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구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성교양과목 중의 하나인 '21세기 리더십' 과목을 선정하고, 이를 동일한 과목으로 2개 반을 개설하여 격주형 모형과 혼합형 모형으로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지식은 격주형과 혼합형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은 혼합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인 자기수용의 경우,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셋째,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은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 과목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학습효과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혼합형 하이브리드 모형을 채택하되, 학생들이 참여와 실습을 통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온라인 강의보다는 오프라인 강의에 비중을 더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을 결론짓고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구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성교양과목 중의 하나인 '21세기 리더십' 과목을 선정하고, 이를 동일한 과목으로 2개 반을 개설하여 격주형 모형과 혼합형 모형으로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6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1.0프로그램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리더십 지식은 격주형과 혼합형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은 혼합형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조건적인 자기수용의 경우,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셋째,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은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리더십 과목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학습효과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혼합형 하이브리드 모형을 채택하되, 학생들이 참여와 실습을 통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온라인 강의보다는 오프라인 강의에 비중을 더 두는 것이 효과적일 것임을 결론짓고 본 연구에 대한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en two classes with the name of $21^{st}$ Leadership, run with two different hybrid teaching styles which are hybrid LZ type and hybrid lz type,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of hybrid model of the subject. Th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en two classes with the name of $21^{st}$ Leadership, run with two different hybrid teaching styles which are hybrid LZ type and hybrid lz type,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of hybrid model of the su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students who took these cla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leadership in both LZ and lz model. but the result of final exam in the group lz was shown only significant development. Second, in the cas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re was significant development only in the group lz. Third,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skills was shown only in the group lz.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concluded that the lz is more suitable for the subject of $21^{st}$ Leadership because this model can provide muc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an LZ model.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pen two classes with the name of $21^{st}$ Leadership, run with two different hybrid teaching styles which are hybrid LZ type and hybrid lz type, and compare them with each other in order to analyze their effectiveness of hybrid model of the subj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4 students who took these classes,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analyzed through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evelopment in terms of the knowledge of leadership in both LZ and lz model. but the result of final exam in the group lz was shown only significant development. Second, in the cas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there was significant development only in the group lz. Third,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skills was shown only in the group lz.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were concluded that the lz is more suitable for the subject of $21^{st}$ Leadership because this model can provide much more opportunities to develop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 than LZ model. In addition,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서울에 소재한 기독교대학교의 인성교양영역에 개설된 과목인 《21세기 리더십》을 격주로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를 진행하는 격주형 강의(type1)와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를 매주 절반씩 섞어서 병행하는 혼합형 강의(type2)를 수행한 후에 그에 따른 효과성을 검증하고 적절한 하이브리드 교수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21세기 리더십》 강의의 목표는, ‘21세기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모든 젊은이들이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반드시 필요한 리더십 원리들이 무엇인지를 기독교적 세계관의 입장에서 확인하고,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나누도록 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결과적으로, 이 강의의 수강 후에 모든 학생들은 본 과목이 추구하는 진정한 리더의 의미를 설명할 수 있으며, 이 시대가 추구하는 진정한 리더십의 원리들을 다양한 삶의 관계에서 적절하고도 타당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진정한 소통의 의미를 인식하고 사람들을 이해하며 사랑하는 능력을 다각도로 함양하려는 태도를 지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행된 강의내용을 요약하면 다음의 [표 2]와 같다.
가설 설정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지식을 증가시킬 것이다. 둘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생활기술을 증가시킬 것이다.
첫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지식을 증가시킬 것이다. 둘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생활기술을 증가시킬 것이다. 셋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둘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생활기술을 증가시킬 것이다. 셋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제안 방법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측정변수로는 인지적 영역에서 리더십 지식을 측정하고, 정의적 영역에서 리더의 무조건적 자기수용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기술 및 태도영역에서는 리더십생활기술을 측정하였다.
학자들 사이에는 단순히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학습환경만을 결합하는 단계를 넘어서서 학습활동, 학습매체, 학습경험, 상호작용 방식 등의 다양한 학습요소들을 결합하여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키도록 설계한 모델을 하이브리드 모델(hybrid model)로 정의하여, 이것을 블렌디드 이러닝에서 더 확대, 혹은 진화한 것으로 이해하기도 한다[7]. 그러나 이 두 가지 방식이 모두 다양한 첨단기술을 이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합한 교수-학습 모델로서 교육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습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고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를 구분 없이 사용하였다.
하이브리드 수업의 운영 형태는 ‘격주형’(type 1)의 경우, 수업 차시를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로 구분하여 한 주는 2시간의 강의를 모두 오프라인으로 강의실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그 다음 주에는 역시 2시간의 강의 내용을 모두 온라인 강좌로 학습하도록 계획하였다.
수강 신청된 학과목의 변경이 개강 첫 주까지 가능하므로, 2주차에 수강이 확정된 인원을 대상으로 리더십 지식을 비롯한 주요 연구변수들의 사전검사를 수행한 후 수업을 시작하였다. 첫 6주간 두 유형의 하이브리드 수업을 각각 진행한 후, 8주차 중간고사 기간에는 지식에 대한 필기시험만 수행하였으며, 중간고사 이후 다시 6주간 두 가지 유형의 수업을 진행한 후, 15주차 기말고사 기간에 지식에 대한 필기시험과 주요 연구변수들의 사후검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도식화 하면 [그림 1]과 같다.
2학점 2시수로 개설된 《21세기 리더십》 과목을 동일한 교수자가 동일한 강의계획서에 따라 두 가지 유형의 하이브리드 수업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강의의 경우, 교수자가 강의내용의 전 과정을 사전에 모두 녹화하여 사이버 강의실에 탑재하였고, 이를 수업의 유형에 따라 사용하였다.
총 5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강의에 대한 사후 만족도는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의 조합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하여 온·오프라인 각 강의에 대한 만족도, 추천도 및 전반적 만족도를 5점 Likert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일부 문항을 역 채점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리더십 생활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불만족스러운 관계 속에서도 긍정적인 리더의 자기수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측정하였다. 자기수용 척도는 서은경과 유성경 (2012)이 사용한 자기수용 척도를 사용하였다[25].
하이브리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식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을 통해 검증하였다. 지식점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점수를 100점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이브리드 수업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지식과 무조건적 자기수용, 리더십 생활기술의 증진을 통해 검증하였다. 지식점수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전검사와 중간고사 및 기말고사 점수를 100점을 기준으로 환산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수행하였다. 반복측정 분산 분석을 위해 Mauchly의 구형성 가정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χ2 =.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수업 구성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동일한 과목으로 2개 반을 개설하여 격주형 모형(type 1)과 혼합형 모형(type 2)으로 하이브리드 수업을 수행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대상 데이터
본 연구는 서울에 소재한 1개 대학교에서 동일한 과목명의 교양강좌 2개 반을 개설하여 이 과목에 수강 신청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에게 수업의 운영 목적과 내용을 자세히 소개한 후, 수강신청 정정기간이 지나 수강이 확정된 학생 수는 69명이었다.
수강신청을 한 학생들에게 수업의 운영 목적과 내용을 자세히 소개한 후, 수강신청 정정기간이 지나 수강이 확정된 학생 수는 69명이었다. 그 중 4회 이상 결석을 하거나 F학점을 받은 학생들을 제외하고 최종 6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평균연령은 24.
데이터처리
일반적 특성과 주요 연구변수들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효과 검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출결 및 과제 등의 점수는 합산하지 않았다. 사전검사와 중간고사, 기말고사 성적은 100점을 최대값으로 환산하여 분석하였다. 강의에 대한 사후 만족도는 온라인 강의와 오프라인 강의의 조합에 대한 만족도를 비롯하여 온·오프라인 각 강의에 대한 만족도, 추천도 및 전반적 만족도를 5점 Likert식 척도로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통계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 변수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주요 연구변수들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χ2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고, 효과 검증은 반복측정 분산분석과 대응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사후검증은 Bonferroni의 방법으로 조정하였으며, 모든 시기별 p<.001 수준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음.
이론/모형
리더십생활기술은 정회욱(2006)이 타당화한 리더십 생활기술 척도를 사용하였다[24]. 총 5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리더십 생활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과 불만족스러운 관계 속에서도 긍정적인 리더의 자기수용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측정하였다. 자기수용 척도는 서은경과 유성경 (2012)이 사용한 자기수용 척도를 사용하였다[25]. 총 12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 1점에서 “매우 그렇다” 5점의 Likert식 5점 척도로 측정하였고, 일부 문항을 역 채점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성능/효과
개강 후 《21세기 리더십》 과목의 첫 수업시간에 학생들에게 본 수업의 목표와 하이브리드 수업 운영에 대한 안내를 하였다. 그리고 본 수업과 동일한 과목으로 개설된 다른 강좌의 운영형태도 안내하여 학생들이 자유롭게 원하는 강의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본 수업의 목표에 동의할 수 없거나 수업 운영 형태에 대해 부정적인 학생들에게는 수강신청을 변경할 수 있음을 공지하였다.
격주형과 혼합형 집단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사전 동질성 검정을 수행한 결과[표 3], 전공 계열(χ2 =.26, p=.879)과 학년(χ2 =1.84, p=.399), 성별(χ2 =3.10, p=.078), 종교 유무(χ2 =.95, p=.331) 및 연령(t=-1.02, p=.313)에 있어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두 집단의 일반적 특성의 동질성은 지지되었다.
반복측정 분산 분석을 위해 Mauchly의 구형성 가정을 검정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나(χ2 =.60, p>.05), 구형성을 가정할 수 있었다.
구형성이 가정된 반복측정 분산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항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F=4.32, p<.05) 측정 시기에 따른 두 집단 간 지식 점수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시기별 지식점수의 변화가 유의한지 Bonferroni 의 교정을 통해 사후검정을 수행한 결과[표 6], 두 집단 모두 각 측정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1), 사전검사보다 중간고사 점수가, 그리고 중간고사보다 기말고사 점수가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연구가설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증가시킬 것이다’는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므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두 번째 연구가설인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생활기술을 증가시킬 것이다’는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므로 부분적으로 지지되었다.
또한 혼합형 집단은 리더십생활기술의 하위요인 중 목표달성능력 (t=-2.71, p<.05), 통솔력(t=-2.63, p<.05), 의사결정능력(t=-2.61, p<.05), 인간관계능력(t=-2.16, p<.05)에서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측정 시기에 따른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집단별 평균값의 변화와 Bonferroni의 사후검정 결과를 고려해 볼 때, 첫 번째 가설 ‘격주형과 혼합형 하이브리드 강의는 리더십 지식을 증가시킬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집단별 지식점수의 변화를 살펴보면 사전과 중간고사까지는 두 집단이 매우 유사한 증가를 보였으나, 기말고사에서 혼합형 집단의 성적이 격주형 집단의 성적보다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이에 중간고사와 기말고사의 지식점수에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표 6], 중간고사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t=-.52, p=.605), 기말고사에서는 혼합형이 격주형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t=-2.28, p=.026). 또한 각 시기별 지식점수의 변화가 유의한지 Bonferroni 의 교정을 통해 사후검정을 수행한 결과[표 6], 두 집단 모두 각 측정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
격주형과 혼합형 간에 사후 수업만족도의 각 문항별 차이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한 5번 문항의 전체 평점은 4.31점으로 높게 나타나 전반적으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는 긍정적인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하이브리드 모형으로 구성된 이러한 형태의 수업방식이 기존의 면대면 수업방식에 비해 학생들에게 신선한 흥미를 주었고 학생들의 학업 성취 면에서의 높은 만족감이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겠다.
첫째, 리더십 지식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격주형 강의를 받은 집단보다 혼합형 강의를 받은 집단이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에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차적으로는 두 집단 모두 학습효과가 유의하게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총 12주간의 수업 중에서 온라인 8주간의 수업은 전체의 2/3에 해당하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학습자들이 온라인 콘텐츠 학습의 분량과 온라인 활동의 부담으로 인해 오히려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보고하면서 4주 정도가 적절한 것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50% 정도를 온라인 콘텐츠로 배정함으로써 무리한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지 않은 것이 적절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성적의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에서 혼합형이 격주형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으므로 장기적으로는 혼합형 강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50% 정도를 온라인 콘텐츠로 배정함으로써 무리한 온라인 수업을 병행하지 않은 것이 적절히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두 집단 모두 성적의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총괄평가인 기말고사 성적에서 혼합형이 격주형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으므로 장기적으로는 혼합형 강의가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대학생들의 영어교육과 관련하여 하이브리드 교육을 수행한 선행 연구에 따르면 대학교에서의 영어교육을 위해 최적화된 하이브리드 모형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비율을 3:7로 제안하고 있는데[26], 본 연구에서도 이러한 주장을 일부 지지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리더십생활기술의 증진은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리더십은 두 사람 이상의 관계 속에서 시작되는 특성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인간관계와 소통의 문제를 다루게 되는데, 본 과목에서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으로 이용했던 요소가 소그룹토의와 조별 주제발표였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경우 혼합형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 이것은 한 공동체 안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인관계, 소통, 인간관계, 갈등의 문제 등을 다루는 리더십 과목의 특성상, 면대면으로 만나는 빈도의 중요성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준다.
이것은 한 공동체 안에서 경험하게 되는 대인관계, 소통, 인간관계, 갈등의 문제 등을 다루는 리더십 과목의 특성상, 면대면으로 만나는 빈도의 중요성이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보여준다. 동일한 교육 과정의 수업진행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두 주에 한 번씩의 만남보다는 매주 교수와의 만남이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같은 정서적 개발에 보다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잦은 만남이 서로간의 유대관계를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고, 교수자와 학습자가 강의실 공간이라는 허용적인 분위기 속에서 일정기간의 정기적인 만남과 다양한 소그룹 활동을 통하여 자기이해와 수용, 개방을 촉진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었기 때문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리더십 교육에 있어서 격주형 방식보다는 혼합형 방식이 전반적으로 더 효과적인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외국대학들의 이러닝 수업 운영에 대한 사례연구에서도 교수-학습의 활동 측면에서 교수와 학습자 간의 교류보다는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교류를 의미하는 상호작용이 활성화될 때에 공동체형성이 가능하므로, 외국 대학들이 이러닝의 주요 전략으로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채택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를 통해 이해해 볼 수 있다[30].
수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격주형이 혼합형보다 오히려 높았다. 격주형의 만족도가 혼합형에 비해 전반적인 만족도에 높게 나타난 이유에 대해서는 본 과목의 수강생 다수인 87.
다양한 인간관계의 특성을 다루고 이해해야 하는 리더십 과목은 면대면 체험을 통한 실습의 비중이 더 요구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리더십 과목의 경우,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동시에 학습효과도 함께 극대화할 수 있도록 혼합형 하이브리드 모형을 채택하되, 학생들이 참여와 실습을 통해 인간관계를 경험하고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도록 오프라인 강의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요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후속연구
앞으로 미래의 대학은 학생 스스로가 대학을 선택하고 자신의 원하는 수업 콘텐츠와 수업방식을 활용하여 커리큘럼을 조정하므로 유동성 있는 학업운영과 개인 맞춤화 교육이 가능해 질 것이다. 또한 현재 미국의 유수대학들의 사례들은 미래의 대학이 면대면 교육을 위한 강의실을 벗어나 다양한 플랫폼을 통한 지식과 학생 경험을 제공하며, 4년 정도의 일정 기간을 넘어선 평생 학습 기관으로 변모될 것임을 예측가능하게 하고 있다 [3].
그리고 미래에도 이처럼 오프라인 형식의 면대면 강의 방식이 완전히 없어지지 않는다면, 두 가지 방식의 장점을 극대화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융합·조합한 하이브리드 교육모델에 대한 필요성은 더욱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가장 극대화된 효과성을 증명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의 설계와 검증을 체계적으로 수행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대학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리더십 과목에 한정하여 운영하였으므로, 모든 과목의 하이브리드 수업의 운영에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여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하이브리드 수업이 실제 강좌였으므로 평가의 모든 부분이 성적과 관련이 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하이브리드 수업이 실제 강좌였으므로 평가의 모든 부분이 성적과 관련이 되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어 심리적 특성을 측정하고 평가함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다. 셋째, 본 연구가 하이브리드 유형의 격주형과 혼합형을 비교분석하여 리더십 교육에 있어서는 혼합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보다 더 확실한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방식의 면대면 강의 유형과 혼합형의 비교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들은 추후 연구를 통하여 방법론의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다.
셋째, 본 연구가 하이브리드 유형의 격주형과 혼합형을 비교분석하여 리더십 교육에 있어서는 혼합형이 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보다 더 확실한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오프라인 방식의 면대면 강의 유형과 혼합형의 비교분석도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들은 추후 연구를 통하여 방법론의 측면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들이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스트모더니즘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무엇인가?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 현대의 가치는 포스트모더니즘 혹은 포스트-포스트모더니즘에 의해 지배되고 있는데, 이 포스트모더니즘을 이해하는 대표적인 키워드 중의 하나가 바로 ‘융합’과 ‘조합’을 골자로 하는 하이브리드라는 개념이다[1]. 그런데 이제 이것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화두가 되어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융합화를 시도할 정도로 본격적인 융합의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무엇인가?
하이브리드 모델이란, 국내에서는 블렌디드 이러닝 (blended e-Learning)이란 용어로 더 많이 알려져 있으며,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이 서로의 단점들을 보완하고 이 둘이 적절하고 조화 있게 운영되는 교육방식을 의미한다. 사이버 공간을 통한 온라인 강의가 강의실 수업에 비해 교육의 효과성이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에게 학습의 기회와 시공간적 편리함을 제공한다는 장점으로 인해 1990년대 이후로 온라인 교육방식은 대학가에서 비약적인 성장을 이루었다[4].
교육에서 하이브리드의 영향은 어떠한가?
그런데 이제 이것은 거스를 수 없는 시대의 화두가 되어 사회의 모든 영역에서 융합화를 시도할 정도로 본격적인 융합의 시대를 만들어 가고 있다. 교육 분야에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미 세계의 대학은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학사 구조를 운영하고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인성과 창의성을 개발하는 것에 역점을 두기 시작했다. 따라서 대학은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패러다임을 가지고 단순히 가르치는 조직에서 학생과 교수가 함께 어우러진 학습공동체로, 교수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정형화된 학습형태에서 현장중심의 맞춤형 학습으로, 혼자만의 학습방식에서 상호작용을 통한 협력학습으로, 선형적·순차적 시간개념에서 다차원적·자율적 개념으로, 면대면 위주의 강의실 공간에서 능동적인 학습자의 수요에 의해 온라인 교육이 가능한 사이버공간으로까지 확대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2].
참고문헌 (30)
박보경, "포스트모던 시대의 새로운 전도전략의 모색," 장신논단, 제29집, pp.211-237, 2007.
B. Ross and K. Gage, Global perspectives on blended learning: Insight from WebCT and our customers in higher education, In C. G. Bonk (Ed.), The Handbook of Blended Learning, pp.155-168, Pfeiffer, 2006.
J. George-Palionins and V. Filak, "Blended learning in the visual communications classroom: Students reflection on a multimedia course," Electronic Journal of e-Learning, Vol.3, pp.247-256, 2009.
우종정, 김보나, 이옥형, "대학에서 면대면 수업 대안으로서의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219-225, 2009.
Y. Cha and H. Kim,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methods and learner's views in online/offline business English classes,"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Vol.14, No.3, pp.11-35, 2011.
성치경, "혼합학습 환경에서 이러닝 학습참여와 이러닝학습시스템 접속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연구, 제35집, pp.90-98, 2011.
한지영, 이은화,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환경에서 e-learning에 대한 학습자의 지각정도와 학습만족도-S 대학 보건교육학 강좌를 중심으로-,"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13권, 제6호, pp.69-77, 2010.
최윤경,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초중국어' 수어 모형 개발 및 적용," 중국어교육과연구, 제13권, 제12호, pp.1-21, 2011.
D. R. Garrison and H. Kanuka, "Blended learning: Uncovering its transformative potential in higher education," Internet and Higher Education, Vol.7, pp.95-105, 2004.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