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 환자의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과 삶의 질: 심리적 디스트레스(우울·불안)의 매개효과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Colon Cancer: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19 - 28  

오복자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혜 (울산대학교 임상전문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CRCI) and quality of life (QOL) in people with cancer. Methods: A purposive sample of 130 patients undergoing chemotherapy was recru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장암 환자는 뇌혈류장벽을 통과하는 5-FU (fluorouracil), Oxaliplatin 등의 항암제를 투여받고 있어 [17], 대장암 환자의 인지기능 변화와 관련 요인을 확인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디스트레스가 매개 역할을 하는지 대장암 환자를 대상으로 실증적으로 규명하면 암 환자의 인지손상관리에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고려한 간호전략을 세우고 총체적으로 암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게 될 것이다.
  • 08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관적 인지장애와 삶의 질 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효과 결과를 제시한다(Table 4). 1단계의 회귀분석 결과, 독립변인인 주관적 인지기능장애가 매개변인인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β=.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대장암 환자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으로써 인지장애와 심리적 디스트레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암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간호중재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장암 환자의 인지기능감퇴는 객관적 사정에서 대상자의 20.
  •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 대장암 환자의 인지기능손상과 삶의 질 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디스트레스(우울 및 불안)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은 인지기능 변화를 초래하여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인지감퇴의 결과 변수이면서 삶의 질의 매개요인으로 가정하고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한다.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암 환자가 정신적, 정서적으로 겪는 고통을 의미하는 것으로[11], 암 치료의 순응도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로 면역반응을 교란시켜 암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된다[12,13].

가설 설정

  • 따라서, 본 연구는 항암화학요법은 인지기능 변화를 초래하여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때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인지감퇴의 결과 변수이면서 삶의 질의 매개요인으로 가정하고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한다.
  • 본 연구에서 항암화학요법은 인지기능 변화를 초래하여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이때 심리적 요인은 인지감퇴의 결과변수이 면서 삶의 질의 매개요인으로 가정하였는데 분석 결과, 주관적 인지 기능 감퇴는 암 환자의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가중시키며 설명력이 2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암화학요법은 인지기능 변화를 초래하여 암 환자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발생시키는데 심리적 스트레스의 악영향은? 이때 심리적 디스트레스를 인지감퇴의 결과 변수이면서 삶의 질의 매개요인으로 가정하고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의 관련 요인을 규명하고자한다. 심리적 디스트레스는 암 환자가 정신적, 정서적으로 겪는 고통을 의미하는 것으로[11], 암 치료의 순응도를 감소시키고, 스트레스 호르몬의 분비로 면역반응을 교 란시켜 암 진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제시된다[12,13].
인지기능은 무엇인가? 인지기능은 정보의 선택, 습득, 통합하는 수용기능과 정보의 저장과 인출을 나타내는 기억과 학습, 정보의 정신적 조직과 재조직인 사고, 정보를 의사소통하거나 행위를 하는 표현기능을 포함하며 흔히 집중력, 기억력, 수행기능 등이 해당된다[4].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은 주로 기억력과 집중력의 저하를 주 호소로 하는 증상으로 일반적으로 Chemobrain이나 Chemofog라고 한다[2].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의 원인은? 최근 영상 검사에서도 항암화학요법 암 환자의 전두엽과 해마 부위의 회백질이 위축되는 것으로 보고하여[5]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의 객관적인 정보를 제시하고 있다. 항암화학요법 관련 인지손상은 항암제의 신경독성 부작용, 누적용량 및 다른 약제나 치료제의 상호작용 영향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신경세포가 손실되어 초래되는 것으로 제시한다[3]. 이러한 항암화학요법관련 인지손상은 항암제 투여 후 평균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National Cancer Center. Annual report of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 2012.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4. 

  2. Gehring K, Roukema JA, Sitskoorn MM. Review of recent studies on interventions for cognitive deficits in patients with cancer. Expert Review of Anticancer Therapy. 2012;12(2):255-269. http://dx.doi.org/10.1586/era.11.202 

  3. Schagen SB, Muller MJ, Boogerd W, Mellenbergh GJ, van Dam FS.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after chemotherapy: A prospective longitudinal study in breast cancer patients.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2006;98(23):1742-1745. http://dx.doi.org/10.1093/jnci/djj470 

  4. Gilroy J. Basic neurolog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Professional Publishing; 2000. 

  5. de Ruiter MB, Reneman L, Boogerd W, Veltman DJ, Caan M, Douaud G, et al. Late effects of high-dose adjuvant chemotherapy on white and gray matter in breast cancer survivors: Converging results from multimod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Human Brain Mapping. 2012;33(12):2971-2983. http://dx.doi.org/10.1002/hbm.21422 

  6. Hutchinson AD, Hosking JR, Kichenadasse G, Mattiske JK, Wilson C. Objective and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following chemotherapy for cancer: A systematic review. Cancer Treatment Reviews. 2012;38(7):926-934. http://dx.doi.org/10.1016/j.ctrv.2012.05.002 

  7. Hess LM, Insel KC. Chemotherapy-related change in cognitive function: A conceptual model. Oncology Nursing Forum. 2007;34(5):981-994. http://dx.doi.org/10.1188/07.onf.981-994 

  8. Wefel JS, Kayl AE, Meyers CA. Neuropsychologic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cancer and cancer therapies: A conceptual review of an emerging target.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4;90(9):1691-1696. http://dx.doi.org/10.1038/sj.bjc.6601772 

  9. Jenkins V, Shilling V, Deutsch G, Bloomfield D, Morris R, Allan S, et al. A 3-year prospective study of the effects of adjuvant treatments on cognition in women with early stage breast cancer. British Journal of Cancer. 2006;94(6):828-834. http://dx.doi.org/10.1038/sj.bjc.6603029 

  10. Pullens MJ, De Vries J, Roukema JA. Subjective cognitive dysfunction in breast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Psycho-Oncology. 2010;19(11):1127-1138. http://dx.doi.org/10.1002/pon.1673 

  11.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Recommendations for distress management in cancer patients, version 1.0 [Internet].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2008 [cited 2012 October 8].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2010/04/22/Recommendations_Distress_Management_version1.pdf. 

  12. Pasquini M, Biondi M. Depression in cancer patients: A critical review. Clinical Practice and Epidemiology in Mental Health. 2007;3:2. http://dx.doi.org/10.1186/1745-0179-3-2 

  13. Oh PJ, Jang ES. Effects of psychosocial interventions on cortisol and immune parameters in patients with cancer: A meta-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4):446-457. http://dx.doi.org/10.4040/jkan.2014.44.4.446 

  14. Lange M, Rigal O, Clarisse B, Giffard B, Sevin E, Barillet M, et al. Cognitive dysfunctions in elderly cancer patients: A new challenge for oncologists. Cancer Treatment Reviews. 2014;40(6):810-817. http://dx.doi.org/10.1016/j.ctrv.2014.03.003 

  15. Chung BY, Cho EJ. Correlate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in breast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sian Oncology Nursing. 2012;12(3):221-229. http://dx.doi.org/10.5388/aon.2012.12.3.221 

  16. Park JH, Bae SH, Jung YS, Jung YM. Prevalence and characteristics of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5;45(1):118-128. http://dx.doi.org/10.4040/jkan.2015.45.1.118 

  17. Kaiser J, Bledowski C, Dietrich J. Neural correlates of chemotherapy-related cognitive impairment. Cortex. 2014;54:33-50. http://dx.doi.org/10.1016/j.cortex.2014.01.010 

  18. Kang Y. A normative study of the Korean-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K-MMSE) in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2006;25(2):1-12. 

  19. Prabhu RS, Won M, Shaw EG, Hu C, Brachman DG, Buckner JC, et al. Effect of the addition of chemotherapy to radiotherapy on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with low-grade glioma: Secondary analysis of RTOG 98-02.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14;32(6):535-541. http://dx.doi.org/10.1200/jco.2013.53.1830 

  20. Oh SM, Min KJ, Park DB.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for Koreans: A comparison of normal, depressed and anxious group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2):289-296. 

  21. Kim H, Yoo HJ, Kim YJ, Han OS, Lee KH, Lee J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1):215-229. 

  22.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6;51(6):1173-1182. 

  23. Pereira J, Hanson J, Bruera E. The frequency and clinical course of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Cancer. 1997;79(4):835-842. 

  24. Park JH, Bae SH. A meta-analysis of chemotherapy related cognitive impairment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5):644-658. http://dx.doi.org/10.4040/jkan.2012.42.5.644 

  25. Meyers CA, Wefel JS. The use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to assess cognitive functioning in cancer trials: No ifs, ands, buts, or sensitivity.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2003;21(19):3557-3558. http://dx.doi.org/10.1200/jco.2003.07.080 

  26. Hall KE, Isaac CL, Harris P. Memory complaints in epilepsy: An accurate reflection of memory impairment or an indicator of poor adjust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9;29(4):354-367. http://dx.doi.org/10.1016/j.cpr.2009.03.001 

  27. Hutter N, Vogel B, Alexander T, Baumeister H, Helmes A, Bengel J. Are depression and anxiety determinants or indicators of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patients? Psychology, Health & Medicine. 2013;18(4):412-419. http://dx.doi.org/10.1080/13548506.2012.736624 

  28. Baek Y. The correlation among symptoms, anxiety,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undergoing chemotherapy [master's thesis].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3. 

  29. Park JH, Jun EY, Kang MY, Joung YS, Kim GS. Symptom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in breast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9;39(5):613-621. http://dx.doi.org/10.4040/jkan.2009.39.5.6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