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지하수위 변동특성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water Level of Natural Vegetation and Sandy Beaches 원문보기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19 no.1, 2016년, pp.62 - 73  

박정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윤한삼 (부경대학교 생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파랑, 조석, 강우조건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은 식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식생 발달 및 지반 안정화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섬 중 최서측에 위치하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구축한 후 해안선의 법선 방향으로 관측점 5곳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약 799일간) 관측된 수온, 전기전도도, 압력값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해석을 하였다. 지하수위의 수온, 염분, 수위 변동과 조위, 파랑, 강수량 등의 외력조건과의 시계열 분석상관분석을 통하여, 소상대 정점에서는 파랑 및 조위의 영향, 식생 및 모래지반 정점에서는 강수량 및 조위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었다. 고파랑 내습시 관측점간의 지하수위 및 전기전도도의 공간적 거동을 살펴본 결과 Sand dune 및 Vegetation zone이 시작되는 인근에서 담수층과 해수층의 천이 영역(Transition zone)이 존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ariation of groundwater by wave, tide and precipitation conditions is closely related to the vegetation environment at the natural vegetation and sandy based beach, and i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vegetation development and ground stabilization. In this study, the water temperature, el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전면해빈 총 5개 정점에 지하수위계를 해안선으로부터 일정한 이격거리를 두어 설치하여 수온, 전기전도도, 압력을 총 799일 동안 관측하였다. 각 정점에서 관측된 자료를 바탕으로 관측 자료의 상호 연관성을, 또한 입사 해양파랑 특성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치모형을 구축하고 관측되어진 지하수위가 특징적으로 변동하는 시점에서의 해 양파랑 내습 상황을 추정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은 식생대(Vegetation area)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St.5는 St.3과 20m 이격하여 배후 사구가 없는 사질지반에 설치하여 식생 유무에 따른 지하수위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즉, Fig.
  • 본 논문에서는 각 정점 자료간의 피어슨(Pearson)이 변량 상관계수를 도출하였다. 이는 -1에서 1의 값을 가지며 1인 경우 완전한 선형관계(즉, x가 증가할수록 y도 비례해서 증가하는 관계)를, -1인 경우 반비례 관계를, 0인 경우에는 서로 상관성이 없음을 의미하며 (Table 6), 다음 식 (2)와 같이 계산된다.
  • 7(c)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하수위는 관측시기별로 다소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강우 조건에 해당하는 시점에서 4개 정점(St.1, St.2, St.3, St.5)에서 지하수위 변동이 발생했던 시기의 지하수위면이 높고 낮은 2가지 경우에 대해서 수치실험결과와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입사파랑에 의한 영향 및 변동 특성만을 검토하고자 함). 지하수위면이 낮은 경우를 Case 1, 높은 경우를 Case 2로 구분하였으며, 이때 당시의 인근 가덕도 검조소 조위와 수치 모의로 계산되어진 시험구 해빈 전면의 파고, 주기 및 동시기의 바람장(풍속, 풍향)과 지하수위 변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 전술한 Case 1과 Case 2의 경우는 무강우 조건하에서 해양파랑의 영향에 의한 지하수위의 변동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진우도 전면해역의 해양파랑 내습에 따른 지하수위 변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수치모형을 구축하고 관측되어진 지하수위가 특징적으로 변동하는 시점에서의 해양파랑 내습 상황을 추정하고 그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치모형은 미공병단(US ARMY Corp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생 발달 및 지반 안정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는 무엇인가? 식생/모래기반 자연해빈에서의 파랑, 조석, 강우조건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은 식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이는 식생 발달 및 지반 안정화에 크게 영향을 주는 요소이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의 사주섬 중 최서측에 위치하는 진우도를 대상으로 실험구를 구축한 후 해안선의 법선 방향으로 관측점 5곳을 선정하여 2012년 3월부터 2014년 9월까지(약 799일간) 관측된 수온, 전기전도도, 압력값을 이용하여 지하수위 변동해석을 하였다.
낙동강 하구역 진우도 전면해빈 총 5개 정점에 지하수위계가 담수 상태임을 알 수 있는 근거는 무엇인가? (2) 전기전도도의 경우 소상대에서는 평균적으로 9~50.1 ms/cm 범위에서 조위에 따라 변동하였으나 그 내측에 식생대에서는 평균 0.27~5.37 ms/cm의 값을 나타내어 대부분의 관측 시기 동안 담수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진우도 남측 중앙부 자연해빈의 CTD계에서 내측 정점으로 갈수록 수온편차가 줄어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4의 경우 다른 정점들에 비해그 변동폭이 크고 대조기시 수온이 증대되고 소조기시 감소함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내측 정점으로 갈수록 수온편차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내측의 경우 표층 식생대가 지반의 온도를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로 유지시켜 주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Kang, T.S., Oh, H.M., Lee, H.M. and Eum, H.S., 2015, "Storm Surge Vulnerability Assessment due to Typhoon Attack on Coastal area in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 21, No. 5, 608-616. 

  2. Je, Y.J., Yoon, H.S. and Park, J.H., 2011, "Spatiotemporal Variation of Foreshore Vegetation Belt Line on the Jinu-do Coast", Proceeding of the Annual Autumn Meeting, J. Korean Environment Sciences Society, 2295-2298. 

  3. Jeon, J.W., Yoon, H.S. and Ryu, C.R., 2002, "Hydraulic Characteristics of Permeable Breakwater in Relation to the ground Waterlevel Fluctuation", J. Ocean Eng. Technol., Vol. 16, No. 3, 46-53. 

  4. Jonsson, I.G., 1990, "Wave-current interactions. In: Lemehaute, B., Hanes, D.M. (Eds.)", The Sea, Vol.9,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Part A). 

  5. Kang, H.Y., Kobayashi, N. and Ryu, C.R., 1997, "Tide, Swash Infiltration and ground water Behavior", J. Ocean Eng. Technol., Vol. 11, No. 3, 153-162. 

  6.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National Typhoon Center (http://typ.kma.go.kr/TYPHOON/). 

  7. Park, J.H., Yoon, H.S. and Lee, I.C., 2014, "Analysis of Ground Watertable Fluctuation at the Sandy Barrier Island on Jinu-do in Nakdong River Estuary",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 20, No. 4, 382-388. 

  8. Park, J.H.,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level fluctuation with a topography at the estuary sand bar",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 Korea. 

  9. Smith, J.M., Resio, D.T. and Zundel, A.K., 1999, "STWAVE: state spectral wave model", Instruction Report CHL-99-1, US Army Engineer Waterways Experiment STATION, Vicksburg, MS, USA. 

  10. Stieglitz, T., Taniguchi, M. and Neylon, S., 2008, "Spatial variability of submarine ground water discharge, Ubatuba, Brazil, Estuarine", Estuar. Coast. Shelf S., Vol. 76, 493-500. 

  11. Taniguchi, M., Stieglitz, T. and Ishitobi, T., 2008, "Temporal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of submarine ground water discharge in Ubatuba, Brazil, Estuarine", Estuar. Coast. Shelf S., Vol. 76, 484-492. 

  12. Yoo, C.I., Yoon, H.S. and Park, H.B., 2008, "Correlation between Spring Weather Factors and Local Wind Wav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J. Korean Soc. Mar. Environ. Saf., Vol. 14, No. 2, 119-125. 

  13. Yoon, H.S., Yoo, C.I., Kang, Y.K. and Ryu, C.R., 2007, "Delta Development in the Nakdong River Esturary: a Literature Survey", J. Ocean Eng. Technol., Vol. 21, No. 2, 22-34. 

  14. Yoon, H.S., Yoo, C.I., Park, J.H. and Lee, I.C., 2013, "Field survey of the ground waterlevel fluctuation at natural sandy beach on Jinu-do", Proc. of the KOSOMES Annual Spring Meeting, 61-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