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형 노인자살위험 사정도구 개발
Development of a Korean Geriatric Suicidal Risk Scale (KGSR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1, 2016년, pp.59 - 68  

이상주 (동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  김정순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crease in suicide rate for senior citizens which has become widespread in our society today. It is not a normal social phenomenon and is beyond the danger level.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Korean senior citizens' suicide related risk factors and warning signs, and the developm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고 한국 노인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한국형 노인자살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도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의 자살 예방을 위해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함이며, 의료인 또는 일반인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국형 노인자살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DeVellis [18]의 도구개발 절차에 의해 한국형 노인자살 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methodological research)이다.
  • 본 연구는 노인의 자살위험 정도를 선별하기 위해 도구개발, 도구 평가 단계를 거쳐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한국형 노인자살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도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 고위험군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메타분석과 개인면담을 근거를 기반으로 초기문항을 구성 하였다.
  • Shu [24]의 연구에서도 우리나라 노인들은 가족중심적인 문화적 특성에 의해 가족의 지지가 약하거나, 대인관계에 문제가 있는 경우 자살위험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노인의 자살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선정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개인 면담을 통한 경험적 실무를 기반으로 초기문항을 구성하였다는데 장점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의 사회 문화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자살위험 사정도구를 개발하여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 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위험이란? 자살위험은 가까운 미래에 자살과 관련된 행위를 유발하거나 촉진시키는 요인이 있음[17]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자살 위험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하며, 점수가 높을수록 자살위험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노인들은 어떠한 문제를 가지고 있는가? 노인들은 만성질환, 경제적 어려움, 역할 변화와 관련된 적응문제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스스로 극단적 행동을 취하게 된다[2]. 노인은 청소년처럼 충동적으로 자살을 시도하거나 도움을 요청하는 신호로서 자살을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적으로 자살하려는 의지가 높아 오래도록 심사숙고하여 계획하기 때문에 자살 시도가 자살 완료로 이어지는 비율이 청소년에 비해 높다[3].
자살위험사정도구의 개발 초기 문제점은? 자살위험사정도구 개발 초기에는 대부분 청소년과 성인을 대상으로 정신과 환자를 위한 도구[6,13]가 개발되었으나, 최근 들어 일반인 및 노인에게 적용할 수 있는 도구[4]가 개발되고 있다. 또한 개발된 도구들은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가 보장되어야 하나 자살의 특성상 개발 당시 신뢰도와 타당도에 관한 보고가 없거나 낮은 도구가 대부분이며[5,7] 실제 자살자를 추적할 수 있는 민감도와 특이도가 낮았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YJ, Park J. Economic hardship, social welfare and suicide in Korea. Social Welfare Policy. 2014;41(3):155-182. http://dx.doi.org/10.15855/swp.2014.41.3.155 

  2. Conwell Y, Duberstein PR, Caine ED. Risk factors for suicide in later life. Biological Psychiatry. 2002;52(3):193-204. http://dx.doi.org/10.1016/S0006-3223(02)01347-1 

  3. Minino AM, Arias E, Kochanek KD, Murphy SL, Smith BL. Deaths: Final data for 2000. National Vital Statistics Reports. 2002;50(15):1-120. 

  4. Heisel MJ, Flett GL. Th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geriatric suicide ideation scale. The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14(9):742-751. http://dx.doi.org/10.1097/01.JGP.0000218699.27899.f9 

  5. Beck AT, Schuyler D, Herman I. Development of suicidal intent scales. In: Beck AT, Resnik HLP, Lettieri DJ, editors. The prediction of suicide. Bowie, MD: The Charles Press; 1974. p.45-56. 

  6. Beck AT, Kovacs M, Weissman A.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79;47(2):343-352. http://dx.doi.org/10.1037/0022-006X.47.2.343 

  7. Harlow LL, Newcomb MD, Bentler PM. Depression, self-derogation, substance use, and suicide ideation: Lack of purpose in life as a mediational factor.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86;42(1):5-21. 

  8. Linehan MM, Goodstein JL, Nielsen SL, Chiles JA. Reasons for staying alive when you are thinking of killing yourself: The reasons for living invent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3;51(2):276-286. http://dx.doi.org/10.1037/0022-006X.51.2.276 

  9. Chu J, Floyd R, Diep H, Pardo S, Goldblum P, Bongar B. A tool for the culturally competent assessment of suicide: The cultural assessment of risk for suicide (CARS) measure. Psychological Assessment. 2013;25(2):424-434. http://dx.doi.org/10.1037/a0031264 

  10. Cutcliffe JR, Barker P. The nurses' global assessment of suicide risk (NGASR): Developing a tool for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1(4):393-400. http://dx.doi.org/10.1111/j.1365-2850.2003.00721.x 

  11. Rudd MD, Berman AL, Joiner TE, Jr., Nock MK, Silverman MM, Mandrusiak M, et al. Warning signs for suicide: Theory, research, and clinical applications.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06;36(3):255-262. http://dx.doi.org/10.1521/suli.2006.36.3.255 

  12. Perlman CM, Neufeld E, Martin L, Goy M, Hirdes JP. Suicide risk assessment guide: A resource for health care organizations. Toronto, CA: Ontario Hospital and Canadian Patient Safety Institute; 2011. 

  13. Mills PD, Watts BV, Miller S, Kemp J, Knox K, DeRosier JM, et al. A checklist to identify inpatient suicide hazards in veterans affairs hospitals. Joint Commission Journal on Quality and Patient Safety. 2010;36(2):87-93. 

  14. Cull JG, Gill WS. Suicide probability scale manual. Los Angeles, CA: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s; 1988. 

  15. Kim HS, June KJ, Kim Y. Gender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13;33(2):349-363. 

  16. Yook SP, Choi KH, Kim EJ, Lee HS. Elders in crisis. Seoul: Hakjisa Corp.; 2011. 

  17. Bryan CJ, Rudd MD. Advances in the assessment of suicide risk.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6;62(2):185-200. http://dx.doi.org/10.1002/jclp.20222 

  18.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3r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012. 

  19. Kim HS. A study on epistemology of Korean elder's suicidal thought. Journal of the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002;22(1):159-172. 

  20. Shin HY, Shin YS, Ju JH, Jang HS, Hong JY, Jeon HJ, et al. A study on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urses' global assessment of suicide risk (NGASR) for psychiatric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2;21(1):21-29. http://dx.doi.org/10.12934/jkpmhn.2012.21.1.21 

  21. Tak J. Psychological testing. 2nd ed. Seoul: Hakjisa Corp.; 2007. 

  22. Crocker LM, Algina J.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New York, NY: Holt, Rinehart, and Winston; 1986. 

  23. Korean Association for Suicide Prevention, editor. Understanding and prevention of suicide. Seoul: Hakjisa Corp.; 2007. 

  24. Shu HJ.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suicide in the elderly: With special reference to factors affecting on elderly suicide [dissertation]. Busa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05. 

  25. Patterson WM, Dohn HH, Bird J, Patterson GA. Evaluation of suicidal patients: The SAD PERSONS scale. Psychosomatics. 1983;24(4):343-345, 348-349. http://dx.doi.org/10.1016/s0033-3182(83)73213-5 

  26. Hockberger RS, Rothstein RJ. Assessment of suicide potential by nonpsychiatrists using the sad persons score. The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1988;6(2):99-107. http://dx.doi.org/10.1016/0736-4679(88)90147-3 

  27. Greiner M, Pfeiffer D, Smith RD. Principles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receiver-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for diagnostic tests. Preventive Veterinary Medicine. 2000;45(1-2):23-41. 

  28. Vergouwe Y, Steyerberg EW, Eijkemans MJ, Habbema JD. Substantial effective sample sizes were required for external validation studies of predictive logistic regression models.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2005;58(5):475-483. http://dx.doi.org/10.1016/j.jclinepi.2004.06.017 

  29. Kim JS, Lee SJ. Factors affecting suicide attempts of the elderly with suicide ideation: Secondary data analysis of KNHAN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73-85. 

  30. Jeong HS. The effect of oversampling method for imbalanced data [master's thesis]. Busan: Dong-eui University;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