가 크게 없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raganza, K. J., Karoly, D. J., Arblaster, J. M,. 2004, Diurnal temperature range as an index of global climate change during the twentieth century, Geophys. Res. Lett., 31, L13217. 

  2. Cho, H. M., Cho, C. H., Chung, K. W., 1988, Air temperature changes due to urbanization in Seoul area, J.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4, 27-37. 

  3. Choi, Y. E., Jung, H. S., Nam, K. Y., Kwon, W. T., 2003, Adjusting urban bias in the regional mean surface temperature series of South Korea 1968-99, Int. J. Climatol., 23, 577-591. 

  4. Choi, G. Y., Kwon, W. T., Boo, K. O., Cha, Y. M., 2008, Recent spatial and temporal change in means and extreme event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cross the republic of Korea,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43(5), 681-700. 

  5. Easterling, D. R., Horton, B., Jones, P. D., Peterson, T. C., Karl, T. R., Parker, D. E., Salinger, M. J., Razuvayev, V., Plummer, N., Jamason, P., Folland, C. K., 1997,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rends for the glove, Science, 277, 364-367. 

  6. Fukuoka, Y., 1983, Physical climatological discussion on causal factors of urban temperature, Memoirs of The Faculty of Integrated Arts and Sciences, Hiroshima University, Ser. IV, 8, 157-178. 

  7. Heo, I. H., Kwon, W. T., Chun, Y. M., Lee, S. H., 2006, The impact of temperature rising on the distribution of plant in case of bamboos and garlics-,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15(1), 76-78. 

  8. Heo, I. H., Lee, S. H., 2011, The chang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south Korea, 17(2),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17(2), 167-180. 

  9. Hong, S. K., Ahn, C. H., Jung, H. K., Kang, J. H., Suh, M. S., Kwak, M., C. H., 2007, The cause and the chang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in Korea for recent 1976-2005, Proceedings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Conference, 296-297. 

  10. Karl, T. R., Jones, P. D., Knight, R. W., Kukla, G., Plummer, N., Razuvayev, V., Gallo, K. P., Lindseay, J., Charlson, R. J., Peterson, T. C., 1993, A new perspective on recent global warming: Asymmetric trends of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Bull. Amer. Meteorol. Soc., 74, 1007- 1023. 

  11. Kim, J. H., Suh, M. S., Hong, S. H., 2010, The relocation effect of observation station on the homogeneity of seasonal mean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J.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20(4), 437-449. 

  12. Koo, G. S., Boo, K. O., Kwon, W. T., 2007, The estimation of urbanization effect in global warming over Korea using daily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J. Korean Meteor. Soc., 17(2), 185-193. 

  13. Lee, M. I., Kang, I. S., 1997, Temperature variability and warming trend in Korea associated with global warming, J.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3(3), 429-443. 

  14. Liu, B., Xu, M., Henderson, M., Qi, Y., Li, Y., 2004, Taking China's temperature : Daily range, warming trends, and regional variations 1955 2000, J. Climate, 17, 4453-4462. 

  15. Makowski, K., Wild, M., Ohmura, A., 2008, Diurnal temperature range over Europe between 1950 and 2005, Atmos. Chem. Phys., 8, 6483-6498. 

  16. Oh, S. N., Ju, O. J., Moon, Y. S., Lee, K. S., 2010, Climate change and urban air temperature in crease in Korean peninsula,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19(2), 169-177. 

  17. Park, M. H., Lee, J. S., Ahn, J. S., Suh, Y. S., Han, I. S., Kim, H. D., 2012, Study on the climate change and the urbanization effect in Busan, J. Environment Sciences, 21(4), 401-409. 

  18. Park, M. H., Lee, J. S., Ahn, J. S., Suh, Y. S., Han, I. S., Kim, H. D., 2012,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cause of urbanization and urbanization effect of Busan by using daily minimum temperature, J. Environment Sciences, 21(12), 1477-1485. 

  19. Roy, S. S., Balling Jr, R. C., 2005, Analysis of trends in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range, and cloud cover over India, Geophys. Res. Lett., 32, L12702. 

  20. Ryoo, S. B., Kim, Y. H., Kwon, T. H., Park, I. S., 2006, Inhomogeneities in Korea climate data (1): Due to site relocation, Atmosphere, 16(3), 215-223. 

  21. Suh, M. S., Hong, S. K., Kang, J. H., 2009, Characteristics of seasonal mean diurnal temperature range and their cause over south Korea, J.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19(2), 155-168. 

  22. Yadav, R. R., Park, W. K., Sing, J., Dubey, B., 2004, Do the western himalayas defy global warning?, Geophys. Res. Lett., 31(17), L17201. 

  23. Zhou L. R., Dickinson, E., Tian, Y., Fang, J., Li, Q., Kaufmann, R. K., Tucker, C. J., Muneni, R. B., 2004, Evidence for a significant urbanization effect on climate in China,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26), 9540-9544. 

  24. Zhou L., Dai, A., Dai, Y., Vose, R. S., Zou, C. Z., Tian, Y., Chen, H., 2008, Spatial dependence of diurnal temperature range trends on precipitation from 1950 to 2004, Clim. Dyn., 32, 429-4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