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공인인증서(NPKI)와 국제 표준(SSL/TLS) 기반의 안전 인터넷 거래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NPKI and SSL/TLS for Secure Internet Transactions 원문보기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20 no.2, 2016년, pp.289 - 298  

박승철 (School of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난 10년간 공인인증서 인프라(NPKI-National 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의 우리나라 안전 인터넷 거래 환경은 급속하게 발전하여 왔지만, 한편으로는 폐쇄적인 방식으로 동작하는 NPKI 기반의 인터넷 거래 환경으로 인해 개방성과 호환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도 노출되어 왔다. 인터넷 거래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러란 문제점들이 가까운 시일 내에 해결될 필요가 있고, 웹 기반 안전 인터넷 거래의 국제 표준인 SSL/TLS 기반으로의 전환이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SSL/TLS 기반의 안전 인터넷 거래로의 전환은 현재의 NPKI 기반의 인터넷 거래의 장점을 잘 유지하면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NPKI기반의 인터넷 거래와 SSL/TLS 기반의 인터넷 거래의 장단점을 구체적으로 비교분석하여, SSL/TLS 기반의 NPKI 구현의 기본 아이디어를 파악하는 데 있다. 그런 다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NPKI 기반의 인터넷 거래의 장점을 잘 유지하면서 NPKI 기반 인터넷 거래 환경을 SSL/TLS 기반의 인터넷 거래 환경으로 전환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ough, thanks to NPKI(National Public Key Infrastructure), the Korean secure Internet transaction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grown in the last decade, it also faces with several problems, which need to be solved in near future, mainly resulted from the lack of openness and compatability of the N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PKI 환경의 SSL/TLS 환경으로의 전환은 현재 NPKI의 장점을 유지하며 SSL/TLS을 통해 NPKI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논문은 NPKI 기반의 인터넷 거래 절차와 SSL/TLS 기반의 거래 절차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NPKI 기반 인터넷 거래 환경의 장점을 파악하고, SSL/TLS 기반으로의 전환을 통해 NPKI 환경의 문제점들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 지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 NPKI의 개방성과 호환성 문제는 국제 표준인 SSL/TLS로의 전환을 통해 해결될 수 있다. 본 논문은 NPKI의 장점을 유지하며 SSL/TLS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NPKI와 SSL/TLS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NPKI를 SSL/TLS 기반으로 전환할 경우 개방성과 호환성 문제 해결뿐만 아니라, 서버 인증 강화를 통한 피싱 공격 방어 역량 강화와 DHE 및 ECDHE 키교환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전방향 비밀성 보장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였다.

가설 설정

  • 디지털 서명 기반의 거래 인증 유지 : SSL/TLS 프로토콜 체계로 전환하더라도 공인인증서 기반의 디지털 서명을 통한 거래 인증을 유지함으로써, NPKI 기반 인터넷 거래의 부인 방지 기능을 계속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외부 보안 토큰을 통한 거래 인증 체계로 전환 : SSL/TLS 프로토콜 체계로 전환 시에 더욱 우려되는 MITB(Man-In-The-Browser) 공격을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 웹 브라우저와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안전한 보안 토큰 상에서 거래 인증이 수행되는 쳬계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확장 검증 방식 인증서(EV-Certificate) 기반의 서버 인증으로 전환: 위조 사이트를 통한 피싱 공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어하기 위해서는, 자체적인 공인 인증서를 서버 인증에 적용하는 것 보다는 표준 웹 브라우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잘 통합된 확장 검증 방식 인증서(EV-Certificate)를 서버 인증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인인증서란 무엇인가? 공인인증서(public certificate)는 특정 공개키(public key)가 인증서에 기술된 신원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소유임을 공인기관(certification authority)에서 인증 하는 문서이다[1]. 공인인증서 발급 과정에서 공인인증서의 소유자는 인증서의 공개키에 대응하는 자신의 개인키(private key)를 생성하여 특정 장소(예, PC, USB, 또는 하드웨어 토큰)에 비밀로 유지하고, 발급된 공인인증서는 해당 소유자의 공개키가 필요한 사용자(예,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된다.
NPKI 공인인증서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그리고 공인인증서의 신원 정보(identity information)가 정확함을 인증기관에서 보증하므로 공인인증서에 대응되는 개인 키를 인증 토큰(authentication token)으로 사용할 수 있다. NPKI 공인인증서는 2014년 말 현재 30,536,707개가 발급되어 인터넷 뱅킹, 전자상거래 지급결제, 정부조달, 전자입찰, 온라인 증권거래, 전자 무역 및 통관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 인터넷 거래에서 매우 중요한 인프라를 형성하고 있다[2].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서 확보한 사용자의 공개키는 어떻게 사용되는가? 서버 응용 프로그램은 유효기간 확인, 인증서에 포함된 인증기관 서명 확인, 폐기 여부 확인 등을 통해 사용자 공인인증서를 검증하고 사용자의 공개키를 확보한다. 이 때 사용자의 공캐키는 전자서명 검증키 역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공인인증서의 공개 키로 복호화함으로써 전자서명을 검증한다. 전자서명 검증이 완료되면 서버에 의한 사용자 인증이 성공적으로 완료되게 된다. 그런 다음 서버 응용 프로그램은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과 암호화 통신에 사용할 세션 키를 확보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RFC 5280, Internet X.509 Public Key Infrastructure Certificate and Certificate Revocation List (CRL) Profile, IETF, May 2008. 

  2. Y. K. Song, "Lessons of Public Certificate-related Debates and A Policy-direction Proposal for Future Digital Transactions," KDI FOCUS, no 51, March 2015. 

  3. Financial Security Institute, "A Management Guide for Financial Part Encryption Technologies," Jan. 2010. 

  4. Y. J. Maeng, D. O. Shin, S. H. Kim, D. H. Nyang, and M. K. Lee, "A Vulnerability Analysis of MITB in Online Banking Transactions in Korea," Internet and Information Security, vol 1, no. 2, pp. 101-118, Nov. 2010. 

  5.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Integrated Solutions for Enhancement of Financial Transaction Security," Press Release, July 2013. 

  6. H. S. Kim, J. H. Huh, and R. Anderson, "On the Security of Internet Banking in South Korea," Oxford Univ. Computing Laboratory, CS-RR-10-01, Oct. 2010. 

  7. RFC 5246, The Transport Layer Security(TLS) Protocol Version 1.2, IETF, Aug. 2008. 

  8. S. Kiljan, K. Simoens, D. D. Cock, M. V. Eekelen, and H. Vranken, "Technical Report : Security of Online Banking Systems," Technical Report of Open Universiteit, Feb. 2014. 

  9. CA/Browser Forum, Guidelines For The Issuance And Management Of Extended Validation Certificates Version 1.5.5, March 2015. 

  10. Wikipedia, Forward Secrecy[Internet]. Available : https://en.wikipedia.org/wiki/Forward_secrecy. 

  11. X.1156, Non-repudiation Framework based on One-Time Password, ITU-T, June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